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80. C# - 배치 파일 실행하고 출력 결과를 얻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10

.NET Framework: 602. Process.Start의 cmd.exe에서 stdin만 redirect 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29

.NET Framework: 817. Process.Start로 실행한 콘솔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를 얻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70

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73

닷넷: 2292. C# - 자식 프로세스의 출력이 4,096보다 많은 경우 Process.WaitForExit 호출 시 hang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3707

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
; https://www.sysnet.pe.kr/2/0/13876




C# - 자식 프로세스의 출력이 4,096보다 많은 경우 Process.WaitForExit 호출 시 hang 현상

재현 코드를 만들어 볼까요? ^^

우선, 자식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코드는 이렇게 RedirectStandardOutput = true로 설정했을 때입니다.

using System.Diagnostics;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cessStartInfo psi = new ProcessStartInfo();
        psi.FileName = "ConsoleApp2.exe";
        psi.UseShellExecute = false; /* 닷넷 프레임워크의 경우 기본값이 true */
        psi.RedirectStandardOutput = true;

        Process? process = Process.Start(psi);
        if (process != null)
        {
            TimeSpan waitTime = TimeSpan.FromSeconds(3);
            if (process.WaitForExit((int)waitTime.TotalMilliseconds) == false)
            {
                Console.WriteLine($"# Timeout: {waitTime}");
                return;
            }

            string result = process.StandardOutput.ReadToEnd();
            Console.WriteLine(result);
        }
    }
}

그리고 실행되는 자식 프로세스는 콘솔에 4K + 1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text = new string('a', 1024 * 3 + 1024 + 1); // 4096 + 1 문자열 출력
        Console.Write(text);
    }
}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면, 부모 프로세스에서 WaitForExit를 호출했을 때 hang 현상이 발생하고, 설정해 두었던 10초가 지나서야 timeout으로 벗어나게 됩니다.

왜 이런 걸까요? ^^




이 현상은 서버에서 Redirect로 받아주는 Output 버퍼가 4096 바이트로 제한돼 있기 때문입니다.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

그래서인지, 자식 프로세스는 4096 바이트를 넘는 출력을 하면 부모가 할당해 준 버퍼가 꽉 차게 돼 이후 여유 버퍼가 생길 때까지 기다리게 되고, 반대로 서버 측은 그것을 읽지 않아서 버퍼가 가득 찬 상태로 계속 자식 프로세스가 종료하기를 기다리게 되는 것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부모 측에서 WaitForExit에 앞서 Read 동작을 수행해 주면 됩니다.

Process? process = Process.Start(psi);
if (process != null)
{
    string result = process.StandardOutput.ReadToEnd();
    Console.WriteLine(result);

    if (process.ExitCode != 0)
    {
        Console.WriteLine($"# ExitCode: {process.ExitCode}");
        return;
    }
}

ReadToEnd는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출력을 읽어들이기 때문에 저런 경우 굳이 WaitForExit를 호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런데, 가끔은 자식 프로세스의 종료를 특정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가령, 3초 이상 걸린다면 그냥 읽기를 포기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위와 같이 처리하는 경우에는 그것이 안 됩니다. 재현을 위해 자식 프로세스에 다음과 같이 코드를 추가하면,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text = new string('a', 1024 * 3 + 1024 + 1);
        Console.Write(text);

        Thread.Sleep(-1);
    }
}

이후 부모 프로세스는 ReadToEnd에서 무한 대기를 하게 됩니다. 아쉽게도 만료 시간을 지정할 수 있었던 WaitForExit와는 달리 ReadToEnd는 그게 없는 건데요, 검색해 보면 BeginOutputReadLine을 곁들이면 된다고 나옵니다.

Process.BeginOutputReadLine Method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diagnostics.process.beginoutputreadline

위의 문서에 나온 예제대로 코드를 작성해,

Process? process = Process.Start(psi);
if (process != null)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rocess.OutputDataReceived += (sender, args) =>
    {
        sb.Append(args.Data);
    };

    process.BeginOutputReadLine();

    TimeSpan waitTime = TimeSpan.FromSeconds(3);
    if (process.WaitForExit((int)waitTime.TotalMilliseconds) == false)
    {
        Console.WriteLine($"# Output: {sb}"); // 언제나 sb == 빈 문자열
        return;
    }

    Console.Write($"# Output: {sb}"); // 언제나 sb == 빈 문자열

    if (process.HasExited == true && process.ExitCode != 0)
    {
        Console.WriteLine($"# ExitCode: {process.ExitCode}");
        return;
    }
}

실제로 실행해 보면, 자식 프로세스가 timeout이든 아니든 출력은 "# Output: "만 나옵니다. 가만 보니까, OutputDataReceived 이벤트 핸들러는 timeout이 아닌 경우, 즉 정상 출력을 마치고 종료한 경우에만 실행이 되었는데요, 그 실행 시점이 이상합니다. 즉, 실행 중에 이벤트 핸들러가 불리지 않고 (이후 부모 프로세스 측에서) "Console.Write"를 호출한 시점에 불리는데요, 아쉽게도 sb.ToString 평가는 그전에 끝나서 결과를 반영하지 못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더미로 그전에 Console.Write('\0')와 같은 호출을 하나 넣어주면 되는데, 테스트해 보니까 Console.Out.Flush를 해도 실행은 되므로 다음과 같이 코드를 보완할 수 있습니다.

TimeSpan waitTime = TimeSpan.FromSeconds(3);
if (process.WaitForExit((int)waitTime.TotalMilliseconds) == false)
{
    Console.WriteLine($"# Output: {sb}"); // 언제나 sb == 빈 문자열
    return;
}

Console.Out.Flush(); // 이 코드를 호출하는 순간 OutputDataReceived 콜백 발생
Console.Write($"# Output: {sb}"); // 자식 프로세스가 출력한 내용

그래도 timeout이 발생한 경우의 출력은 받아오지 못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식 프로세스로부터 출력을 받지 못한 것은 아닙니다. 만약, 받지 못했다면 자식 프로세스는 Thread.Sleep(-1) 호출이 아닌 Console.Write(4096 + 1) 코드에서 멈췄을 것입니다.

실제로, Visual Studio를 이용해 디버거로 확인해 보면, Process 타입에 .NET Framework의 경우 output, .NET Core/5+의 경우 _output이라는 System.Diagnostics.AsyncStreamReader 타입의 필드가 있고,

/System/services/monitoring/system/diagnosticts/AsyncStreamReader.cs
; https://github.com/microsoft/referencesource/blob/master/System/services/monitoring/system/diagnosticts/AsyncStreamReader.cs

이 저장소에는 자식 프로세스가 그 시점까지 출력했던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따라서, Reflection을 사용한다면 이런 식으로 값을 가져올 수는 있습니다.

TimeSpan waitTime = TimeSpan.FromSeconds(3);
if (process.WaitForExit((int)waitTime.TotalMilliseconds) == false)
{
    Console.WriteLine($"# Timeout: {waitTime}");

    // .NET Framework
    // string text = ReadAsyncStreamReader(process, "output", "sb");

    // .NET Core/5+
    string text = ReadAsyncStreamReader(process, "_output", "_sb");
    Console.WriteLine($"# Output: {text}");
    return;
}

private static string ReadAsyncStreamReader(Process process, string outputFieldName, string sbFieldName)
{
    FieldInfo fi = typeof(Process).GetField(outputFieldName, System.Reflection.BindingFlags.NonPublic | System.Reflection.BindingFlags.Instance);
    if (fi == null)
    {
        return "";
    }

    object objOutput = fi.GetValue(process);
    if (objOutput == null)
    {
        return "";
    }

    fi = objOutput.GetType().GetField(sbFieldName, BindingFlags.NonPublic | BindingFlags.Instance);
    if (fi == null)
    {
        return "";
    }

    object objText = fi.GetValue(objOutput);
    if (objText == null)
    {
        return "";
    }

    return objText.ToString();
}




만약 .NET Core 2.1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면, 다행히 더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StandardOutput.ReadAsync 비동기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인데요, 그럼 이렇게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ProcessStartInfo psi = new ProcessStartInfo();
    psi.FileName = "ConsoleApp2.exe";
    psi.RedirectStandardOutput = true;

    Process? process = Process.Start(psi);
    if (process != null)
    {
        try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Memory<char> buffer = new Memory<char>(new char[4096]);
            CancellationTokenSource cts = new CancellationTokenSource();
            cts.CancelAfter(TimeSpan.FromSeconds(3));

            while (true)
            {
                try
                {
                    int readBytes = await process.StandardOutput.ReadAsync(buffer, cts.Token);
                    if (readBytes == 0)
                    {
                        break;
                    }
                }
                catch
                {
                    break;
                }

                sb.Append(buffer.ToString());
            }

            Console.Write($"# Output: {sb}");

            if (process.HasExited && process.ExitCode != 0)
            {
                Console.WriteLine($"# ExitCode: {process.ExitCode}");
                return;
            }
        }
        finally
        {
            process.Dispose();
        }
    }
}

위의 경우, 자식 프로세스 실행 시 timeout이든 아니든 그에 상관없이 ReadAsync를 호출해 받아온 출력까지는 모두 구할 수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91정성태4/9/202120914.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0정성태4/9/202117079.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12589정성태4/8/202118253.NET Framework: 1032. C# - Environment.OSVersion의 문제점 및 윈도우 운영체제의 버전을 구하는 다양한 방법 [1]
12588정성태4/7/202120028개발 환경 구성: 565. PowerShell - New-SelfSignedCertificate를 사용해 CA 인증서 생성 및 인증서 서명 방법
12587정성태4/6/202121263개발 환경 구성: 564. Windows 10 - ClickOnce 배포처럼 사용할 수 있는 MSIX 설치 파일 [1]
12586정성태4/5/202118167오류 유형: 710. Windows - Restart-Computer / shutdown 명령어 수행 시 Access is denied(E_ACCESSDENIED)
12585정성태4/5/202117160개발 환경 구성: 563. 기본 생성된 kubeconfig 파일의 내용을 새롭게 생성한 인증서로 구성하는 방법
12584정성태4/1/202118308개발 환경 구성: 562. kubeconfig 파일 없이 kubectl 옵션만으로 실행하는 방법
12583정성태3/29/202119175개발 환경 구성: 561. kubectl 수행 시 다른 k8s 클러스터로 접속하는 방법
12582정성태3/29/202118654오류 유형: 709. Visual C++ - 컴파일 에러 error C2059: syntax error: '__stdcall'
12581정성태3/28/202118591.NET Framework: 1031. WinForm/WPF에서 Console 창을 띄워 출력하는 방법 (2) - Output 디버깅 출력을 AllocConsole로 우회 [2]
12580정성태3/28/202116461오류 유형: 708.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 Execution Timeout Expired.
12579정성태3/28/202117081오류 유형: 707. 중첩 가상화(Nested Virtualization) - The virtual machine could not be started because this platform does not support nested virtualization.
12578정성태3/27/202117482개발 환경 구성: 560. Docker Desktop for Windows 기반의 Kubernetes 구성 (2) - WSL 2 인스턴스에 kind가 구성한 k8s 서비스 위치
12577정성태3/26/202119046개발 환경 구성: 559. Docker Desktop for Windows 기반의 Kubernetes 구성 - WSL 2 인스턴스에 kind 도구로 k8s 클러스터 구성
12576정성태3/25/202117129개발 환경 구성: 558. Docker Desktop for Windows에서 DockerDesktopVM 기반의 Kubernetes 구성 (2) - k8s 서비스 위치
12575정성태3/24/202115736개발 환경 구성: 557. Docker Desktop for Windows에서 DockerDesktopVM 기반의 Kubernetes 구성 [1]
12574정성태3/23/202121328.NET Framework: 1030. C# Socket의 Close/Shutdown 동작 (동기 모드)
12573정성태3/22/202118719개발 환경 구성: 556. WSL 인스턴스 초기 설정 명령어 [1]
12572정성태3/22/202117937.NET Framework: 1029. C# - GC 호출로 인한 메모리 압축(Compaction)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71정성태3/21/202115975오류 유형: 706. WSL 2 기반으로 "Enable Kubernetes" 활성화 시 초기화 실패 [1]
12570정성태3/19/202121336개발 환경 구성: 555. openssl - CA로부터 인증받은 새로운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
12569정성태3/18/202121673개발 환경 구성: 554. WSL 인스턴스 export/import 방법 및 단축 아이콘 설정 방법
12568정성태3/18/202114982오류 유형: 705. C# 빌드 - Couldn't process file ... due to its being in the Internet or Restricted zone or having the mark of the web on the file.
12567정성태3/17/202117086개발 환경 구성: 553. Docker Desktop for Windows를 위한 k8s 대시보드 활성화 [1]
12566정성태3/17/202116955개발 환경 구성: 552. Kubernetes - kube-apiserver와 REST API 통신하는 방법 (Docker Desktop for Windows 환경)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