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281. C# - Lock / Wait 상태에서도 일부 Win32 메시지 처리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7644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닷넷: 2281. C# - Lock / Wait 상태에서도 일부 Win32 메시지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688

닷넷: 2283. C# - Lock / Wait 상태에서도 STA COM 메서드 호출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695




C# - Lock / Wait 상태에서도 일부 Win32 메시지 처리

문서를 하나 읽다가 문득 아래의 문구에 꽂혔습니다. ^^

Interrupt can interrupt threads that are waiting to enter a lock. On Windows STA threads, waits for locks allow message pumping that can run other code on the same thread during a wait. Some features of the waits can be overridden by a custom SynchronizationContext.


일단, 저 문장을 시작하게 된 Interrupt에 대해서는 전에도 한 번 다룬 적이 있으니 넘어가겠습니다.

재미있는 건 그다음인데요, STA 스레딩 모델일 때 잠금에 대한 대기를 하는 동안 Win32 메시지 루프가 동작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좀 더 찾아보면,

Which blocking operations cause an STA thread to pump COM message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1571598/which-blocking-operations-cause-an-sta-thread-to-pump-com-messages

Is there a way to WAIT for a thread to complete processing while pumping windows message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540244/how-is-this-possible-onpaint-processed-while-in-waitone/4540745#4540745

다음의 메서드는 메시지 펌프 처리를 허용하는 반면,

  • Thread.Join
  • WaitHandle.WaitOne/WaitAny/WaitAll (WaitAll cannot be called from an STA thread though)
  • GC.WaitForPendingFinalizers
  • Monitor.Enter (and therefore lock) - under some conditions
  • ReaderWriterLock
  • BlockingCollection

Thread.Sleep, Console.ReadKey는 메시지 펌프 처리가 안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메시지들이 처리되는 것도 아니고 일부 제한적인 메시지만 처리한다고 하는데요, 정말 그런지 확인해 보고 싶어졌습니다. ^^

우선, 허용하는 메시지로는 (Win32 개발자에게는 친숙할 수밖에 없는) WM_PAINT가 있다고 하는데요, 그럼 이걸로 한 번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한 가지 문제가 있다면, (Vista 이후) Windows의 경우 Desktop Composition으로 인해 일단 한 번 윈도우가 화면에 그려졌으면 이후 다른 윈도우에 의해 가려지고 다시 나타났다고 해서 WM_PAINT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쉽게 말해 WM_PAINT의 발생이 쉽지 않다는 점인데요, 대신 이걸 강제로 발생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즉, offscreen surface를 소유한 dwm.exe 프로세스를 그냥 작업 관리자를 이용해 강제로 종료하면 이후 dwm.exe가 재시작하면서 offscreen surface를 다시 구하기 위해 반드시 응용 프로그램에는 WM_PAINT를 전송하는 과정을 거치게 될 텐데 그걸 이용하면 됩니다.

자, 그럼 코드로 테스트를 해볼까요? ^^

코드는 Windows Forms 기본 프로젝트를 만들고 Monitor.Enter로 잠금을 유지할 스레드 하나와, 그로 인해 동일한 잠금을 획득할 수 없어 블록킹이 발생하는 코드를 수행하도록 버튼에 이벤트 핸들러를 두는 것으로 재현이 가능합니다.

namespace WinFormsApp1;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const uint WM_PAINT = 0x000F;

    static object s_lock = new();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new Thread(() =>
        {
            lock (s_lock)
            {
                Thread.Sleep(-1); // 잠금 상태 유지
            }
        })
        { IsBackground = true }.Start();
    }

    protected override void WndProc(ref Message m)
    {
        base.WndProc(ref m);
        if (m.Msg == WM_PAINT) // WM_PAINT 발생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DateTime.Now} - WndProc - WM_PAINT");
        }
    }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lock (s_lock) // s_lock을 얻기 위해 무한 대기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DateTime.Now} - You will never see this message!");
        }
    }
}

테스트 순서는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1. Visual Studio에서 F5 디버깅 실행
  2. button1 클릭
  3. 작업 관리자에서 dwm.exe 강제 종료
  4. Visual Studio의 Output 창에 "WM_PAINT"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

실제로 해보면 정말 WM_PAINT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내부의 "그리기" 작업도 끝나 윈도우 화면은 다음과 같이 잘 보입니다.

msg_pump_in_wait_1.png

그렇다면 lock 대신 Thread.Sleep으로 대기를 하도록 바꾸면 어떻게 될까요?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lock (s_lock)
    //{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DateTime.Now} - You will never see this message!");
    //}

    Thread.Sleep(Timeout.Infinite);
}

Q&A 글에 따르면, Thread.Sleep은 메시지 펌핑 처리가 안 된다고 하는데요, 따라서 이전에 수행했던 테스트 과정을 그대로 해보면, Output 창에서 "WM_PAINT" 메시지를 볼 수 없습니다. 게다가 Window 화면도 내부의 "그리기" 작업이 없어 버튼 윈도우 등의 내용이 없습니다.

msg_pump_in_wait_2.png

그다지 유용할 것은 없지만, 테스트를 위한 관련 지식을 통합하는 과정에 묘미가 있을 듯합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61정성태12/3/202116479개발 환경 구성: 609.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1]
12860정성태12/1/202113013오류 유형: 767. SQL Server - 127.0.0.1로 접속하는 경우 "Access is denied"가 발생한다면?
12859정성태12/1/202120654개발 환경 구성: 608. Hyper-V 가상 머신에 Console 모드로 로그인하는 방법
12858정성태11/30/202117963개발 환경 구성: 607. 로컬의 USB 장치를 원격 머신에 제공하는 방법 - usbip-win
12857정성태11/24/202114795개발 환경 구성: 606. WSL Ubuntu 20.04에서 파이썬을 위한 uwsgi 설치 방법
12856정성태11/23/202117408.NET Framework: 1121. C# - 동일한 IP:Port로 바인딩 가능한 서버 소켓 [2]
12855정성태11/13/202113337개발 환경 구성: 605. Azure App Service - Kudu SSH 환경에서 FTP를 이용한 파일 전송
12854정성태11/13/202115530개발 환경 구성: 604. Azure - 윈도우 VM에서 FTP 여는 방법
12853정성태11/10/202113733오류 유형: 766. Azure App Service - JBoss 호스팅 생성 시 "This region has quota of 0 PremiumV3 instances for your subscription. Try selecting different region or SKU."
12851정성태11/1/202115268스크립트: 34. 파이썬 - MySQLdb 기본 예제 코드
12850정성태10/27/202116827오류 유형: 765. 우분투에서 pip install mysqlclient 실행 시 "OSError: mysql_config not found" 오류
12849정성태10/17/202116265스크립트: 33. JavaScript와 C#의 시간 변환 [1]
12848정성태10/17/202116175스크립트: 32. 파이썬 - sqlite3 기본 예제 코드 [1]
12847정성태10/14/202116217스크립트: 31. 파이썬 gunicorn - WORKER TIMEOUT 오류 발생
12846정성태10/7/202117204스크립트: 30. 파이썬 __debug__ 플래그 변수에 따른 코드 실행 제어
12845정성태10/6/202115806.NET Framework: 1120. C# - BufferBlock<T> 사용 예제 [5]파일 다운로드1
12844정성태10/3/202113412오류 유형: 764. MSI 설치 시 "... is accessible and not read-only." 오류 메시지
12843정성태10/3/202113953스크립트: 29. 파이썬 - fork 시 기존 클라이언트 소켓 및 스레드의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842정성태10/1/202133807오류 유형: 763. 파이썬 오류 - AttributeError: type object '...' has no attribute '...'
12841정성태10/1/202116350스크립트: 28. 모든 파이썬 프로세스에 올라오는 특별한 파일 - sitecustomize.py
12840정성태9/30/202116143.NET Framework: 1119. Entity Framework의 Join 사용 시 다중 칼럼에 대한 OR 조건 쿼리파일 다운로드1
12839정성태9/15/202118147.NET Framework: 1118. C# 11 - 제네릭 타입의 특성 적용파일 다운로드1
12838정성태9/13/202117171.NET Framework: 1117. C# - Task에 전달한 Action, Func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async/await 비동기 처리 [2]파일 다운로드1
12837정성태9/11/202115206VC++: 151. Golang - fmt.Errorf, errors.Is, errors.As 설명
12836정성태9/10/202115457Linux: 45. 리눅스 - 실행 중인 다른 프로그램의 출력을 확인하는 방법
12835정성태9/7/202117284.NET Framework: 1116. C# 10 - (15) CallerArgumentExpression 특성 추가 [2]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