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093

디버깅 기술: 197. Windbg - PE 포맷의 Export Directory 탐색
; https://www.sysnet.pe.kr/2/0/13689

디버깅 기술: 199. Windbg - 리눅스에서 뜬 닷넷 응용 프로그램 덤프 파일에 포함된 DLL의 Export Directory 탐색
; https://www.sysnet.pe.kr/2/0/13692

디버깅 기술: 200. DLL Export/Import의 Hint 의미
; https://www.sysnet.pe.kr/2/0/13700




Windbg - 리눅스에서 뜬 닷넷 응용 프로그램 덤프 파일에 포함된 DLL의 Export Directory 탐색

리눅스에서 실행한 닷넷 응용 프로그램을 "dotnet-dump"로 덤프를 뜰 수 있는데요, 재미있게도 해당 덤프 파일을 Windbg에서도 그대로 열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m 명령을 내리면 이렇게 로딩된 PE 목록이 나오는데요,

0:000> lm
start             end                 module name
000055c1`e5672000 000055c1`e5696000   dotnet     (deferred)             
00007f34`35a30000 00007f34`36338400   System_Private_CoreLib   (deferred)      
...[생략]...

아쉬운 것은, 윈도우와는 달리 dt 명령어들이 동작하지 않지만,

0:000> dt -n _IMAGE_DOS_HEADER
...[생략]...
Symbol _IMAGE_DOS_HEADER not found.

그래도 PE(Portable Executable) 구조를 따라 닷넷 DLL들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기존 지식을 활용해 분석할 수는 있습니다.

게다가 windbg의 명령어들은 여전히 동작하는데요, 다행히 그중 dh도 있습니다.

0:000> !dh 00007f34`35a30000 -f

File Type: DLL
FILE HEADER VALUES
    FD1D machine (Unknown)
       3 number of sections
99DB2862 time date stamp Thu Oct 19 06:19:30 2051

       0 file pointer to symbol table
       0 number of symbols
      F0 size of optional header
    2022 characteristics
            Executable
            App can handle >2gb addresses
            DLL

OPTIONAL HEADER VALUES
     20B magic #
   11.00 linker version
       0 size of code
       0 size of initialized data
       0 size of uninitialized data
       0 address of entry point
       0 base of code
         ----- new -----
0000000005000000 image base
     200 section alignment
     200 file alignment
       3 subsystem (Windows CUI)
    5.02 operating system version
    0.00 image version
    5.02 subsystem version
  908400 size of image
     200 size of headers
       0 checksum
0000000000400000 size of stack reserve
0000000000004000 size of stack commit
0000000000000000 size of heap reserve
0000000000000000 size of heap commit
    8160  DLL characteristics
            High entropy VA supported
            Dynamic base
            NX compatible
            Terminal server aware
  8F1D5C [      43] address [size] of Export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Import Directory
   42800 [     494] address [size] of Resource Directory
   4301C [   59124] address [size] of Exception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Security Directory
  901E00 [    6514] address [size] of Base Relocation Directory
  8F1894 [      38] address [size] of Debug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Description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Special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Thread Storage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Load Configuration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Bound Import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Import Address Table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Delay Import Directory
   42CA0 [      48] address [size] of COR20 Header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Reserved Directory

Export DataDirectory의 VirtualAddress == 8F1D5C, Size == 43인데 이를 이용해 IMAGE_EXPORT_DIRECTORY를 덤프해 보면,

0:000> dd 00007f34`35a30000+8F1D5C LA
00007f34`36321d5c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8f1d84
00007f34`36321d6c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7f34`36321d7c  00000000 00000000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ublic struct IMAGE_EXPORT_DIRECTORY
{
    public uint Characteristics; // 00000000
    public uint TimeDateStamp;   // 00000000
    public short MajorVersion;   // 0000
    public short MinorVersion;   // 0000
    public uint Name;            // 008f1d84
    public uint Base;            // 00000000
    public uint NumberOfFunctions;     // 00000000
    public uint NumberOfNames;         // 00000000
    public uint AddressOfFunctions;    // 00000000
    public uint AddressOfNames;        // 00000000
    public uint AddressOfNameOrdinals; // 00000000
}

보는 바와 같이 DLL의 이름을 가리키는 Name 필드를 제외하고는 설정된 것이 없습니다.

0:000> da 00007f34`35a30000+008f1d84
00007f34`36321d84  "System.Private.CoreLib.dll"

또한, 이전과 달리 Export DataDirectory의 크기가 별도 여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정확히 저 DLL 이름까지만 포함하고 있습니다.

0:000> db 00007f34`35a30000+8F1D5C L43
00007f34`36321d5c  00 00 00 00 00 00 00 00-00 00 00 00 84 1d 8f 00  ................
00007f34`36321d6c  00 00 00 00 00 00 00 00-00 00 00 00 00 00 00 00  ................
00007f34`36321d7c  00 00 00 00 00 00 00 00-53 79 73 74 65 6d 2e 50  ........System.P
00007f34`36321d8c  72 69 76 61 74 65 2e 43-6f 72 65 4c 69 62 2e 64  rivate.CoreLib.d
00007f34`36321d9c  6c 6c 00      

그래서, 거창한 제목과는 달리 ^^ 딱히 Export Data Directory에 대해 탐색할 것이 없습니다.

암튼, .NET DLL이 PE 포맷을 따르는 덕분에 Windbg로 기존 지식을 활용해 분석할 수 있어서 디버깅도 한결 쉽게 되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00정성태4/17/201824122개발 환경 구성: 368. PowerShell로 접근하는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9정성태4/17/201822199개발 환경 구성: 367. Azure - New-AzureRmADServicePrincipal / New-AzureRmRoleAssignment 명령어
11498정성태4/17/201822238개발 환경 구성: 366. Azure Active Directory(Microsoft Enfra ID)의 사용자 유형 구분 - Guest/Member
11497정성태4/17/201819748개발 환경 구성: 365. Azure 리소스의 액세스 제어(Access control) 별로 사용자에게 권한을 할당하는 방법 [2]
11496정성태4/17/201820643개발 환경 구성: 364. Azure Portal에서 구독(Subscriptions) 메뉴가 보이지 않는 경우
11495정성태4/16/201821603개발 환경 구성: 363.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4정성태4/16/201817571개발 환경 구성: 362. Azure Web Apps(App Services)에 사용자 DNS를 지정하는 방법
11493정성태4/16/201819384개발 환경 구성: 361. Azure Web App(App Service)의 HTTP/2 프로토콜 지원
11492정성태4/13/201817822개발 환경 구성: 360. Azure Active Directory의 사용자 도메인 지정 방법
11491정성태4/13/201821103개발 환경 구성: 359. Azure 가상 머신에 Web Application을 배포하는 방법
11490정성태4/12/201819951.NET Framework: 739. .NET Framework 4.7.1의 새 기능 - Configuration builders [1]파일 다운로드1
11489정성태4/12/201817775오류 유형: 463. 윈도우 백업 오류 - a Volume Shadow Copy Service operation failed.
11488정성태4/12/201822302오류 유형: 462. Unhandled Exception in Managed Code Snap-in - FX:{811FD892-5EB4-4E73-A147-F1E079E36C4E}
11487정성태4/12/201819410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정적(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
11486정성태4/11/201818397오류 유형: 461. Error MSB4064 The "ComputeOutputOnly" parameter is not supported by the "VsTsc" task
11485정성태4/11/201827510.NET Framework: 738. C# - Console 프로그램이 Ctrl+C 종료 시점을 감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84정성태4/11/201829100.NET Framework: 737. C# - async를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83정성태4/10/201832670개발 환경 구성: 358.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2) [1]
11482정성태4/10/201823963VC++: 126. CUDA Core 수를 알아내는 방법
11481정성태4/10/201836783개발 환경 구성: 357. CUDA의 인덱싱 관련 용어 - blockIdx, threadIdx, blockDim, gridDim
11480정성태4/9/201826519.NET Framework: 736. C# - API를 사용해 Azure에 접근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479정성태4/9/201820513.NET Framework: 735. Azure - PowerShell로 Access control(IAM)에 새로운 계정 만드는 방법
11478정성태11/8/201924424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
11477정성태4/8/201820967오류 유형: 460. windbg - sos 명령어 수행 시 c0000006 오류 발생
11476정성태4/8/201822313디버깅 기술: 114. windbg - !threads 출력 결과로부터 닷넷 관리 스레드(System.Threading.Thread) 객체를 구하는 방법
11475정성태3/28/201826054디버깅 기술: 113. windbg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에 대한 덤프 분석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