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284. C# - async 메서드에서의 lock/Monitor.Enter/Exit 잠금 처리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9342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064. C# - Mutex와 Semaphore/SemaphoreSlim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3156

.NET Framework: 2065. C# - Mutex의 비동기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157

닷넷: 2216. C# - SemaphoreSlim 사용 시 주의점
; https://www.sysnet.pe.kr/2/0/13555

닷넷: 2217. C# - 최댓값이 1인 SemaphoreSlim 보다 Mutex 또는 lock(obj)를 선택하는 것이 나은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3558

디버깅 기술: 195. windbg 분석 사례 - Semaphore 잠금으로 인한 Hang 현상 (닷넷)
; https://www.sysnet.pe.kr/2/0/13560

닷넷: 2284. C# - async 메서드에서의 lock/Monitor.Enter/Exit 잠금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697

닷넷: 2285. C# - async 메서드에서의 System.Threading.Lock 잠금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698




C# - async 메서드에서의 lock/Monitor.Enter/Exit 잠금 처리

Monitor 잠금은 스레드를 기억하는 유형입니다. 그래서, lock을 보유한 스레드만이 해제를 할 수 있습니다. 가령, 다음과 같이 다른 스레드에서 lock을 해제하려고 하면,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object _obj = new object();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onitor.Enter(_obj); // lock을 획득
        
        Thread t = new Thread(() =>
        {
            Monitor.Exit(_obj); // 다른 스레드에서 lock을 해제
        });

        t.Start();
        t.Join();
    }
}

이런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Threading.SynchronizationLockException: Object synchronization method was called from an unsynchronized block of code.
   at System.Threading.Monitor.Exit(Object obj)
   at Program.<>c.<Main>b__1_0() 

문서에서는, 이를 가리켜 "thread affinity"가 있다고 합니다.




Monitor 잠금이 스레드를 기억한다는 것 외에 잠금의 횟수를 기억한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하나의 스레드에서 Enter를 2번 호출했다면, Exit도 2번 호출해야만 잠금이 풀립니다. 아래의 코드는 그에 대한 재현을 보여주는데요,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object _obj = new object();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Lock++");
        Monitor.Enter(_obj);
        Console.WriteLine("Lock++");
        Monitor.Enter(_obj); // 2번 잠금

        Thread t = new Thread(() =>
        {
            Monitor.Enter(_obj); // 다른 스레드에서 lock을 얻으려고 시도
            Console.WriteLine("Thread 1");
            Monitor.Exit(_obj);
        });

        t.Start();

        Console.WriteLine($"{DateTime.Now} Lock--");
        Monitor.Exit(_obj); // 한 번 잠금을 해제
        Thread.Sleep(5000);
        Console.WriteLine($"{DateTime.Now} Lock--");
        Monitor.Exit(_obj); // 두 번 잠금을 해제 - 이 시점에 "Thread 1"이 출력됨

        t.Join();
    }
}

실행하면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Lock++
Lock++
2024-07-26 오후 18:44:40 Lock--
2024-07-26 오후 18:44:45 Lock--  // 5초 후 2번째 잠금이 해제되고 나서야 "Thread 1"이 출력됨
Thread 1

결국, 위의 2가지 성격으로 볼 때 Monitor 잠금은 Mutex와 같은 성격(thread affinity, reentrancy)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Monitor와 같은 lock이 필요한데 그것이 프로세스 경계를 넘어서도 유효해야 한다면 유형만 Mutex로 그대로 치환할 수 있습니다.




역시나 Mutex가 그랬던 것처럼,

C# - Mutex의 비동기 버전
; https://www.sysnet.pe.kr/2/0/13157

Monitor 역시 비동기 환경에서는 동일한 제약이 있습니다. 일례로, (내부적으로 Monitor를 사용하는) lock 문 내에서 비동기 호출을 하면,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object _obj = new object();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lock (_obj)
        {
            // error CS1996: Cannot await in the body of a lock statement
            await Task.Delay(2000);
        }
    }
}

C# 컴파일러는 이것을 인지하고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반면, 저 코드를 Monitor.Enter/Exit로 풀어내면 컴파일 오류는 발생하지 않지만,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object _obj = new object();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Monitor.Enter(_obj);

        await Task.Delay(2000);

        Monitor.Exit(_obj); // 실행 시 오류
    }
}

결국엔 Monitor.Exit 코드를 실행하는 스레드가 달라져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Threading.SynchronizationLockException: Object synchronization method was called from an unsynchronized block of code.
   at System.Threading.Monitor.Exit(Object obj)
   at Program.Main(String[] args) 
   at Program.<Main>(String[] args)

하지만, lock 대신 Monitor.Enter/Exit를 사용할 만한 경우가 있긴 합니다. 바로 SynchronizationContext를 사용해 비동기 호출 이후의 코드를 원래 스레드에서 실행하게 되는 경우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Windows Forms나 WPF 환경인데요, 따라서 Windows Forms에서는 다음과 같이 풀어서 Monitor를 이용한 동기화 개체를 쓸 수 있습니다.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object _obj = new object();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async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bool lockTaken = false;
        try
        {
            Monitor.Enter(_obj, ref lockTaken);
            await Task.Delay(2000);
        }
        finally
        {
            if (lockTaken)
            {
                Monitor.Exit(_obj);
            }
        }
    }
}

재미있게도, 동일한 코드로 번역하는 lock 예약어 방식을 쓰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고,

private async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lock (_obj) // 컴파일 오류: error CS1996: Cannot await in the body of a lock statement
    {
        await Task.Delay(2000);
    }
}

Monitor.Enter/Exit를 쓴다고 해도 SynchronizationContext를 사용하지 않도록 ConfigureAwait(false)을 추가하면,

private async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bool lockTaken = false;
    try
    {
        Monitor.Enter(_obj, ref lockTaken);
        await Task.Delay(2000).ConfigureAwait(false);
    }
    finally
    {
        if (lockTaken)
        {
            Monitor.Exit(_obj); // 실행 시 오류: System.Threading.SynchronizationLockException: 'Object synchronization method was called from an unsynchronized block of code.'
        }
    }
}

Monitor.Exit 코드를 스레드풀로부터 빌려온 스레드가 호출하므로 역시 실행 시 예외가 발생합니다.




만약 비동기 상황에서의 lock을 처리하고 싶다면, 해결책은 "C# - Mutex의 비동기 버전" 글에 쓴 내용과 동일합니다. 즉, Semaphore(Slim)을 사용하면 됩니다. 다음은 그에 대한 예제입니다.

namespace WinFormsApp1;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SemaphoreSlim _sem = new SemaphoreSlim(1);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async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_sem.Wait(); // Main 스레드에서 lock 획득

        new Thread(() =>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DateTime.Now}] --------------------- Thread called");
            _sem.Wait(); // 사용자 스레드에서 lock 획득 시도
            try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DateTime.Now}] --------------------- got Semaphore");
                Thread.Sleep(2000);
            }
            finally
            {
                _sem.Release();
            }
        })
        { IsBackground = true }.Start();

        try
        {
            await Task.Delay(5000).ConfigureAwait(false); // 5초 후에,
        } finally
        {
            _sem.Release(); // 스레드풀의 스레드에서 lock 해제
        }
    }
}

개인적으로 Semaphore를 싫어하지만, 저런 경우는 어쩔 수 없습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4정성태7/11/201137235.NET Framework: 229. SQL 서버 - DB 테이블의 데이터 변경에 대한 알림 처리 [4]파일 다운로드1
1083정성태7/11/201131098.NET Framework: 228. Entity Framework 4.1 - Code First + WCF 서비스 시 EndpointNotFoundException 오류
1082정성태7/10/201130910.NET Framework: 227. basicHttpBinding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2]파일 다운로드1
1081정성태7/9/201129819VC++: 53. Windows 7에서 gcc.exe 실행 시 Access denied 오류 [2]
1080정성태7/8/201128606웹: 23. Sysnet 웹 사이트의 HTML5 변환 기록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79정성태7/6/201132948오류 유형: 129. Hyper-V + Realtek 랜카드가 설치된 시스템의 BSOD 현상 [2]
1078정성태7/5/201140543VC++: 52.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2]
1077정성태6/24/201137708.NET Framework: 226. HttpWebRequest 타입의 HaveResponse 속성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76정성태6/23/201132412오류 유형: 128. SQL Express - User Instance 옵션을 사용한 경우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 유형 2가지
1075정성태6/21/201127614VS.NET IDE: 69. 윈폰 프로젝트에서 WCF 서비스 참조할 때 Reference.cs 파일이 비어있는 경우
1074정성태6/20/201127764.NET Framework: 225. 닷넷 네트워크 라이브러리의 트레이스 기능파일 다운로드1
1073정성태6/20/201129950오류 유형: 127. Visual Studio에서 WCF 서비스의 이름 변경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1072정성태6/19/201129619.NET Framework: 224. EF 4.1 Code First에서 Identity 칼럼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071정성태6/19/201133125.NET Framework: 223. Entity Framework 4.1의 Code First를 이용한 SQL Azure 데이터베이스 생성 [3]파일 다운로드1
1070정성태6/19/201130728.NET Framework: 222. Windows Azure - VM Role 베타 프로그램 참여 [2]
1069정성태6/18/201130825.NET Framework: 221. Cache 영향을 받지 않는 DNS 이름 풀이 [2]파일 다운로드1
1068정성태6/16/201128182개발 환경 구성: 127. Portable Library - 닷넷 N-Screen용 공통 라이브러리 제작 [1]
1067정성태6/15/201127687오류 유형: 126. Windows failed to apply the Group Policy Folder Options settings. [1]
1066정성태6/14/201130777개발 환경 구성: 126. MSDN 구독자 - Windows Azure 무료 서비스 신청하는 방법 [4]
1065정성태6/13/201135703개발 환경 구성: 125. Firebird - 유니코드 기본 문자셋 지정
1064정성태6/11/201130306웹: 22. Visual Studio 2010에서 CSS 3 인텔리센스(intellisense) 지원하는 방법 [1]
1063정성태6/10/201131950웹: 21. Sysnet 웹 사이트의 CSS 2.1 변환 기록 [1]
1062정성태6/9/201132116웹: 20. Sysnet 웹 사이트의 HTML5 변환 기록 [1]
1061정성태6/8/201130221오류 유형: 125. 인터넷 익스플로러 - 개발자 도구에서 정지점(BP: Breakpoint) 설정이 안 되는 경우 [1]
1060정성태6/8/201127009VC++: 51. PHP 모듈의 F5 디버깅
1059정성태6/6/201132361VC++: 50. PHP 모듈 - php_mysql 빌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