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닷넷: 2275. C# 13 - (1) 신규 이스케이프 시퀀스 '\e'
; https://www.sysnet.pe.kr/2/0/13673

닷넷: 2277. C# 13 - (2) 메서드 그룹의 자연 타입 개선 (메서드 추론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3681

닷넷: 2286. C# 13 - (3) Monitor를 대체할 Lock 타입
; https://www.sysnet.pe.kr/2/0/13699

닷넷: 2287. C# 13 - (4) Indexer를 이용한 개체 초기화 구문에서 System.Index 연산자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701

닷넷: 2291. C# 13 - (5) params 인자 타입으로 컬렉션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705

닷넷: 2294. C# 13 - (6) iterator 또는 비동기 메서드에서 ref와 unsafe 사용을 부분적으로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710

닷넷: 2303. C# 13 - (7) ref struct의 interface 상속 및 제네릭 제약으로 사용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3752

닷넷: 2304. C# 13 - (8) 부분 메서드 정의를 속성 및 인덱서에도 확대
; https://www.sysnet.pe.kr/2/0/13754

닷넷: 2305. C# 13 - (9) 메서드 바인딩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 도입 (Overload resolution priority)
; https://www.sysnet.pe.kr/2/0/13755




C# 13 - 메서드 그룹의 자연 타입 개선 (메서드 추론 개선)

"Language Feature Status"의 2번째 목록에 있는 기능입니다.

Method group natural type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whats-new/csharp-13#method-group-natural-type

Method group natural type improvements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blob/main/proposals/method-group-natural-type-improvements.md

Proposed change to method group natural type #7364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issues/7364

이것 역시 17.9 preview 2 버전에 구현됐지만, Visual Studio 2022에서도 <LangVersion>preview</LangVersion>을 설정하면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사전 지식으로 "natural type"에 대한 설명을 지난 글에 미리 정리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C# - Method Group, Natural Type, function_type
; https://www.sysnet.pe.kr/2/0/13680

하지만, 엄밀히는 몰라도 상관없습니다. 간단하게 그냥, C# 코드에서 메서드 호출 시 실제 메서드와 연결하는 과정이 좀 더 정확해졌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판정 기준은 지속적으로 개선돼 왔습니다.

C# 6.0 - 재정의된 메서드의 선택 정확도를 향상
; https://www.sysnet.pe.kr/book/cs12_free.pdf (68 페이지)

C# 7.3 - 개선된 메서드 선택 규칙 3가지(Improved overload candidates)
; https://www.sysnet.pe.kr/2/0/11553

이제 C# 13에서는, 다음의 2가지 규칙을 더 추가해 이전보다 더 향상된 메서드 판정을 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 처음부터 method group에 모든 후보 메서드를 포함시키지 않고, 범위에 따라(scope-by-scope) 추가
  • 가능하지 않은 메서드는 후보에서 처음부터 제외해 이후 판정에 영향을 끼치지 못함, 예를 들어 1) 타입 인자가 없는 경우 제네릭 메서드는 후보에서 제외, 2) 제네릭 제약 또는 타입 인자의 수를 만족하지 않는 제네릭 메서드도 후보에서 제외

위의 규칙에서 "범위"란 메서드의 인스턴스/정적 멤버 등의 유형으로 간주하시면 됩니다. 즉, 첫 번째 규칙의 경우 우선적으로 인스턴스 메서드를 대상으로 모든 후보를 method group에 포함시켜 타입 추론을 시도하고, 만약 그 범위에 속한 메서드가 없다면 이후 범위를 확장 메서드 등으로 넓혀가며 타입 추론을 시도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예제가 "Proposed change to method group natural type #7364" 이슈에 나오는데요, 가령 C# 12 이하에서는 다음의 코드가 컴파일되지 않습니다.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var c = new MyType();
            System.Action x = c.Call; // 컴파일 가능
            var x2 = c.Call; // 타입 추론 불가능 error CS8917: The delegate type could not be inferred.
        }

        {
            var c = new MyType();
            System.Action<object> y = c.Call; // 컴파일 가능
            var y2 = c.Call; // 타입 추론 불가능 error CS8917: The delegate type could not be inferred.
        }
    }
}

public class MyType
{
    public void Call() { }
}

public static class ExtensionType
{
    public static void Call(this MyType c, object o) { }
}

이유는 간단합니다. "Call" method group에는 현재 2개의 메서드, "void Call()"과 "ExtensionType.Call(this MyType c, object o)"가 있지만, 서로 Signature가 달라 "자연 타입"을 가질 수 없습니다. 따라서, 타입 추론이 불가능해 오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C# 13부터는 우선 인스턴스 메서드를 method group에 포함해 타입 추론을 시도합니다. 위의 경우 첫 번째 "var x2 = c.Call"은 "void Call()"만을 포함한 method group에 대해서는 signature가 일치하므로 타입 추론을 적용해 컴파일을 합니다.

두 번째 경우도 결국엔 첫 번째 경우와 같습니다. 단지 두 번째 경우는 사용자가 "Action<object>" 타입으로 받고 싶었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그런 경우라면, 그냥 컴파일러의 추론 대신 타입을 명시하면 그만입니다.




위의 첫 번째 규칙을 이해했으면, 또 다른 scope의 대상인 제네릭 메서드에 대한 method group 구성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예를 든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렇게 2개의 메서드를 작성하고,

public class MyType
{
    public void GenericMethod<T>(MyType c) { }
}

public static class ExtensionType
{
    public static void GenericMethod<T, U>(this MyType c) { }
}

C# 12 이전에 컴파일하는 경우 var 추론에서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Action x = new MyType().GenericMethod<int, int>;
x();

// error CS8917: The delegate type could not be inferred.
var z = new MyType().GenericMethod<int, int>;
z();

왜냐하면, GenericMethod method group에는 2개의 메서드가 포함돼 있지만 서로 다른 타입 인자의 수로 "자연 타입"이 없어 타입 추론이 불가능한 경우로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C# 13에서는 우선 arity(매개변수의 수, 제네릭의 경우 타입 인자의 수)가 맞지 않는 제네릭 메서드는 제외해 method group을 구성하기 때문에 "var z = new MyType().GenericMethod<int, int>;"의 소스코드에 대해서 2개의 타입 인자를 개발자가 명시했으므로 (1개의 타입 인자를 갖는) MyType.GenericMethod는 제외가 된 것입니다. 결국, 1개의 메서드를 가진 method group이 되고 "자연 타입"이 있으므로 var 추론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정리해 보면, method group이나 자연 타입과 같은 기존 C# 문법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었던 생소한 단어로 제목("Method group natural type improvements")이 구성돼 이야기가 어렵게 되었지만, 한 마디로 그냥 var 추론에 대한 정확도가 높아졌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2정성태3/1/201225375Windows: 55. 윈도우 8 베타 설치 과정 [1]
1251정성태2/27/201229312VC++: 60. C/C++ Native 스레드 콜 스택 덤프를 얻는 공개 라이브러리 [2]파일 다운로드1
1250정성태2/27/201231440VC++: 59. C/C++ 프로젝트 빌드 속도 개선 - UnityBuild를 아세요? [3]
1249정성태2/26/201231120.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2]파일 다운로드3
1248정성태2/25/201242627.NET Framework: 310. C#의 Shift 비트 연산 정리파일 다운로드1
1247정성태2/25/201225290.NET Framework: 309. .NET 응용 프로그램에 기본 생성되는 스레드들에 대한 탐구 [1]파일 다운로드1
1246정성태2/25/201224875개발 환경 구성: 145. 한영 변환은 되지만, 정작 한글 입력이 안되는 경우
1245정성태2/25/201235587개발 환경 구성: 144. 윈도우에서도 유닉스처럼 명령행으로 원격 접속하는 방법
1244정성태2/24/201232779.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43정성태2/23/201232737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1]
1242정성태2/20/201239595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7]파일 다운로드1
1241정성태2/20/201226420.NET Framework: 30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ILMerge
1240정성태2/19/201232711디버깅 기술: 48. C/C++ JNI DLL을 Visual Studio로 디버깅하는 방법 [2]
1239정성태2/19/201224326.NET Framework: 306. 컴퓨터에 실행된 프로세스 중에 닷넷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는 방법 - C# [1]파일 다운로드1
1238정성태2/19/201228191.NET Framework: 305. GetPrivateProfileSection / WritePrivateProfileSection의 C# 버전파일 다운로드1
1237정성태2/18/201232530개발 환경 구성: 142. Windows Embedded POSReady 7 설치 [1]
1236정성태2/17/201228334개발 환경 구성: 141. Windows 2008 R2 RDP 라이선스 서버 설치하는 방법
1235정성태2/16/201226786.NET Framework: 304. Hyper-V의 가상 머신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4정성태2/16/201227182.NET Framework: 303. 원본 파일의 공백/라인을 유지한 체 XML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3정성태2/16/201233307.NET Framework: 302. supportedRuntime 옵션과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 [5]
1232정성태2/9/201229212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3]파일 다운로드1
1231정성태2/8/201238731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5]파일 다운로드1
1230정성태2/6/201224070개발 환경 구성: 140.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1229정성태2/4/201229093.NET Framework: 301. P/Invoke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C++/CLI가 선택되려면? [5]파일 다운로드1
1228정성태2/4/201278384.NET Framework: 300. C#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 [47]파일 다운로드1
1227정성태2/3/201229268.NET Framework: 299.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