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282. C# - ASP.NET Core Web App의 Request 용량 상한값 (Kestrel, IIS)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8067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ASP.NET Core Web App의 Request 용량 상한값 (Kestrel, IIS)

가령, 이런 식으로 Web API를 노출한 경우,

[HttpPost("{file}")]
public async Task Post(string file)
{
    var request = HttpContext.Request;
    var stream = request.Body;
    var buffer = new byte[Convert.ToInt32(request.ContentLength)];
    await stream.ReadAsync(buffer, 0, buffer.Length);
    await System.IO.File.WriteAllBytesAsync(file, buffer);
}

이것에 약 28.6MB 정도(정확히는 30,000,000 바이트)를 초과하는 파일을 Post하는 경우 이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S C:\temp> (New-Object System.Net.WebClient).UploadData('http://localhost:21000/weatherforecast/test.zip', 'POST', [System.IO.File]::ReadAllBytes('c:\temp\test.zip'))
Exception calling "UploadData" with "3" argument(s): "The remote server returned an error: (500) Internal Server Error."
At line:1 char:1
+ (New-Object System.Net.WebClient).UploadData('http://localhost:21000/ ...
+ ~~~~~~~~~~~~~~~~~~~~~~~~~~~~~~~~~~~~~~~~~~~~~~~~~~~~~~~~~~~~~~~~~~~~~
    + CategoryInfo          : NotSpecified: (:) [], MethodInvocation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WebException

또는, "Bad Request"로 나오기도 하고,

PS C:\temp> (New-Object System.Net.WebClient).UploadData('http://localhost:21000/weatherforecast/test.zip', 'POST', [System.IO.File]::ReadAllBytes('c:\temp\test.zip'))
Exception calling "UploadData" with "3" argument(s): "The remote server returned an error: (400) Bad Request."
At line:1 char:1
+ (New-Object System.Net.WebClient).UploadData('http://localhost:21000 ...
+ ~~~~~~~~~~~~~~~~~~~~~~~~~~~~~~~~~~~~~~~~~~~~~~~~~~~~~~~~~~~~~~~~~~~~~
    + CategoryInfo          : NotSpecified: (:) [], MethodInvocation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WebException


또는 메시지가 좀 더 직관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The remote server returned an error: (413) Request Entity Too Large."

만약 해당 Web App을 디버깅 중이거나, 로그 파일을 본다면 동시에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출력될 것입니다.

Microsoft.AspNetCore.Diagnostics.DeveloperExceptionPageMiddleware: Error: An unhandled exception has occurred while executing the request.

Microsoft.AspNetCore.Server.Kestrel.Core.BadHttpRequestException: Request body too large.
   at Microsoft.AspNetCore.Server.Kestrel.Core.BadHttpRequestException.Throw(RequestRejectionReason reason)
   at Microsoft.AspNetCore.Server.Kestrel.Core.Internal.Http.Http1ContentLengthMessageBody.OnReadStarting()
   at Microsoft.AspNetCore.Server.Kestrel.Core.Internal.Http.MessageBody.TryStart()
   at Microsoft.AspNetCore.Server.Kestrel.Core.Internal.Http.Http1ContentLengthMessageBody.ReadAsyncInternal(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at Microsoft.AspNetCore.Server.Kestrel.Core.Internal.Http.HttpRequestStream.ReadAsyncInternal(Memory`1 buffer,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at net_build_helper.ValuesController.ReadAllBytes(Int32 contentLength)
   at net_build_helper.ValuesController.Post(String mode)
   ...[생략]...

원인은, 당연하겠지만 입력 크기의 제한에 걸렸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해결 방법은, Kestrel로 호스팅했느냐, IIS로 호스팅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그렇다면 현재 호스팅 환경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배포 환경이라면, IIS에 명시적으로 올리지 않는 한 Kestrel로 호스팅되고 있을 것입니다. 반면, Visual Studio에서 개발 중이라면 디버그 타깃을 보면 됩니다.

vs_debug_target_1.png

저기에 "IISExpress"로 선택돼 있다면 IIS 호스팅이고, 그 외의 것은 모두 Kestrel로 호스팅된다고 보면 됩니다.




우선, Kestrel로 호스팅하고 있는 경우의 대처를 볼까요? .NET 8 Web App 프로젝트라면 Program.cs 파일에서 다음과 같은 옵션을 주면 됩니다.

using System.Diagnostics;

namespace WebApplication1;

public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builder = WebApplication.CreateBuilder(args);

        builder.WebHost.ConfigureKestrel(options =>
        {
            options.Limits.MaxRequestBodySize = 50 * 1024 * 1024;
        });

        // ...[생략]...

        app.Run();
    }
}

KestrelServerOptions.Limits.MaxRequestBodySize 속성의 기본값은 30,000,000 바이트이므로 위의 경우에는 50MB로 늘린 사례입니다.

참고로, ConfigureKestrel 말고 UseKestrel로 설정해도 됩니다.

builder.WebHost.UseKestrel((options) =>
{
    options.Limits.MaxRequestBodySize = 50 * 1024 * 1024;
});

단지, 이렇게 한 경우에는 명시적으로 Kestrel Web Server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므로, 해당 웹 앱을 IIS에서 호스팅하면 안 됩니다. 만약 그렇게 되면 app.Run 시점에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HResult=0x80131509
  Message=Application is running inside IIS process but is not configured to use IIS server.
  Source=Microsoft.AspNetCore.Server.IIS
  StackTrace:
   at Microsoft.AspNetCore.Server.IIS.Core.IISServerSetupFilter.<>c__DisplayClass0_0.<Configure>b__0(IApplicationBuilder app)
   ...[생략]...

따라서 강제로 Kestrel로 호스팅해야 할 목적이 아니라면, 가능한 ConfigureKestrel로 옵션을 바꾸는 것이 좋고, 그런 경우 설령 IIS(Express)에서 실행하더라도 ConfigureKestrel 코드를 수행하지 않고 그냥 무시하는 수준에서 그칩니다.




자, 그럼 IIS(Express)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IIS는 독립적인 Web Server이고, .NET 런타임에 앞서 web.config의 설정에 따른 제어를 받습니다. 실제로, 위의 Upload 테스트를 Kestrel 호스팅 환경에서 해보면, 요청이 적어도 Web API까지는 진입을 하고 ReadAsync로 읽어내는 중에 "Request Entity Too Large" 예외가 발생하지만, IIS에서는 닷넷 코드로 진입하기 전에 요청이 거부됩니다.

다시 말해, 닷넷 코드에서 MaxRequestBodySize를 변경해 봤자 IIS 입장에서는 그 사실을 알 수 없으므로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결국 위의 예제에 다음과 같이 코드를 추가해,

using Microsoft.AspNetCore.Server.IIS;

// ...[생략]...

builder.Services.Configure<IISServerOptions>(options =>
{
    options.MaxRequestBodySize = 50 * 1024 * 1024; // 50MB
});

실행해 보면, 여전히 "Request Entity Too Large" 예외가 발생합니다. 반면, web.config에 관련 설정을 해두면,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system.webServer>
        <security>
            <requestFiltering>
                <requestLimits maxAllowedContentLength="1073741824" />
            </requestFiltering>
        </security>
    </system.webServer>
</configuration>

50MB까지의 요청을 잘 받아들입니다. 아니, 그런데 maxAllowedContentLength에는 100MB를 설정했는데 왜 50MB일까요? 그것은 Configure 코드에서 MaxRequestBodySize를 50MB로 제한했기 때문입니다. 사실 IISServerOptions.MaxRequestBodySize는 초깃값을 web.config의 maxAllowedContentLength로부터 가져옵니다.

정리해 보면, IIS 호스팅인 경우에는 web.config의 maxAllowedContentLength 속성을 상한으로, ASP.NET 코드 내에서 IISServerOptions.MaxRequestBodySize를 통해 maxAllowedContentLength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 동적으로 변경해야 할 일이 없다면, 그냥 web.config에 설정을 추가하면 되고, 그렇지 않고 코드로 변경해야 한다면 web.config에는 최댓값을 설정한 후 코드로 제어를 하는 식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어차피, Configure 코드는 다른 호스팅에서는 무시하므로 둘 다 기본으로 코드를 추가해 설정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long maxRequest = 50 * 1024 * 1024;

builder.Services.Configure<IISServerOptions>(options =>
{
    options.MaxRequestBodySize = maxRequest;
});

builder.WebHost.ConfigureKestrel(options =>
{
    options.Limits.MaxRequestBodySize = maxRequest;
});

저 상태에서 IIS를 위해서만 특별히 web.config에 설정을 추가하는 식으로 관리하면 될 것입니다. 대신 나중에 코드로 값을 변경해도 반영이 안된다는 것에 자칫 헤맬 수 있으므로 web.config에 대해서만 크기를 (uint 타입의 최대 크기인) 4,294,967,295 (약 3.99GB)로 설정하면 될 텐데요, 단지 이런 경우에 문제라면 원치 않는 크기의 요청이 있을 때 IIS 수준에서 걸러지지 않고 닷넷 런타임까지 넘어온다는 점입니다. 어쩔 수 없습니다, 최적의 성능을 원한다면 두 곳 모두 수정하든가 하는 식의 관리 체계를 탄탄하게 마련해야 합니다.

참고로, MaxRequestBodySize 설정은 닷넷 5 이하에서 만들어진 ASP.NET Core Web App 프로젝트라면 Program.cs의 CreateHostBuilder 메서드에 Kestrel 옵션을 적용할 수 있고,

// .NET 5 이하

public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reateHostBuilder(args).Build().Run();
    }

    public static IHostBuilder CreateHostBuilder(string[] args) =>
        Host.CreateDefaultBuilder(args)
            .ConfigureWebHostDefaults(webBuilder =>
            {
                webBuilder.UseStartup<Startup>();

                webBuilder.ConfigureKestrel(serverOptions =>
                {
                    serverOptions.Limits.MaxRequestBodySize = 50 * 1024 * 1024;
                });
            });
}

Startup.cs의 ConfigureServices 메서드에서 IIS 옵션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NET 5 이하

public void ConfigureServices(IServiceCollection services)
{
    services.AddControllers();

    services.Configure<IISServerOptions>(options =>
    {
        options.MaxRequestBodySize = 50 * 1024 * 1024;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5정성태9/17/201126194Windows: 54. Windows 8 개발자 Preview를 사용해 보고... [2]
1124정성태9/17/201126453.NET Framework: 240. System.Collections.ArrayList가 .NET 4.5에서 지원이 안된다??? [2]
1123정성태9/17/201165273Windows: 53. 2가지 모드의 Internet Explorer 10과 ActiveX [6]
1122정성태9/16/201132932Windows: 52. 새롭게 지원되는 WinRT 응용 프로그램 [7]
1121정성태9/12/201127766Java: 5. WTP 내에서 서블릿을 실행하는 환경
1120정성태9/11/201127668.NET Framework: 239. IHttpHandler.IsReusable 속성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19정성태9/11/201126772Java: 4. 이클립스에 WTP SDK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2]
1118정성태9/11/201138438Java: 3. 이클립스에서 서블릿 디버깅하는 방법 [4]
1117정성태9/9/201125727제니퍼 .NET: 17.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2) - 웹 애플리케이션 hang의 원인을 알려주다.
1116정성태9/8/201156803Java: 2. 자바에서 "Microsoft SQL Server JDBC Driver" 사용하는 방법
1115정성태9/4/201130284Java: 1. 닷넷 개발자가 처음 실습해 본 서블릿
1114정성태9/4/201134779Math: 2. "Zhang Suen 알고리즘(세선화, Thinning/Skeletonization)"의 C# 버전 [4]파일 다운로드1
1113정성태9/2/201134381개발 환경 구성: 129. Hyper-V에 CentOS 설치하기
1112정성태9/2/201151114Linux: 1. 리눅스 <-> 윈도우 원격 접속 프로그램 사용 [3]
1111정성태8/29/201125570제니퍼 .NET: 16. 적용 사례 (1) - DB Connection Pooling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성능 저하를 알려주다. [1]
1110정성태8/26/201126918오류 유형: 136. RDP 접속이 불연속적으로 끊기는 문제
1109정성태8/26/201129734오류 유형: 135. 어느 순간 Active Directory 접속이 안되는 문제
1108정성태8/22/201131182오류 유형: 134. OLE/COM Object Viewer - DllRegisterServer in IVIEWERS.DLL failed. [1]
1107정성태8/21/201129052디버깅 기술: 43. Windows Form의 Load 이벤트에서 발생하는 예외가 Visual Studio에서 잡히지 않는 문제
1106정성태8/20/201127309웹: 26. FailedRequestTracing 설정으로 인한 iisexpress.exe 비정상 종료 문제
1105정성태8/19/201127260.NET Framework: 238. Web Site Model 프로젝트에서 Trace.WriteLine 출력이 dbgview.exe에서 확인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04정성태8/19/201127475웹: 25. WebDev보다 IIS Express가 더 나은 점 - 다중 가상 디렉터리 매핑 [1]
1103정성태8/19/201133389오류 유형: 133. WCF 포트 바인딩 실패 오류 - TCP error(10013) [1]
1102정성태8/19/201131103Math: 1. 방탈출3 - Room 10의 '중복가능한 조합' 문제를 위한 C# 프로그래밍 [2]파일 다운로드1
1101정성태8/19/201129777.NET Framework: 237. WCF AJAX 서비스와 JavaScript 간의 DateTime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1100정성태8/17/201128915.NET Framework: 236. SqlDbType - DateTime, DateTime2, DateTimeOffset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