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27. ClickOnce로 ActiveX를 같이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92

개발 환경 구성: 133.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67

개발 환경 구성: 469.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
; https://www.sysnet.pe.kr/2/0/12160

개발 환경 구성: 717. Visual Studio - C# 프로젝트에서 레지스트리에 등록하지 않은 COM 개체 참조 및 사용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693




Visual Studio - C# 프로젝트에서 레지스트리에 등록하지 않은 COM 개체 참조 및 사용 방법

테스트를 위해 ATL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했는데, 약간의 문제는 있었지만 HelloWorld 함수를 하나 추가한 COM 서버 예제를 만들었습니다.

// ...[생략]...

[
    object,
    uuid(53ad801e-eaa0-49b5-80b0-0a00222ec0a4),
    dual,
    nonextensible,
    pointer_default(unique)
]
interface IATLSimpleObject : IDispatch
{
    [id(1)] HRESULT HelloWorld([in] BSTR text);
};
[
    uuid(240e2ba0-1248-48d2-9165-0fdb5d40c710),
    version(1.0),
]
library ATLProject1Lib
{
    importlib("stdole2.tlb");
    [
        uuid(9818df4f-d77f-4d1d-a094-82632f6a0ffd)
    ]
    coclass ATLSimpleObject
    {
        [default] interface IATLSimpleObject;
    };
};

import "shobjidl.idl";

STDMETHODIMP CATLSimpleObject::HelloWorld(BSTR text)
{
    int needBytes = WideCharToMultiByte(CP_ACP, 0, text, -1, NULL, 0, NULL, NULL);
    char *ptr = new char[needBytes];

    WideCharToMultiByte(CP_ACP, 0, text, -1, ptr, needBytes, NULL, NULL);

    printf("%s HelloWorld\n", ptr);

    delete []ptr;
    return S_OK;
}

개인적으로 레지스트리를 어지럽히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위의 프로젝트를 빌드와 함께 등록하는 것을 원치 않으므로 프로젝트 설정에서 "Linker" / "General" 범주의 "Register Output" 속성을 "No"로 설정했습니다. (사실, Visual Studio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지 않으면 빌드 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자, 그럼 위의 ATL 프로젝트를 Windows Forms 프로젝트에서 참조해 볼까요? .NET 8 기본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솔루션 탐색기의 프로젝트 노드를 우클릭해 "Add" / "COM Reference..."를 선택, "Browse..." 버튼을 눌러 "./x64/Debug" 폴더에 있는 "ATLProject1.dll" 파일을 선택하면 COM 서버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그렇게 돼야 하는데요, Visual Studio 2022 현재 버전에서는 "The reference is invalid or unsupported"라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반면, 해당 COM 개체를 "regsvr32"를 이용해 등록하면 정상적으로 csproj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추가됩니다.

<ItemGroup>
    <COMReference Include="ATLProject1Lib">
    <VersionMinor>0</VersionMinor>
    <VersionMajor>1</VersionMajor>
    <Guid>240e2ba0-1248-48d2-9165-0fdb5d40c710</Guid>
    <Lcid>0</Lcid>
    <WrapperTool>tlbimp</WrapperTool>
    <Isolated>false</Isolated>
    <EmbedInteropTypes>true</EmbedInteropTypes>
    </COMReference>
</ItemGroup>

만약 레지스트리 등록을 피하고 싶다면? 어쩔 수 없습니다, 그런 경우 원칙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즉, tlbimp.exe를 이용해 직접 COM 서버를 위한 C# Interop DLL을 생성하면 됩니다.

c:\temp> tlbimp /machine:X64 ATLProject1.dll
Microsoft (R) .NET Framework Type Library to Assembly Converter 4.8.3928.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TlbImp : Type library imported to ATLProject1Lib.dll

저렇게 생성한 ATLProject1Lib.dll 파일을 C# 프로젝트에 참조하면,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Win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windows</TargetFramework>
        <Nullable>enable</Nullable>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PropertyGroup>

    <ItemGroup>
      <Reference Include="ATLProject1Lib">
        <HintPath>..\x64\Debug\ATLProject1Lib.dll</HintPath>
      </Reference>
    </ItemGroup>

</Project>

이제 다음과 같은 코딩이 인텔리센스의 도움을 받아 진행할 수 있습니다.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ATLProject1Lib.ATLSimpleObjectClass obj = new ATLProject1Lib.ATLSimpleObjectClass();
    obj.HelloWorld("TEST");
}




물론, 저렇게만 하고 실행하면 COM 개체를 찾을 수 없으므로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Exception
  HResult=0x80040154
  Message=Retrieving the COM class factory for component with CLSID {9818DF4F-D77F-4D1D-A094-82632F6A0FFD} failed due to the following error: 80040154 Class not registered (0x80040154 (REGDB_E_CLASSNOTREG)).
  Source=WinFormsApp1
  StackTrace:
   at WinFormsApp1.Form1.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at System.Windows.Forms.Form.OnLoad(EventArgs e)
   ...[생략]...

이를 해결하려면, 예전에 정리했던 글에 따라,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67

manifest 파일을 내장해야 합니다. 오랜만이니 이 과정까지 마저 마무리를 해볼까요? ^^

우선, manifest 파일은 1) 수작업으로 직접 만들 수도 있고, 2) "COMRegFreeManifest"와 같은 도구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편의상 ^^ 도구를 이용하겠습니다.

C:\temp> COMRegFreeManifest.exe ATLProject1.dll

C:\temp> dir *.manifest /b
ATLProject1.dll.manifest
Sample.exe.manifest

이렇게 생성한 ATLProject1.dll.manifest 파일과 ATLProject1.dll을 C# 프로젝트에 "Add as Link"로 추가해 CopyToOutputDirectory를 설정하면,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Win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windows</TargetFramework>
        <Nullable>enable</Nullable>
        <UseWindowsForms>true</UseWindowsForms>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PropertyGroup>

    <ItemGroup>
      <None Include="..\x64\Debug\ATLProject1.dll" Link="ATLProject1.dll">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None>
      <None Include="..\x64\Debug\ATLProject1.dll.manifest" Link="ATLProject1.dll.manifest">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None>
    </ItemGroup>

    <ItemGroup>
      <Reference Include="ATLProject1Lib">
        <HintPath>..\x64\Debug\ATLProject1Lib.dll</HintPath>
      </Reference>
    </ItemGroup>

</Project>

빌드 시마다 출력 폴더(예를 들어, "bin\Debug\net8.0-windows")에 DLL, manifest 파일이 복사됩니다. 물론, 이전의 과정은 수작업으로 했으므로 이후 변경 과정에서 불편함을 겪을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Build Events 등을 이용해 COMRegFreeManifest 등의 실행을 자동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Build Events" / "Post-Build Event"

pushd $(OutDir)
COMRegFreeManifest $(TargetFileName)
tlbimp /machine:X64 $(TargetFileName)
popd




그래도 아직, 마지막 작업이 남았지요. ^^ 바로 Windowns Forms EXE 프로젝트의 manifest 파일에 ATLProject1.dll.manifest 파일을 참조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Add" / "New Item..."을 선택하고 "Application Manifest File (Windows Only)" 항목을 "app.manifest" 이름으로 생성하고 다음의 내용을 추가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assembly manifestVersion="1.0"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assemblyIdentity version="1.0.0.0" name="MyApplication.app"/>

    <!-- ...[생략]... -->

    <dependency>
        <dependentAssembly dependencyType="install" codebase="ATLProject1.dll.manifest">
            <assemblyIdentity name="ATLProject1.dll" version="1.0.0.0" type="win32" />
        </dependentAssembly>
    </dependency>

</assembly>

그런데, 이렇게 하고 나서 빌드하면 이런 경고가 나올 것입니다.

warning MSB3270: There was a mismatch between the processor architecture of the project being built "MSIL" and the processor architecture of the reference "ATLProject1Lib", "AMD64". This mismatch may cause runtime failures. Please consider changing the targeted processor architecture of your project through the Configuration Manager so as to align the processor architectures between your project and references, or take a dependency on references with a processor architecture that matches the targeted processor architecture of your project.


무시해도 되지만, 그래도 COM DLL이 native DLL이므로 x64로 빌드된 것이니, C# 프로젝트 역시 AnyCPU보다는 x64로 명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다시 빌드하면 경고도 없고, 실행 시 (레지스트리 등록이 없음에도) COM 개체 사용에 문제없이 잘 동작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99정성태8/15/2025531닷넷: 2355. C# 14 - (8) null 조건부 연산자 개선 - 대입문에도 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3998정성태8/14/2025643닷넷: 2354. C# 14 - (7) 확장 메서드에 정적 메서드와 속성 지원을 위한 전용 구문 추가파일 다운로드1
13997정성태8/14/2025810Linux: 120. docker 컨테이너로 매핑된 볼륨에 컨테이너 측의 사용자 ID를 유지하면서 복사하는 방법
13996정성태8/13/2025509오류 유형: 978. Unable to find the requested .Net Framework Data Provider.
13995정성태8/13/2025560개발 환경 구성: 754. Visual C++ - 리눅스 빌드를 위한 Ubuntu 18 docker 컨테이너 설정
13994정성태8/12/2025585오류 유형: 977. SQL Server - User, group, or role '...' already exists in the current databas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5023)
13993정성태8/11/2025879오류 유형: 976. Microsoft.ML.OnnxRuntimeGenAI 패키지 사용 시 "cublasLt64_12.dll" which is missing. (Error 126: "The specified module could not be found.") 오류
13992정성태8/11/2025989닷넷: 2353. C# - Foundry Local을 이용한 gpt-oss-20b 모델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991정성태8/9/2025975오류 유형: 975. winget - Foundry Local 패키지 업데이트가 안 되는 문제
13990정성태8/8/2025789Windows: 283. Time zone 설정이 없는 Windows Server 2025
13989정성태8/8/20251166닷넷: 2352. C# - Windows S-mode 환경인지 체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988정성태8/8/20251296오류 유형: 974. 비주얼 스튜디오 업데이트 시 잠김 파일 경고 - Visual Studio Standard Collector Service 150 (VSStandardCollectorService150)
13987정성태8/7/2025965닷넷: 2351. C# 14 - (6) event와 생성자에도 partial 메서드 적용파일 다운로드1
13986정성태8/6/20251034닷넷: 2350. C# 14 - (5) 람다 매개 변수에 접근자가 있는 경우에도 타입 생략 가능파일 다운로드1
13985정성태8/6/20251379오류 유형: 973. "wsl --install" 명령어 수행 시 "The server name or address could not be resolved"
13984정성태8/6/20251193Windows: 282. 윈도우 운영체제에 추가된 ssh 서버(Win32-OpenSSH)
13983정성태8/4/20251260오류 유형: 972. .NET 8 이상만 지원하는 Microsoft.Data.SqlClient 6.1.0 버전
13982정성태8/2/20251648개발 환경 구성: 753. CentOS 7 컨테이너 내에서 openssh 서버 호스팅
13981정성태8/1/20251337오류 유형: 971. CentOS 7에서 yum 사용 시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13980정성태7/31/20251509Linux: 119.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2)
13979정성태7/30/20251832Linux: 118.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13978정성태7/29/20251679오류 유형: 970. 파일 복사 시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0x80070017)" 에러
13977정성태7/28/20251988닷넷: 2349. C# 14 - (4) 문자열 리터럴을 utf-8 인코딩으로 저장파일 다운로드1
13976정성태7/25/20251834닷넷: 2348. C# - 카카오 카나나 모델 + Microsoft.ML.OnnxRuntimeGenAI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975정성태7/23/20251728닷넷: 2347. C# 14 - (3) 형식 인자가 없는 제네릭 타입의 nameof 지원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