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1705

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13

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1718

Linux: 3. Synology NAS(DS216+II)에서 FTDI 장치를 C/C++로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33

Linux: 4. Synology NAS(DS216+II)에 FTDI 장치 연결 후 C#(.NET Core)으로 DTR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34

사물인터넷: 51. Synology NAS(DS216+II)를 이용한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740

개발 환경 구성: 446. Synology NAS를 Windows 10에서 iSCSI로 연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967

개발 환경 구성: 720. Synology NAS - docker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712




Synology NAS - docker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예전에, Synology NAS에 docker를 설치했었는데요,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13

기본적으로는 "docker" 그룹조차 없는 상태로 초기화됩니다.

/volume1/@appdata/Docker# cat ./log/docker.log
2018-10-01T22:46:19+09:00 testusr_nas docker[29967]: WARN[0000] could not change group /var/run/docker.sock to docker: group docker not found

문제는, 기본 리눅스 운영체제에 있는 groupadd, usermod와 같은 프로그램이 없다는 건데요,

# groupadd
-ash: groupadd: command not found

# usermod
-ash: usermod: command not found

다행히 검색해 보면,

Manage docker without needing sudo on your Synology NAS
; https://davejansen.com/manage-docker-without-needing-sudo-on-your-synology-nas/

이렇게 별도의 synogroup 명령어로 이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 synogroup --add docker
Group Name: [docker]
Group Type: [AUTH_LOCAL]
Group ID:   [65536]
Group Members:

$ echo $USER
testusr

$ sudo synogroup --member docker $USER
Group Name: [docker]
Group Type: [AUTH_LOCAL]
Group ID:   [65536]
Group Members:
0:[testusr]

이로써 현재 생성돼 있는 유닉스 소켓 파일의 권한도 변경해 주면 끝입니다.

$ sudo chown root:docker /var/run/docker.sock
Password:
testusr@testusr_nas:~$ ls -l /var/run/docker.sock
srw-rw---- 1 root docker 0 Aug 14 10:07 /var/run/docker.sock




Synology NAS의 docker에 사용자 이미지를 올리는 것은 예전에도 한 번 해봤습니다.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13

하지만, 이번에는 좀 더 고급지게 ^^ docker registry를 이용해 볼 텐데요, 일단 NAS로 SSH 접속만 할 수 있다면 docker pull과 같은 명령어로 쉽게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NAS 내부로 ssh 연결한 상태

$ docker pull 192.168.100.50:5000/razor31_sample
Using default tag: latest
Error response from daemon: Get "https://192.168.100.50:5000/v2/": http: server gave HTTP response to HTTPS client

물론, 그냥은 저렇게 에러가 날 텐데요, 사용자의 docker 레지스트리에 https 바인딩을 만들어 두면 좋지만 테스트 환경인 경우에는 그냥 http 바인딩을 사용할 것이므로, 이를 허용해 주어야 합니다. 문제는 Synology NAS의 docker에는 일반적인 daemon.json 파일이 없고,

$ ls -l /etc/docker/daemon.json
ls: cannot access '/etc/docker/daemon.json': No such file or directory

대신 다음의 경로에 있는 dockerd.json 파일을 수정하면 됩니다.

$ cat /var/packages/Docker/conf/systemd/pkg-Docker-dockerd.service
[Unit]
Description=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Documentation=https://docs.docker.com
IgnoreOnIsolate=true
DefaultDependencies=no

[Service]
Type=notify
ExecStart=/var/packages/Docker/target/usr/bin/dockerd --config-file /var/packages/Docker/etc/dockerd.json
ExecReload=/bin/kill -s HUP $MAINPID
LimitNOFILE=1048576
# Having non-zero Limit*s causes performance problems due to accounting overhead
# in the kernel. We recommend using cgroups to do container-local accounting.
LimitNPROC=infinity
LimitCORE=infinity
# Uncomment TasksMax if your systemd version supports it.
# Only systemd 226 and above support this version.
#TasksMax=infinity
# set delegate yes so that systemd does not reset the cgroups of docker containers
Delegate=yes
# kill only the docker process, not all processes in the cgroup
KillMode=process
# restart the docker process if it exits prematurely
Restart=always
RestartSec=2
TimeoutSec=0
StartLimitBurst=3
StartLimitInterval=60s

[X-Synology]

$ sudo /opt/bin/nano /var/packages/Docker/etc/dockerd.json

$ cat /var/packages/Docker/etc/dockerd.json
{
   "data-root" : "/var/packages/Docker/var/docker",
   "insecure-registries" : [ "192.168.100.50:5000" ],
   "log-driver" : "db",
   "registry-mirrors" : [],
   "storage-driver" : "btrfs"
}


이후 docker 패키지를 새롭게 재시작하면 정상적으로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참고로, 만약 여러분의 docker registry가 https 바인딩을 지원한다면 위와 같이 명령행으로 일일이 지정할 필요 없이 NAS DSM 관리자 화면에서 docker 패키지를 열어 레지스트리 추가를 통해 직접 다운로드하는 것이 더 간단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원격 바인딩도 추가해 볼까요?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마찬가지로 (insecure-registries를 설정했던) dockerd.json에 hosts 설정을 이렇게 추가하면 됩니다.

$ cat /var/packages/Docker/etc/dockerd.json
{
   "data-root" : "/var/packages/Docker/var/docker",
   "log-driver" : "db",
   "registry-mirrors" : [],
   "storage-driver" : "btrfs",
   "hosts" : [ "tcp://0.0.0.0:2375", "unix:///var/run/docker.sock" ]
}

이후, Portainer 등을 이용해 원격으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86정성태12/20/202114686스크립트: 37. 파이썬 - uwsgi의 --enable-threads 옵션 [2]
12885정성태12/20/202115708오류 유형: 776. uwsgi-plugin-python3 환경에서 MySQLdb 사용 환경
12884정성태12/20/202114629개발 환경 구성: 620. Windows 10+에서 WMI root/Microsoft/Windows/WindowsUpdate 네임스페이스 제거
12883정성태12/19/202115069오류 유형: 775. uwsgi-plugin-python3 환경에서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django'" 오류 발생
12882정성태12/18/202114557개발 환경 구성: 619. Windows Server에서 WSL을 위한 리눅스 배포본을 설치하는 방법
12881정성태12/17/202114170개발 환경 구성: 618. WSL Ubuntu 20.04에서 파이썬을 위한 uwsgi 설치 방법 (2)
12880정성태12/16/202115155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12879정성태12/16/202121687오류 유형: 774. Windows Server 2022 + docker desktop 설치 시 WSL 2로 선택한 경우 "Failed to deploy distro docker-desktop to ..." 오류 발생
12878정성태12/15/202115964개발 환경 구성: 617. 윈도우 WSL 환경에서 같은 종류의 리눅스를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
12877정성태12/15/202115274스크립트: 36. 파이썬 - pymysql 기본 예제 코드
12876정성태12/14/202115137개발 환경 구성: 616. Custom Sources를 이용한 Azure Monitor Metric 만들기
12875정성태12/13/202114010스크립트: 35. python - time.sleep(...) 호출 시 hang이 걸리는 듯한 문제
12874정성태12/13/202113850오류 유형: 773. shell script 실행 시 "$'\r': command not found" 오류
12873정성태12/12/202115223오류 유형: 772. 리눅스 - PATH에 등록했는데도 "command not found"가 나온다면?
12872정성태12/12/202115620개발 환경 구성: 615. GoLang과 Python 빌드가 모두 가능한 docker 이미지 만들기
12871정성태12/12/202114676오류 유형: 771.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OCI runtime create failed
12870정성태12/9/202113748개발 환경 구성: 614.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4) package_data 옵션
12869정성태12/8/202116439개발 환경 구성: 613. git clone 실행 시 fingerprint 묻는 단계를 생략하는 방법
12868정성태12/7/202114822오류 유형: 770. twine 업로드 시 "HTTPError: 400 Bad Request ..." 오류 [1]
12867정성태12/7/202114591개발 환경 구성: 612.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3) entry_points 옵션
12866정성태12/7/202121490오류 유형: 769. "docker build ..." 시 "failed to solve with frontend dockerfile.v0: failed to read dockerfile ..." 오류
12865정성태12/6/202114832개발 환경 구성: 611.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2) long_description, cmdclass 옵션
12864정성태12/6/202112505Linux: 46. WSL 환경에서 find 명령을 사용해 파일을 찾는 방법
12863정성태12/4/202114696개발 환경 구성: 610. 파이썬 - PyPI 패키지 만들기
12862정성태12/3/202112633오류 유형: 768. Golang - 빌드 시 "cmd/go: unsupported GOOS/GOARCH pair linux /amd64" 오류
12861정성태12/3/202116478개발 환경 구성: 609.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