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192. Visual Studio 2022 - Windows XP / 2003용 C/C++ 프로젝트 빌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54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22 - Windows XP / 2003용 C/C++ 프로젝트 빌드

Visual Studio 2022에서 기본 C/C++ 프로젝트를 생성한 다음,

#include <iostream>

int main()
{
    std::cout << "Hello World!\n";
}

빌드한 결과물을 Windows XP / 2003에서 실행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xptest.exe is not a valid Win32 application.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XP용으로 빌드하도록 설정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우선 Visual Studio 측에 다음의 구성 요소를 설치해야 합니다.

["Tools" / "Get Tools and Features..." 메뉴]

"Individual components" 탭 / "Compilers, build tools, and runtimes" 카테고리 - "C++ Windows XP Support for VS 2017 (v141) tools [Deprecated]" 

이후, C++ 프로젝트 속성창에 들어가 "Properties" / "General" / "Platform Toolset"을 "Visual Studio 2017 - Windows XP (v141_xp)"로 변경하면 됩니다. (참고로, 이렇게 변경하면 Windows SDK Version도 자동으로 "7.0"으로 바뀝니다.)

끝입니다. 이제 빌드하고 다시 실행하면 XP/2003에서도 정상적으로 실행됩니다.




경우에 따라 XP/2003에서 실행 시 이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xptest.exe - Unable To Locate Component

This application has failed to start because MSVCP140.dll was not found. Re-installing the application may fix this problem. 

전에 한 번 언급했지만, 이것은 재배포 런타임("Microsoft Visual C++ 2015 Redistributable Update 3")을 설치하면 됩니다.

VCRUNTIME140.dll, MSVCP140.dll, VCRUNTIME140.dll, VCRUNTIME140_1.dll이 없어 exe 실행이 안 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714




위와 같은 문제를 겪지 않기 위해, "MSVCP140.dll" 의존성을 갖지 않도록 C/C++ / "Code Generation" 범주의 "Runtime Library" 값을 "Multi-threaded (/MT)"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재미있는 건, 이렇게 설정한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 2022에서 빌드하면 문제가 없는데, 2019에서 빌드하면 XP/200에서 실행 시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xptest.exe - Entry Point Not Found

The procedure entry point InitializeCriticalSectionEx could not be located in the dynamic link library KERNEL32.dll. 

이것 역시 전에 언급한 것처럼, CRT 라이브러리가 더 이상 XP/2003을 지원하지 않으면서 발생한 변화였는데요, 웬일인지 동일한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 2019에서 빌드하면 InitializeCriticalSectionEx를 사용하는 PE 파일을 생성하게 됩니다.

// Visual Studio 2019 + /MT 옵션으로 빌드한 경우,

c:\temp> dumpbin /IMPORTS xptest.exe
Microsoft (R) COFF/PE Dumper Version 14.41.34120.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Dump of file xptest.exe

File Type: EXECUTABLE IMAGE

  Section contains the following imports:

    KERNEL32.dll
                41A000 Import Address Table
                426230 Import Name Table
                     0 time date stamp
                     0 Index of first forwarder reference

                   EA EncodePointer
                   CA DecodePointer
                   EE EnterCriticalSection
                  339 LeaveCriticalSection
                  2E4 InitializeCriticalSectionEx
                   D1 DeleteCriticalSection
                  367 MultiByteToWideChar
                  511 WideCharToMultiByte
                  32C LCMapStringEx
                // ...[생략]...

반면, Visual Studio 2022에서 동일한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InitializeCriticalSectionEx를 사용하지 않는 PE 파일을 생성합니다.

// Visual Studio 2022 + /MT 옵션으로 빌드한 경우, 
// (아마도 Visual Studio 2022용 빌드 도구에서도 가능하긴 할 것입니다.)

c:\temp> dumpbin /IMPORTS xptest.exe
Microsoft (R) COFF/PE Dumper Version 14.41.34120.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Dump of file xptest.exe

File Type: EXECUTABLE IMAGE

  Section contains the following imports:

    KERNEL32.dll
                41B000 Import Address Table
                429408 Import Name Table
                     0 time date stamp
                     0 Index of first forwarder reference

                  202 GetLastError
                  511 WideCharToMultiByte
                  473 SetLastError
                  2E3 InitializeCriticalSectionAndSpinCount
                  4BC SwitchToThread
                  4C5 TlsAlloc
                  4C7 TlsGetValue
                  4C8 TlsSetValue
                  4C6 TlsFree
                // ...[생략]...

따라서 만약 2019 버전으로 빌드해야 한다면 반드시 "Multi-threaded DLL (/MD)" 옵션으로 빌드해야 합니다.

(그렇긴 한데, 설마 요즘에도 XP/2003을 쓰고 있는 환경은 없겠죠?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86정성태10/26/2024951Windows: 266. Windows - 대소문자 구분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13785정성태10/23/2024811C/C++: 182. 윈도우가 운영하는 2개의 Code Page파일 다운로드1
13784정성태10/23/2024823Linux: 95. eBPF - kprobe를 이용한 트레이스
13783정성태10/23/2024743Linux: 94. eBPF - vmlinux.h 헤더 포함하는 방법 (bpf2go에서 사용)
13782정성태10/23/2024778Linux: 93. Ubuntu 22.04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81정성태10/22/2024897오류 유형: 930. WSL + eBPF: modprobe: FATAL: Module kheaders not found in directory
13780정성태10/22/2024978Linux: 92. WSL 2 - 커널 이미지로부터 커널 함수 역어셈블
13779정성태10/22/2024932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13778정성태10/21/2024905C/C++: 181. C/C++ - 소스코드 파일의 인코딩, 바이너리 모듈 상태의 인코딩
13777정성태10/20/2024965Windows: 265. Win32 API의 W(유니코드) 버전은 UCS-2일까요? UTF-16 인코딩일까요?
13776정성태10/19/2024931C/C++: 180. C++ - 고수준 FILE I/O 함수에서의 Unicode stream 모드(_O_WTEXT, _O_U16TEXT, _O_U8TEXT)파일 다운로드1
13775정성태10/19/2024894개발 환경 구성: 728. 윈도우 환경의 개발자를 위한 UTF-8 환경 설정
13774정성태10/18/2024838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13773정성태10/18/20241193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13772정성태10/17/20241067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13771정성태10/17/20241035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13770정성태10/17/2024836Linux: 87. ps + grep 조합에서 grep 명령어를 사용한 프로세스를 출력에서 제거하는 방법
13769정성태10/15/20241218Linux: 86.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768정성태10/15/2024833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3767정성태10/14/2024953오류 유형: 929. bpftrace 수행 시 "ERROR: Could not resolve symbol: /proc/self/exe:BEGIN_trigger"
13766정성태10/14/20241094C/C++: 178. C++ - 파일에 대한 Text 모드의 "translated" 동작파일 다운로드1
13765정성태10/12/20241022오류 유형: 928. go build 시 "package maps is not in GOROOT" 오류
13764정성태10/11/2024951Linux: 85. Ubuntu - 원하는 golang 버전 설치
13763정성태10/11/20241004Linux: 84. WSL / Ubuntu 20.04 - bpftool 설치
13762정성태10/11/20241060Linux: 83. WSL / Ubuntu 22.04 - bpftool 설치
13761정성태10/11/2024995오류 유형: 927. WSL / Ubuntu - /usr/include/linux/types.h:5:10: fatal error: 'asm/types.h' file not foun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