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2093

디버깅 기술: 197. Windbg - PE 포맷의 Export Directory 탐색
; https://www.sysnet.pe.kr/2/0/13689

디버깅 기술: 199. Windbg - 리눅스에서 뜬 닷넷 응용 프로그램 덤프 파일에 포함된 DLL의 Export Directory 탐색
; https://www.sysnet.pe.kr/2/0/13692

디버깅 기술: 200. DLL Export/Import의 Hint 의미
; https://www.sysnet.pe.kr/2/0/13700




Windbg - 리눅스에서 뜬 닷넷 응용 프로그램 덤프 파일에 포함된 DLL의 Export Directory 탐색

리눅스에서 실행한 닷넷 응용 프로그램을 "dotnet-dump"로 덤프를 뜰 수 있는데요, 재미있게도 해당 덤프 파일을 Windbg에서도 그대로 열어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m 명령을 내리면 이렇게 로딩된 PE 목록이 나오는데요,

0:000> lm
start             end                 module name
000055c1`e5672000 000055c1`e5696000   dotnet     (deferred)             
00007f34`35a30000 00007f34`36338400   System_Private_CoreLib   (deferred)      
...[생략]...

아쉬운 것은, 윈도우와는 달리 dt 명령어들이 동작하지 않지만,

0:000> dt -n _IMAGE_DOS_HEADER
...[생략]...
Symbol _IMAGE_DOS_HEADER not found.

그래도 PE(Portable Executable) 구조를 따라 닷넷 DLL들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기존 지식을 활용해 분석할 수는 있습니다.

게다가 windbg의 명령어들은 여전히 동작하는데요, 다행히 그중 dh도 있습니다.

0:000> !dh 00007f34`35a30000 -f

File Type: DLL
FILE HEADER VALUES
    FD1D machine (Unknown)
       3 number of sections
99DB2862 time date stamp Thu Oct 19 06:19:30 2051

       0 file pointer to symbol table
       0 number of symbols
      F0 size of optional header
    2022 characteristics
            Executable
            App can handle >2gb addresses
            DLL

OPTIONAL HEADER VALUES
     20B magic #
   11.00 linker version
       0 size of code
       0 size of initialized data
       0 size of uninitialized data
       0 address of entry point
       0 base of code
         ----- new -----
0000000005000000 image base
     200 section alignment
     200 file alignment
       3 subsystem (Windows CUI)
    5.02 operating system version
    0.00 image version
    5.02 subsystem version
  908400 size of image
     200 size of headers
       0 checksum
0000000000400000 size of stack reserve
0000000000004000 size of stack commit
0000000000000000 size of heap reserve
0000000000000000 size of heap commit
    8160  DLL characteristics
            High entropy VA supported
            Dynamic base
            NX compatible
            Terminal server aware
  8F1D5C [      43] address [size] of Export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Import Directory
   42800 [     494] address [size] of Resource Directory
   4301C [   59124] address [size] of Exception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Security Directory
  901E00 [    6514] address [size] of Base Relocation Directory
  8F1894 [      38] address [size] of Debug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Description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Special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Thread Storage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Load Configuration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Bound Import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Import Address Table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Delay Import Directory
   42CA0 [      48] address [size] of COR20 Header Directory
       0 [       0] address [size] of Reserved Directory

Export DataDirectory의 VirtualAddress == 8F1D5C, Size == 43인데 이를 이용해 IMAGE_EXPORT_DIRECTORY를 덤프해 보면,

0:000> dd 00007f34`35a30000+8F1D5C LA
00007f34`36321d5c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8f1d84
00007f34`36321d6c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7f34`36321d7c  00000000 00000000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ublic struct IMAGE_EXPORT_DIRECTORY
{
    public uint Characteristics; // 00000000
    public uint TimeDateStamp;   // 00000000
    public short MajorVersion;   // 0000
    public short MinorVersion;   // 0000
    public uint Name;            // 008f1d84
    public uint Base;            // 00000000
    public uint NumberOfFunctions;     // 00000000
    public uint NumberOfNames;         // 00000000
    public uint AddressOfFunctions;    // 00000000
    public uint AddressOfNames;        // 00000000
    public uint AddressOfNameOrdinals; // 00000000
}

보는 바와 같이 DLL의 이름을 가리키는 Name 필드를 제외하고는 설정된 것이 없습니다.

0:000> da 00007f34`35a30000+008f1d84
00007f34`36321d84  "System.Private.CoreLib.dll"

또한, 이전과 달리 Export DataDirectory의 크기가 별도 여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정확히 저 DLL 이름까지만 포함하고 있습니다.

0:000> db 00007f34`35a30000+8F1D5C L43
00007f34`36321d5c  00 00 00 00 00 00 00 00-00 00 00 00 84 1d 8f 00  ................
00007f34`36321d6c  00 00 00 00 00 00 00 00-00 00 00 00 00 00 00 00  ................
00007f34`36321d7c  00 00 00 00 00 00 00 00-53 79 73 74 65 6d 2e 50  ........System.P
00007f34`36321d8c  72 69 76 61 74 65 2e 43-6f 72 65 4c 69 62 2e 64  rivate.CoreLib.d
00007f34`36321d9c  6c 6c 00      

그래서, 거창한 제목과는 달리 ^^ 딱히 Export Data Directory에 대해 탐색할 것이 없습니다.

암튼, .NET DLL이 PE 포맷을 따르는 덕분에 Windbg로 기존 지식을 활용해 분석할 수 있어서 디버깅도 한결 쉽게 되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4정성태9/19/201224482.NET Framework: 338. .NET CLR GC 시간 측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3정성태9/17/201225770.NET Framework: 337. Python의 생성기와 코루틴을 C#으로 표현하면. [2]파일 다운로드1
1352정성태9/13/201223824.NET Framework: 336. .NET Profiler가 COM 개체일까?
1351정성태9/13/201228252디버깅 기술: 49. windbg - .NET Framework 스레드 개체의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
1350정성태9/12/201228905개발 환경 구성: 167. (실은) 무료가 아니었던 AWS EC2 서비스 [4]
1349정성태9/11/201260649VS.NET IDE: 74. Visual Studio의 '새 파일'을 UTF-8 인코딩으로 지정하는 방법 [4]
1348정성태9/11/201228084오류 유형: 164. Active Directory - Functional Level 승격이 안 되는 문제
1347정성태9/10/201230571Windows: 62.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 서버 마이그레이션 [1]
1346정성태9/10/201231415Windows: 61. 윈도우 서버 2012 - Active Directory 서버 마이그레이션
1345정성태9/10/201235460스크립트: 12. 파이썬 - Win32 DLL 연동 [2]
1344정성태9/10/201228579오류 유형: 163. .NET Framework 4.5 제거 후 Visual Studio 2010 실행 시 Unknown Error
1343정성태9/8/201242346스크립트: 11. 파이썬(Python) 윈도우 개발 환경 [7]
1342정성태9/6/201226556VS.NET IDE: 73. Visual Studio 2012 - XmlCodeGenerator 마이그레이션
1341정성태9/4/201235848Windows: 60. Hyper-V에서 RemoteFX 없이 DirectX 11 제공 [12]
1340정성태9/4/201228042개발 환경 구성: 166. DOS - ping 결과에서 평균 응답 시간값 추출하기 [3]
1339정성태9/4/201230481개발 환경 구성: 165. 새로운 Visual Studio 2012 원격 디버깅 툴 [5]
1338정성태9/4/201232299.NET Framework: 335. C# - (핸들을 이용하여) 모든 열린 파일을 열람 [6]파일 다운로드1
1337정성태8/30/201222082Phone: 7. 디버거로 실습해 보는 윈도우 폰의 Tombstone 상태파일 다운로드1
1336정성태8/30/201240150.NET Framework: 334. 스레드 비정상 종료로 발생하는 CLOSE_WAIT 소켓 상태 [2]파일 다운로드1
1335정성태8/30/201228898Windows: 59. Hyper-V Internal 네트워크 VM의 인터넷 접속
1334정성태8/29/201248198.NET Framework: 333. 코드로 재현하는 소켓 상태(FIN_WAIT1, FIN_WAIT2, TIME_WAIT, CLOSE_WAIT, LAST_WAIT) [6]
1333정성태8/27/201251621개발 환경 구성: 164. system32 폴더에 있는 파일의 권한 조정 [2]
1332정성태8/23/201223527Team Foundation Server: 48. TFS - Team Project Collection 이전하는 방법
1331정성태8/23/201226676오류 유형: 162. Database '...' already exists. Choose a different database nam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801)
1330정성태8/22/201227417Team Foundation Server: 47. 5인 이내의 팀, 또는 개인 로컬 소스 관리를 위한 무료 TFS Express
1329정성태8/21/201222904오류 유형: 161. Azure - Storage 삭제가 안되는 경우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