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1705

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13

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1718

Linux: 3. Synology NAS(DS216+II)에서 FTDI 장치를 C/C++로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33

Linux: 4. Synology NAS(DS216+II)에 FTDI 장치 연결 후 C#(.NET Core)으로 DTR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34

사물인터넷: 51. Synology NAS(DS216+II)를 이용한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40

개발 환경 구성: 446. Synology NAS를 Windows 10에서 iSCSI로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67

개발 환경 구성: 720. Synology NAS - docker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712




Synology NAS - docker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예전에, Synology NAS에 docker를 설치했었는데요,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13

기본적으로는 "docker" 그룹조차 없는 상태로 초기화됩니다.

/volume1/@appdata/Docker# cat ./log/docker.log
2018-10-01T22:46:19+09:00 testusr_nas docker[29967]: WARN[0000] could not change group /var/run/docker.sock to docker: group docker not found

문제는, 기본 리눅스 운영체제에 있는 groupadd, usermod와 같은 프로그램이 없다는 건데요,

# groupadd
-ash: groupadd: command not found

# usermod
-ash: usermod: command not found

다행히 검색해 보면,

Manage docker without needing sudo on your Synology NAS
; https://davejansen.com/manage-docker-without-needing-sudo-on-your-synology-nas/

이렇게 별도의 synogroup 명령어로 이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 synogroup --add docker
Group Name: [docker]
Group Type: [AUTH_LOCAL]
Group ID:   [65536]
Group Members:

$ echo $USER
testusr

$ sudo synogroup --member docker $USER
Group Name: [docker]
Group Type: [AUTH_LOCAL]
Group ID:   [65536]
Group Members:
0:[testusr]

이로써 현재 생성돼 있는 유닉스 소켓 파일의 권한도 변경해 주면 끝입니다.

$ sudo chown root:docker /var/run/docker.sock
Password:
testusr@testusr_nas:~$ ls -l /var/run/docker.sock
srw-rw---- 1 root docker 0 Aug 14 10:07 /var/run/docker.sock




Synology NAS의 docker에 사용자 이미지를 올리는 것은 예전에도 한 번 해봤습니다.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13

하지만, 이번에는 좀 더 고급지게 ^^ docker registry를 이용해 볼 텐데요, 일단 NAS로 SSH 접속만 할 수 있다면 docker pull과 같은 명령어로 쉽게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NAS 내부로 ssh 연결한 상태

$ docker pull 192.168.100.50:5000/razor31_sample
Using default tag: latest
Error response from daemon: Get "https://192.168.100.50:5000/v2/": http: server gave HTTP response to HTTPS client

물론, 그냥은 저렇게 에러가 날 텐데요, 사용자의 docker 레지스트리에 https 바인딩을 만들어 두면 좋지만 테스트 환경인 경우에는 그냥 http 바인딩을 사용할 것이므로, 이를 허용해 주어야 합니다. 문제는 Synology NAS의 docker에는 일반적인 daemon.json 파일이 없고,

$ ls -l /etc/docker/daemon.json
ls: cannot access '/etc/docker/daemon.json': No such file or directory

대신 다음의 경로에 있는 dockerd.json 파일을 수정하면 됩니다.

$ cat /var/packages/Docker/conf/systemd/pkg-Docker-dockerd.service
[Unit]
Description=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Documentation=https://docs.docker.com
IgnoreOnIsolate=true
DefaultDependencies=no

[Service]
Type=notify
ExecStart=/var/packages/Docker/target/usr/bin/dockerd --config-file /var/packages/Docker/etc/dockerd.json
ExecReload=/bin/kill -s HUP $MAINPID
LimitNOFILE=1048576
# Having non-zero Limit*s causes performance problems due to accounting overhead
# in the kernel. We recommend using cgroups to do container-local accounting.
LimitNPROC=infinity
LimitCORE=infinity
# Uncomment TasksMax if your systemd version supports it.
# Only systemd 226 and above support this version.
#TasksMax=infinity
# set delegate yes so that systemd does not reset the cgroups of docker containers
Delegate=yes
# kill only the docker process, not all processes in the cgroup
KillMode=process
# restart the docker process if it exits prematurely
Restart=always
RestartSec=2
TimeoutSec=0
StartLimitBurst=3
StartLimitInterval=60s

[X-Synology]

$ sudo /opt/bin/nano /var/packages/Docker/etc/dockerd.json

$ cat /var/packages/Docker/etc/dockerd.json
{
   "data-root" : "/var/packages/Docker/var/docker",
   "insecure-registries" : [ "192.168.100.50:5000" ],
   "log-driver" : "db",
   "registry-mirrors" : [],
   "storage-driver" : "btrfs"
}


이후 docker 패키지를 새롭게 재시작하면 정상적으로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참고로, 만약 여러분의 docker registry가 https 바인딩을 지원한다면 위와 같이 명령행으로 일일이 지정할 필요 없이 NAS DSM 관리자 화면에서 docker 패키지를 열어 레지스트리 추가를 통해 직접 다운로드하는 것이 더 간단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원격 바인딩도 추가해 볼까요?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마찬가지로 (insecure-registries를 설정했던) dockerd.json에 hosts 설정을 이렇게 추가하면 됩니다.

$ cat /var/packages/Docker/etc/dockerd.json
{
   "data-root" : "/var/packages/Docker/var/docker",
   "log-driver" : "db",
   "registry-mirrors" : [],
   "storage-driver" : "btrfs",
   "hosts" : [ "tcp://0.0.0.0:2375", "unix:///var/run/docker.sock" ]
}

이후, Portainer 등을 이용해 원격으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79정성태5/31/201420453.NET Framework: 438.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1678정성태5/31/201424142개발 환경 구성: 222. 라이브러리 개발자를 위한 보안 권한 테스트 - "Network Service" 계정 권한으로 실행
1677정성태5/30/201419733VS.NET IDE: 87. IIS Express - 웹 응용 프로그램의 .NET 버전에 맞는 CLR이 로드되지 않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676정성태5/27/201427843Windows: 95. 윈도우 8에서 Hyper-V 유무에 따른 듀얼 부트 설정하는 방법 [1]
1675정성태5/27/201429996Windows: 94. 윈도우 8.1에서 윈도우 체험 지수(Windows Experience Index, WEI) 확인 방법
1674정성태5/24/201423588VS.NET IDE: 86. 하나의 T4 템플릿으로 여러 개의 소스코드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73정성태5/19/201423080.NET Framework: 437. WACOM 태블릿 환경에서 WinForm 실행시 System.ArgumentException 예외 발생
1672정성태5/15/201423622기타: 46. Microsoft의 응용 프로그램을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 - Azure RemoteApp 소개 [2]
1671정성태5/15/201424246.NET Framework: 436. XNA Content 리소스의 해제 후 다시 로드해서 사용하면 ObjectDisposedException 예외 발생 [2]
1670정성태5/15/201424523.NET Framework: 435. .NET GC - 하위 세대의 객체를 포함하는 상위 세대의 참조를 추적하기 위한 card-table
1669정성태5/15/201444597Windows: 93.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tchCache$ 폴더 삭제 [2]
1668정성태5/10/201423864.NET Framework: 434. Microsoft.SqlServer.Types.SqlGeography 형변환 시 null 반환하는 문제
1667정성태5/5/201424602개발 환경 구성: 221. Azure 데이터베이스를 로컬 DB로 이전하는 방법 [2]
1666정성태5/2/201441281기타: 45. 윈도우 계정의 암호를 알아내는 mimikatz 도구 [5]
1665정성태5/1/201424802.NET Framework: 433. C# - 간단한 HyperLogLog 자료 구조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664정성태4/28/201422173오류 유형: 227. Process Explorer의 프로세스 뷰가 트리 형식으로 보이지 않는 문제
1663정성태4/28/201418636오류 유형: 226. Visual Studio - We were unable to establish the connection because it is configured for user
1662정성태4/28/201423200개발 환경 구성: 220. supportedRuntime 설정을 위한 app.config Transformation [1]
1661정성태4/26/201419989.NET Framework: 432. WPF - System.Windows.Data Error: 47 : XmlDataProvider has inline XML that does not explicitly set its XmlNamespace (xmlns="").
1660정성태4/25/201427651VC++: 77. C++ 숫자형 값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출력 사례 모음
1659정성태4/17/201427628.NET Framework: 43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5]
1658정성태4/17/201419759.NET Framework: 430. C#에서 사용자 정의 예약어가 가능할까요? [1]
1657정성태4/10/201439820.NET Framework: 429. C# - 유니코드 한글 문자열을 ks_c_5601-1987로 변환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656정성태3/19/201422974오류 유형: 225. regsvcs 등록 시 0x80040153 오류
1655정성태3/19/201423134Windows: 92. Thumbs.db 파일이 삭제 안 되는 문제
1654정성태3/19/201425226개발 환경 구성: 219. SOS.dll 확장 모듈을 버전 별로 구하는 방법 [4]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