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 ATL Simple Object 추가 시 error C2065: 'IDR_...': undeclared identifier

제 기억으로 예전에도 한 번 겪었던 오류인 듯한데, 오랜만에 다시 했는데도 여전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 아마도, 이제는 거의 ATL COM 개체를 만드는 사람들이 없는 것 같습니다.

현재 "ATL Project"를 선택한 다음, "Add" / "New Item..."을 선택하여 "ATL" 범주의 "ATL Simple Object"를 추가해 곧바로 빌드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error C2065: 'IDR_ATLSIMPLEOBJECT': undeclared identifier

오류가 발생하는 코드는, Simple Object로 추가한 헤더 파일의 DECLARE_REGISTRY_RESOURCEID인데요,

// ATLSimpleObject.h

class ATL_NO_VTABLE CATLSimpleObject :
    public CComObjectRootEx<CComSingleThreadModel>,
    public CComCoClass<CATLSimpleObject, &CLSID_ATLSimpleObject>,
    public IDispatchImpl<IATLSimpleObject, &IID_IATLSimpleObject, &LIBID_ATLProject1Lib, /*wMajor =*/ 1, /*wMinor =*/ 0>
{
public:
    CATLSimpleObject()
    {
    }

DECLARE_REGISTRY_RESOURCEID(IDR_ATLSIMPLEOBJECT)

// ...[생략]...
};

왜냐하면 실제로 IDR_ATLSIMPLEOBJECT 상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프로젝트 생성 시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소스코드 규칙에서 누락된 것이 아닌가 싶은데요, 어쩔 수 없습니다. ^^ 수작업으로 직접 맞춰줘야 합니다.

우선, DECLARE_REGISTRY_RESOURCEID는 보통 regsvr32.exe로 등록할 때 레지스트리에 COM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리소스 ID를 지정하는 것인데요, 재미있는 건 해당 rgs 파일은 프로젝트에 잘 생성돼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본 이름을 따른 경우 ATLSimpleObject.rgs라는 파일인데요, 따라서 이것을 rc 파일에 이렇게 추가하면 됩니다.

// ...[생략]...

IDR_ATLPROJECT1         REGISTRY                "ATLProject1.rgs"

IDR_ATLSIMPLEOBJECT         REGISTRY                "ATLSimpleObject.rgs"

// ...[생략]...

그다음 IDR_ATLSIMPLEOBJECT 상수를 Resource.h 파일에 추가합니다.

#define IDS_PROJNAME                    100
#define IDR_ATLPROJECT1                 101
#define IDR_ATLSIMPLEOBJECT                 102

이후 빌드하면 정상적으로 컴파일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53정성태3/24/201925106개발 환경 구성: 435.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
11852정성태3/20/201922522개발 환경 구성: 434.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파일 다운로드1
11851정성태3/19/201926675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2]
11850정성태3/18/201927309.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11849정성태3/18/201925972.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23191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27499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26463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25409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27609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22385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19364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19870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11840정성태3/13/201922726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9정성태3/12/201927753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3]
11838정성태3/7/201930851.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1]파일 다운로드1
11837정성태3/6/201944099기타: 74.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10]
11836정성태3/5/201927781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1]
11835정성태3/5/201925258.NET Framework: 810. C# 8.0의 Index/Range 연산자를 .NET Framework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비동기 스트림의 컴파일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834정성태3/4/201924025개발 환경 구성: 432. Visual Studio 없이 최신 C# (8.0)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방법
11833정성태3/4/201925926개발 환경 구성: 431.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파일 다운로드1
11832정성태3/4/201919665오류 유형: 524. Visual Studio CMake - rsync: connection unexpectedly closed
11831정성태3/4/201921543오류 유형: 523. Visual Studio 2019 - 새 창으로 뜬 윈도우를 닫을 때 비정상 종료
11830정성태2/26/201919994오류 유형: 522. 이벤트 로그 - Error opening event log file State. Log will not be processed. Return code from OpenEventLog is 87.
11829정성태2/26/201920994개발 환경 구성: 430.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 리눅스 환경 [1]
11828정성태2/26/201930169개발 환경 구성: 429. Component Services 관리자의 RuntimeBroker 설정이 2개 있는 경우 [8]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