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721. WSL 2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7674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3657

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
; https://www.sysnet.pe.kr/2/0/13663

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
; https://www.sysnet.pe.kr/2/0/13665

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666

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
; https://www.sysnet.pe.kr/2/0/13667

개발 환경 구성: 721. WSL 2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713




WSL 2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지난 글에서, Hyper-V 소켓 테스트를 Linux VM과도 연동을 해봤는데요,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
; https://www.sysnet.pe.kr/2/0/13665

동일한 테스트를 WSL 2에서 하면 제약이 좀 있습니다. 예를 들어, Ubuntu 22.04 배포본에서 vsock 클라이언트 테스트를 해보면,

// Hyper-V 호스트 서버에서 "ConsoleApp1.exe /server any"로 실행 중인 경우 (또는, any를 children, lo로 변경한다 해도!)

$ socat - vsock-connect:2:19000
2024/07/06 00:40:55 socat[9852] E connect(5, AF=40 cid:2 port:19000, 16): Connection timed out

분명히 WSL 2도 Hyper-V의 VM 유형인데 연결이 되지 않습니다. 혹시 vsock 관련 모듈이 없는 걸까요? 비교를 위해, 별도 물리 머신에 설치된 centos 9에서 확인을 해보면,

$ lsmod | grep vsock
vsock_loopback         12288  0
vmw_vsock_virtio_transport_common    61440  1 vsock_loopback
vmw_vsock_vmci_transport    49152  0
vsock                  69632  4 vmw_vsock_virtio_transport_common,vsock_loopback,hv_sock,vmw_vsock_vmci_transport
vmw_vmci              131072  1 vmw_vsock_vmci_transport

$ find /lib/modules/5.14.0-472.el9.x86_64/ -name vsock*
/lib/modules/5.14.0-472.el9.x86_64/kernel/drivers/net/vsockmon.ko.xz
/lib/modules/5.14.0-472.el9.x86_64/kernel/net/vmw_vsock/vsock.ko.xz
/lib/modules/5.14.0-472.el9.x86_64/kernel/net/vmw_vsock/vsock_diag.ko.xz
/lib/modules/5.14.0-472.el9.x86_64/kernel/net/vmw_vsock/vsock_loopback.ko.xz

$ modinfo vsock
filename:       /lib/modules/5.14.0-472.el9.x86_64/kernel/net/vmw_vsock/vsock.ko.xz
license:        GPL v2
version:        1.0.2.0-k
description:    VMware Virtual Socket Family
author:         VMware, Inc.
rhelversion:    9.5
srcversion:     A65FFC99FEFF720CACF8119
depends:        
retpoline:      Y
intree:         Y
name:           vsock
vermagic:       5.14.0-472.el9.x86_64 SMP preempt mod_unload modversions 
sig_id:         PKCS#7
signer:         CentOS Stream kernel signing key
sig_key:        40:8A:33:B1:56:7E:74:83:14:34:B2:0F:3F:46:A5:89:FF:19:17:0D
sig_hashalgo:   sha256
...[생략]...

vsock 등의 모듈이 보입니다. 반면, WSL 2에서는 해당 모듈이 없습니다.

$ ls /lib/modules/5.15.153.1-microsoft-standard-WSL2/kernel/net/
ipv4  ipv6  netfilter

검색해 보니, WSL 2의 경우 커널 빌드 시에 아예 통합이 된 듯합니다.

// https://github.com/microsoft/WSL/discussions/4723

$ cat /lib/modules/5.15.153.1-microsoft-standard-WSL2/modules.builtin | grep hv
kernel/drivers/scsi/hv_storvsc.ko
kernel/drivers/net/hyperv/hv_netvsc.ko
kernel/drivers/hv/hv_vmbus.ko
kernel/drivers/hv/hv_utils.ko
kernel/drivers/hv/hv_balloon.ko
kernel/drivers/hv/dxgkrnl/dxgkrnl.ko
kernel/net/vmw_vsock/hv_sock.ko

$ dmesg | grep hv_sock
[    0.269442] hv_vmbus: registering driver hv_sock

// https://github.com/microsoft/WSL2-Linux-Kernel/blob/271456763a85394e318b345744ad8fd2692678c2/Microsoft/config-wsl

CONFIG_VSOCKETS=y
CONFIG_VSOCKETS_DIAG=y
CONFIG_VSOCKETS_LOOPBACK=y
# CONFIG_VIRTIO_VSOCKETS is not set
CONFIG_VIRTIO_VSOCKETS_COMMON=y
CONFIG_HYPERV_VSOCKETS=y

일단은 vsock을 지원하고 있는 듯한데요... 음... 뭐가 문제일까요? (혹시 관련해서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재미있는 건, Host 측의 Hyper-V 소켓 서버로는 연결이 안 되지만 그 반대는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테스트를 위해 WSL 2 배포본 내에서 socat 서버를 열어 두고,

$ socat - vsock-listen:19000

호스트 측에서는 WSL의 VM ID를 알아내,

c:\temp> hcsdiag list
5DB85446-C7D0-62BA-8BA8-49BD746A7D94
    VM,                         Created, 5DB85446-C7D0-62BA-8BA8-49BD746A7D94, VMMS

C63F9D5D-AB5F-4CF1-B72F-C296D6F2EF03
    VM,                         Running, C63F9D5D-AB5F-4CF1-B72F-C296D6F2EF03, WSL

이렇게 접속 시도를 하면 정상적으로 연결이 됩니다.

c:\temp> ConsoleApp1.exe /client C63F9D5D-AB5F-4CF1-B72F-C296D6F2EF03

결국 vsock 서버로써는 동작한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는데요, 한 가지 더 재미있는 건, 리눅스 VM의 경우 같은 VM 내에서 vsock 클라이언트로 접속하면 연결이 되었던 것과 달리 WSL 2의 경우는 연결이 안 됩니다. 뭐랄까... WSL 2는 vsock listen은 허용해도 vsock connect 기능은 의도적으로 뺀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검색해 보니까, WSL 이슈에서 아래와 같은 글이 나오는데요,

Just to nail this down, I confirmed that incoming VSock connections from Windows into the WSL2 session work fine with stock WSL2 Ubuntu and kernel 4.19.104-microsoft-standard.


제 테스트 결과처럼, 단방향으로는 연결이 되는 것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 이슈의 제품에서 언급하고 있는 X410에서의 socat 사용법을 보면,

// Using X410 with WSL2 - VSOCK
// https://x410.dev/cookbook/wsl/using-x410-with-wsl2/#vsock

socat -b65536 UNIX-LISTEN:/tmp/.X11-unix/X0,fork,mode=777 VSOCK-CONNECT:2:6000 &

저렇게 분명히 호스트 측으로 vsock 연결을 설정하라는 예제가 나옵니다. 게다가 문서에서도 "X410 also supports using VSOCK for connecting back to Windows host from WSL"이라고 (이 글의 본문에서 실패한 연결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일단, 이 정도로만 만족하고 더 이상의 탐구는 리알못이라 더 할 수가 없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3정성태1/14/201331976.NET Framework: 357. .NET 4.5의 2GB 힙 한계 극복
1402정성태1/14/201332546오류 유형: 166. SmtpClient.Send 오류 - net_io_connectionclosed
1401정성태1/11/201329869.NET Framework: 356. (공개키를 담은) 자바의 key 파일을 닷넷의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400정성태1/10/201329010Windows: 69. 작업표시줄의 터치 키보드(Touch Keyboard) 없애는 방법 [3]
1399정성태1/9/201324646.NET Framework: 355. 닷넷 환경이 왜 C/C++보다 느릴까요? [8]
1398정성태1/8/201325095오류 유형: 165. 새로 설치한 Visual Studio 2010의 Team Explorer 실행시 비정상 종료가 된다면?
1397정성태1/3/201328592Windows: 68. 윈도우 설치 ISO 이미지를 USB 하드에 적용하는 방법 [2]
1396정성태12/27/201229803사물인터넷: 2. 넷두이노 - 4.2.0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95정성태12/26/201220666.NET Framework: 354. x64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1394정성태12/25/201222113.NET Framework: 353. x86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1393정성태12/25/201222477.NET Framework: 352. x64에서 필수로 지정하도록 바뀐 STAThread 특성 [2]
1392정성태12/21/201232487사물인터넷: 1. .NET Micro Framework - 넷두이노 플러스 [7]
1391정성태12/21/201225883.NET Framework: 351. JavaScriptSerializer, DataContractJsonSerializer, Json.NET [3]파일 다운로드1
1390정성태12/20/201223954.NET Framework: 350. String 데이터를 Stream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389정성태12/12/201222275.NET Framework: 349. .NET Thread 인스턴스로부터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8정성태12/12/201223336.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7정성태12/12/201228260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1386정성태12/12/201229966디버깅 기술: 5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네이티브 DLL을 추출하는 방법 [1]
1385정성태12/12/201225040디버깅 기술: 52. Windbg - The version of SOS does not match the version of CLR you are debugging.
1384정성태12/12/201229863개발 환경 구성: 178. System32 폴더의 64비트 DLL을 32비트 Depends.exe에서 보는 방법
1383정성태12/10/201225768개발 환경 구성: 177. 기업용 메신저를 위한 Office Communicator Server 2007 설치 [1]
1382정성태12/8/201228633개발 환경 구성: 176. WebPagetest 서버 - 설치 및 테스트
1381정성태12/5/201227133.NET Framework: 347.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380정성태11/28/201237170.NET Framework: 346. 닷넷 개발자에게 Node.js의 의미 [17]
1379정성태11/26/201230314.NET Framework: 345. C# 부호(+, -)에 대한 비트 변환
1378정성태11/22/201231632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