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7696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리눅스 프로젝트를 빌드하는 경우 이렇게만 오류 메시지가 나온다면?

1>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MSBuild\Microsoft\VC\v170\Application Type\Linux\1.0\Linux.WSL.targets(318,5): error : g++ exited with code 1, please see the Output Window - Build output for more details (NOTE: the build output verbosity might need to be changed in Tools Options to see more information in the Output Window).
1>Done building project "ConsoleApplication2.vcxproj" -- FAILED.


"Build And Run" 설정에 들어가 "MSBuild project build output verbosity" 항목을 "Normal"로 설정하고 재빌드를 합니다. 그럼 더 자세한 오류를 볼 수 있는데요,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onsoleApplication2, Configuration: Debug x64 ------
1>Build started 2024-07-03 오후 3:11:47.
1>Target _PrepareForClean:
...[생략]...
1>  Compiling sources:
1>  g++ -c -x c++ /home/testusr/projects/ConsoleApplication2/main.cpp -g2 -gdwarf-2 -o "/home/testusr/projects/ConsoleApplication2/obj/x64/Debug/main.o" -Wall -Wswitch -W"no-deprecated-declarations" -W"empty-body" -Wconversion -W"return-type" -Wparentheses -W"no-format" -Wuninitialized -W"unreachable-code" -W"unused-function" -W"unused-value" -W"unused-variable" -O0 -fno-strict-aliasing -fno-omit-frame-pointer -fthreadsafe-statics -fexceptions -frtti -std=c++11
1>  main.cpp
...[생략]...
1>  Done compiling '/home/testusr/projects/ConsoleApplication2/main.cpp'
1>  -bash: line 4: g++: command not found-bash: line 4: g++: command not found
1>Done building target "ClCompile" in project "ConsoleApplication2.vcxproj" -- FAILED.
1>
...[생략]...

저렇게 "g++: command not found-bash: line 4: g++: command not found" 메시지가 나옵니다. 그럼, 당연히 설치를 해야겠죠?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y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gdb -y




혹은, Output 창을 자세히 보면 원격 리눅스 머신에서 실행하려던 명령어가 그대로 나오는데요, 가령, 위의 경우 g++ 실행을 다음과 같이 하는 중에 오류가 발생한 것입니다.

g++ -c -x c++ /home/testusr/projects/ConsoleApplication2/main.cpp -g2 -gdwarf-2 -o "/home/testusr/projects/ConsoleApplication2/obj/x64/Debug/main.o" -Wall -Wswitch -W"no-deprecated-declarations" -W"empty-body" -Wconversion -W"return-type" -Wparentheses -W"no-format" -Wuninitialized -W"unreachable-code" -W"unused-function" -W"unused-value" -W"unused-variable" -O0 -fno-strict-aliasing -fno-omit-frame-pointer -fthreadsafe-statics -fexceptions -frtti -std=c++11


이걸 그대로 복사해 대상 리눅스 머신에서 직접 실행해 보면, 오류 메시지가 출력될 것이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해주시면 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2정성태3/1/201225339Windows: 55. 윈도우 8 베타 설치 과정 [1]
1251정성태2/27/201229294VC++: 60. C/C++ Native 스레드 콜 스택 덤프를 얻는 공개 라이브러리 [2]파일 다운로드1
1250정성태2/27/201231395VC++: 59. C/C++ 프로젝트 빌드 속도 개선 - UnityBuild를 아세요? [3]
1249정성태2/26/201231088.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2]파일 다운로드3
1248정성태2/25/201242584.NET Framework: 310. C#의 Shift 비트 연산 정리파일 다운로드1
1247정성태2/25/201225271.NET Framework: 309. .NET 응용 프로그램에 기본 생성되는 스레드들에 대한 탐구 [1]파일 다운로드1
1246정성태2/25/201224849개발 환경 구성: 145. 한영 변환은 되지만, 정작 한글 입력이 안되는 경우
1245정성태2/25/201235563개발 환경 구성: 144. 윈도우에서도 유닉스처럼 명령행으로 원격 접속하는 방법
1244정성태2/24/201232757.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43정성태2/23/201232708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1]
1242정성태2/20/201239562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7]파일 다운로드1
1241정성태2/20/201226384.NET Framework: 30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ILMerge
1240정성태2/19/201232662디버깅 기술: 48. C/C++ JNI DLL을 Visual Studio로 디버깅하는 방법 [2]
1239정성태2/19/201224293.NET Framework: 306. 컴퓨터에 실행된 프로세스 중에 닷넷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는 방법 - C# [1]파일 다운로드1
1238정성태2/19/201228166.NET Framework: 305. GetPrivateProfileSection / WritePrivateProfileSection의 C# 버전파일 다운로드1
1237정성태2/18/201232490개발 환경 구성: 142. Windows Embedded POSReady 7 설치 [1]
1236정성태2/17/201228304개발 환경 구성: 141. Windows 2008 R2 RDP 라이선스 서버 설치하는 방법
1235정성태2/16/201226751.NET Framework: 304. Hyper-V의 가상 머신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4정성태2/16/201227153.NET Framework: 303. 원본 파일의 공백/라인을 유지한 체 XML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3정성태2/16/201233262.NET Framework: 302. supportedRuntime 옵션과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 [5]
1232정성태2/9/201229172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3]파일 다운로드1
1231정성태2/8/201238716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5]파일 다운로드1
1230정성태2/6/201224065개발 환경 구성: 140.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1229정성태2/4/201229079.NET Framework: 301. P/Invoke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C++/CLI가 선택되려면? [5]파일 다운로드1
1228정성태2/4/201278377.NET Framework: 300. C#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 [47]파일 다운로드1
1227정성태2/3/201229264.NET Framework: 299.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