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76. Linux - C++ (getaddrinfo 등을 담고 있는) libnss 정적 링크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6995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https://www.sysnet.pe.kr/2/0/11845

개발 환경 구성: 698. Golang - GLIBC 의존을 없애는 정적 빌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90

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494

Linux: 76. Linux - C++ (getaddrinfo 등을 담고 있는) libnss 정적 링크
; https://www.sysnet.pe.kr/2/0/13679




Linux - C++ (getaddrinfo 등을 담고 있는) libnss 정적 링크

지난 글에 따라,

C# - AOT StaticExecutable 정적 링킹 시 빌드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3669#form_23

간단하게 다음과 같은 재현 코드를 C/C++로 만들고,

#include <netdb.h>

int main()
{
    struct addrinfo* results;
    int rc = getaddrinfo("localhost", "80", nullptr, &results);
    freeaddrinfo(results);

    return 0;
}

정적 빌드하면 예상했던 (바로 그) 경고가 발생합니다.

$ gcc -static main.cpp -o test
/usr/bin/ld: /tmp/cch4VuOp.o: in function `main':
main.cpp:(.text+0x36): warning: Using 'getaddrinfo' in statically linked applications requires at runtime the shared libraries from the glibc version used for linking

비록 정적 링크는 되었지만,

$ file test
test: ELF 64-bit LSB executable, x86-64, version 1 (GNU/Linux), statically linked, BuildID[sha1]=ab0170b30cef878d7c87817e9b5b80ffed367a31, for GNU/Linux 3.2.0, not stripped

(예를 들어) 위의 빌드를 Ubuntu 18.04에서 수행한 경우, 바이너리 결과물은 20.04까지는 잘 실행이 되지만, 22.04에서 실행하면 예외가 발생합니다.

$ ./test
Segmentation fault




컴파일 시 나온 경고에 따르면 실행 시 공유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gdb를 이용해 "Segmentation fault"가 발생한 상황에서 libnss_files 라이브러리가 로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db ./test
GNU gdb (Ubuntu 12.1-0ubuntu1~22.04.2) 12.1
...[생략]...
Type "apropos word" to search for commands related to "word"...
Reading symbols from ./test...
(No debugging symbols found in ./test)

(gdb) run
Starting program: /app/ConsoleApp1/ConsoleApplication1/test
warning: File "/usr/lib/x86_64-linux-gnu/libthread_db.so.1" auto-loading has been declined by your `auto-load safe-path' set to "$debugdir:$datadir/auto-load".
...[생략]...

Program received signal SIGSEGV, Segmentation fault.
0x00007ffff7f17d24 in __GI___nss_readline (poffset=<optimized out>, len=<optimized out>, buf=<optimized out>, fp=<optimized out>) at ../include/ctype.h:41
41      ../include/ctype.h: No such file or directory.

(gdb) i shared
From                To                  Syms Read   Shared Object Library
0x00007ffff7fed040  0x00007ffff7fed0f9  Yes         /lib/x86_64-linux-gnu/libnss_files.so.2
0x00007ffff7deb700  0x00007ffff7f7d93d  Yes         /lib/x86_64-linux-gnu/libc.so.6
0x00007ffff7d89090  0x00007ffff7db2315  Yes         /lib/x86_64-linux-gnu/ld-linux-x86-64.so.2

(gdb) bt
#0  0x00007ffff7f17d24 in __GI___nss_readline (poffset=<optimized out>, len=<optimized out>, buf=<optimized out>, fp=<optimized out>) at ../include/ctype.h:41
#1  __GI___nss_readline (fp=fp@entry=0x7ffff7c872a0,
    buf=buf@entry=0x7fffffffd6d0 "# This file was automatically generated by WSL. To stop automatic generation of this file, add the following entry to /etc/wsl.conf:\n", len=len@entry=992, poffset=poffset@entry=0x7fffffffd180) at ./nss/nss_readline.c:26
#2  0x00007ffff7f1b3a0 in internal_getent (stream=stream@entry=0x7ffff7c872a0, result=result@entry=0x7fffffffd220, buffer=buffer@entry=0x7fffffffd6b0 "",
    buflen=buflen@entry=1024, errnop=errnop@entry=0x4e6830, herrnop=herrnop@entry=0x4e6850, af=0) at nss_files/files-XXX.c:124
#3  0x00007ffff7f1c5e9 in __GI__nss_files_gethostbyname4_r (name=0x4b4007 "localhost", pat=0x7fffffffd398, buffer=0x7fffffffd6b0 "", buflen=1024,
    errnop=0x4e6830, herrnop=0x4e6850, ttlp=0x0) at nss_files/files-hosts.c:404
#4  0x0000000000449e5b in gaih_inet.constprop ()
#5  0x000000000044ba79 in getaddrinfo ()
#6  0x0000000000401d4f in main ()

게다가 libnss_files.so.2뿐만 아니라 libc.so.6까지 동적 로딩돼 정적으로 빌드된 C/C++ 라이브러리와의 충돌까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결국, glibc에 대한 정적 링킹을 해도 getaddrinfo 등의 함수를 사용하게 되면 저렇게 Linux OS에 탑재된 glibc 버전에 따라 실행이 안 될 수 있습니다. 이것마저도 정적 빌드하려면,

Shared Libraries are Loaded by Custom glibc Compiled with --enable-static-ns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6386087/shared-libraries-are-loaded-by-custom-glibc-compiled-with-enable-static-nss

nss 관련 라이브러리를 정적으로 포함하는 (--enable-static-nss 옵션을 적용해 빌드한) glibc 버전이 필요합니다. 그렇긴 한데, (덧글에 소개가 된) 아래의 글을 보면,

Static Linking Considered Harmful
; https://www.akkadia.org/drepper/no_static_linking.html

저 역시, 과연 리눅스 환경에서 glibc에 대한 정적 빌드를 하는 것이 필요한가...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 아무래도 glibc에 대한 빌드까지는 동적으로 하고 아주 특별한 상황, 예를 들어 busybox 등의 환경에 올릴 제한적인 도구에 대해서만 정적 빌드를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실제로 위의 예제 코드를 glibc에 대해 동적 링킹을 하면 22.04에서도 잘 실행이 됩니다. 즉, 실행 환경을 독립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적 링킹을 하려고 애쓴 것보다, 아이러니하게도 오히려 동적 링킹을 하는 것이 더 범용성이 좋아진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14정성태9/7/202019930오류 유형: 645. IIS HTTPERR - Timer_MinBytesPerSecond, Timer_ConnectionIdle 로그
12313정성태9/6/202019413개발 환경 구성: 509. Logstash - 사용자 정의 grok 패턴 추가를 이용한 IIS 로그 처리
12312정성태9/5/202026399개발 환경 구성: 508. Logstash 기본 사용법 [2]
12311정성태9/4/202018929.NET Framework: 937. C# - 간단하게 만들어 보는 리눅스의 nc(netcat), json_pp 프로그램 [1]
12310정성태9/3/202018223오류 유형: 644. Windows could not start the Elasticsearch 7.9.0 (elasticsearch-service-x64) service on Local Computer.
12309정성태9/3/202017465개발 환경 구성: 507. Elasticsearch 6.6부터 기본 추가된 한글 형태소 분석기 노리(nori) 사용법
12308정성태9/2/202019311개발 환경 구성: 506. Windows - 단일 머신에서 단일 바이너리로 여러 개의 ElasticSearch 노드를 실행하는 방법
12307정성태9/2/202020184오류 유형: 643. curl - json_parse_exception / Invalid UTF-8 start byte
12306정성태9/1/202017447오류 유형: 642. SQL Server 시작 오류 - error code 10013
12305정성태9/1/202019276Windows: 172. "Administered port exclusions"이 아닌 포트 범위 항목을 삭제하는 방법
12304정성태8/31/202017695개발 환경 구성: 505. 윈도우 - (네트워크 어댑터의 우선순위로 인한) 열거되는 IP 주소 순서를 조정하는 방법
12303정성태8/30/202018021개발 환경 구성: 504. ETW - 닷넷 프레임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명령행 도구 etrace 소개
12302정성태8/30/202018166.NET Framework: 936.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5) - Private Logger파일 다운로드1
12301정성태8/30/202017768오류 유형: 641. error MSB4044: The "Fody.WeavingTask" task was not given a value for the required parameter "IntermediateDir".
12300정성태8/29/202018071.NET Framework: 935.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4) CLR ETW Consumer파일 다운로드1
12299정성태8/27/202018815.NET Framework: 934.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3) ETW Consumer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298정성태8/27/202018289오류 유형: 640. livekd - Could not resolve symbols for ntoskrnl.exe: MmPfnDatabase
12297정성태8/25/202017778개발 환경 구성: 503. SHA256 테스트 인증서 생성 방법
12296정성태8/24/202018876.NET Framework: 933.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2) NT Kernel Logger파일 다운로드1
12295정성태8/24/202017761오류 유형: 639. Bitvise - Address is already in use; bind() in ListeningSocket::StartListening() failed: Windows error 10013: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
12293정성태8/24/202018724Windows: 171. "Administered port exclusions" 설명
12292정성태8/20/202021723.NET Framework: 932.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1)파일 다운로드2
12291정성태8/15/202018710오류 유형: 638. error 1297: Device driver does not install on any devices, use primitive driver if this is intended.
12290정성태8/11/202019880.NET Framework: 931. C# - IP 주소에 따른 국가별 위치 확인 [8]파일 다운로드1
12289정성태8/6/202016829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12288정성태8/5/202015997오류 유형: 637. WCF - The protocol 'net.tcp' does not have an implementation of HostedTransportConfiguration type registered.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