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Linux C++ - pthread_mutexattr_destroy가 없다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까요?

"리눅스 API의 모든 것, 기초 리눅스 API" 책을 보면,

Listing 30-3: Setting the mutex type
; https://broman.dev/download/The%20Linux%20Programming%20Interface.pdf#page=685

attr에 대해 init/destroy를 호출하는 코드가 나옵니다.

#include <cstdio>
#include <pthread.h>

int main()
{
    pthread_mutex_t cs;

    pthread_mutexattr_t mutex_attr;
    pthread_mutexattr_init(&mutex_attr);
    pthread_mutexattr_settype(&mutex_attr, PTHREAD_MUTEX_RECURSIVE);
    pthread_mutex_init(&cs, &mutex_attr);

    pthread_mutexattr_destroy(&mutex_attr);
    pthread_mutex_destroy(&cs);

    return 0;
}

그렇다면, pthread_mutexattr_destroy를 하지 않는 경우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까요? 이를 위해 잠시 소스코드를 찾아봤는데, 제가 테스트한 glibc의 경우,

$ cat /usr/include/x86_64-linux-gnu/bits/pthreadtypes.h
...[생략]...
#define __SIZEOF_PTHREAD_MUTEXATTR_T 4
...[생략]...

typedef union
{
  char __size[__SIZEOF_PTHREAD_MUTEXATTR_T];
  int __align;
} pthread_mutexattr_t;
...[생략]...

pthread_mutexattr_t는 고정 크기의 구조체로 정의돼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구현 코드를 봐도,

$ cat /home/kevin/glibc/glibc-2.31/nptl/pthread_mutexattr_init.c
int
__pthread_mutexattr_init (pthread_mutexattr_t *attr)
{
  // ...[생략]...

  if (sizeof (struct pthread_mutexattr) != sizeof (pthread_mutexattr_t))
    memset (attr, '\0', sizeof (*attr));

  // ...[생략]...
  ((struct pthread_mutexattr *) attr)->mutexkind = PTHREAD_MUTEX_NORMAL;

  return 0;
}

$ cat /home/kevin/glibc/glibc-2.31/nptl/pthread_mutexattr_destroy.c
// ...[생략]...
int
__pthread_mutexattr_destroy (pthread_mutexattr_t *attr)
{
  return 0;
}

딱히 내부에 할당 코드는 없습니다. 어떠한 alloc/free도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단지, 이게 버전마다, 혹은 구현체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에는 주의를 해야 하는데요, 실제로, 아래의 github 코드를 보면,

pthread_mutexattr_init.c
; https://github.com/BrianGladman/pthreads/blob/master/pthread_mutexattr_init.c

pthread_mutexattr_destroy.c
; https://github.com/BrianGladman/pthreads/blob/master/pthread_mutexattr_destroy.c

윈도우 운영체제로 포팅한 소스코드라고 하는데 저 코드에서는 calloc/free의 쌍으로 다루기 때문에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니까, 이식성 있는 코드를 만든다면 init/destroy를 쌍으로 호출하는 것을 권장한다는 정도가 되겠습니다.




mutex 자체의 경우도 process 내부의 동기화 용도로 쓰는 경우라면 pthread_mutex_destroy를 없애도 메모리 누수가 없습니다. 설령 프로세스 간 동기화(PTHREAD_PROCESS_SHARED)를 한다고 해도 결국 조건 변수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mutex 자체에는 메모리 할당과 관련이 없을 듯합니다. 게다가 mutex 자체를 끊임없이 생성/삭제를 하는 경우도 드물기 때문에 저 코드에 메모리 누수가 있어도 현실적으로 발견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다음은 간단하게 mutex 관련 메모리 누수를 테스트한 코드입니다.

#include <cstdio>
#include <unistd.h>
#include <ios>
#include <iostream>
#include <f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pthread.h>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69438/how-to-get-memory-usage-at-runtime-using-c
void process_mem_usage(double& vm_usage, double& resident_set)
{
    using std::ios_base;
    using std::ifstream;
    using std::string;

    vm_usage = 0.0;
    resident_set = 0.0;

    // 'file' stat seems to give the most reliable results
    //
    ifstream stat_stream("/proc/self/stat", ios_base::in);

    // dummy vars for leading entries in stat that we don't care about
    //
    string pid, comm, state, ppid, pgrp, session, tty_nr;
    string tpgid, flags, minflt, cminflt, majflt, cmajflt;
    string utime, stime, cutime, cstime, priority, nice;
    string O, itrealvalue, starttime;

    // the two fields we want
    //
    unsigned long vsize;
    long rss;

    stat_stream >> pid >> comm >> state >> ppid >> pgrp >> session >> tty_nr
        >> tpgid >> flags >> minflt >> cminflt >> majflt >> cmajflt
        >> utime >> stime >> cutime >> cstime >> priority >> nice
        >> O >> itrealvalue >> starttime >> vsize >> rss; // don't care about the rest

    stat_stream.close();

    long page_size_kb = sysconf(_SC_PAGE_SIZE) / 1024; // in case x86-64 is configured to use 2MB pages
    vm_usage = vsize / 1024.0;
    resident_set = rss * page_size_kb;
}

#define NANO_PER_SEC ((__clock_t) 1000000000)
#define NANO_PER_MILLI  ((__clock_t) 1000000)
#define MILLI_PER_SEC  ((__clock_t) 1000)

timespec diff(timespec start, timespec end)
{
    timespec temp;
    if ((end.tv_nsec - start.tv_nsec) < 0) {
        temp.tv_sec = end.tv_sec - start.tv_sec - 1;
        temp.tv_nsec = NANO_PER_SEC + end.tv_nsec - start.tv_nsec;
    }
    else {
        temp.tv_sec = end.tv_sec - start.tv_sec;
        temp.tv_nsec = end.tv_nsec - start.tv_nsec;
    }
    return temp;
}

clock_t gettotalmillisec(const timespec& time)
{
    return time.tv_sec * MILLI_PER_SEC + time.tv_nsec / NANO_PER_MILLI;
}

int main()
{
    pthread_mutex_t cs;

    struct timespec tspec1, tspec2;
    clock_gettime(CLOCK_REALTIME_COARSE, &tspec1);

    while (true)
    {
        pthread_mutexattr_t mutex_attr;
        pthread_mutexattr_init(&mutex_attr);
        pthread_mutexattr_settype(&mutex_attr, PTHREAD_MUTEX_RECURSIVE);
        pthread_mutex_init(&cs, &mutex_attr);

        // pthread_mutexattr_destroy(&mutex_attr);

        // pthread_mutex_destroy(&cs);

        clock_gettime(CLOCK_REALTIME_COARSE, &tspec2);

        timespec elapsed = diff(tspec1, tspec2);
        clock_t timeDiff = gettotalmillisec(elapsed);8

        if (timeDiff >= 1000) // https://www.sysnet.pe.kr/2/0/11914
        {
            tspec1 = tspec2;

            double vm, rss;
            process_mem_usage(vm, rss);

            printf("VM: %.2f; RSS: %.2f\n", vm, rss);
        }
    }

    return 0;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008정성태8/1/201625295오류 유형: 345. 2의 30승 이상의 원소를 갖는 경우 버그가 발생하는 이진 검색(Binary Search) 코드
11007정성태8/1/201626778오류 유형: 344. RDP ActiveX 컨트롤로 특정 PC에 연결할 수 없을 때, 오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팁파일 다운로드1
11006정성태7/22/201630271개발 환경 구성: 288. SSL 인증서를 Azure Cloud Service에 적용하는 방법
11005정성태7/22/201628937개발 환경 구성: 287. Let's Encrypt 인증서 업데이트 주기: 90일
11004정성태7/22/201623376오류 유형: 343. Invalid service definition or service configuration. Please see the Error List for more details.
11003정성태7/20/201631101VS.NET IDE: 110. Visual Studio 2015에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 개발 [1]
11002정성태7/20/201624313개발 환경 구성: 286. Microsoft Azure 서비스의 구독은 반드시 IE로!
11001정성태7/19/201635606.NET Framework: 599. .NET Core/SDK 설치 및 기본 사용법 [6]
11000정성태7/16/201624172오류 유형: 342. Microsoft Visual Studio 2010 Tools for Office Runtime (x86 and x64) 설치 시 오류
10999정성태7/16/201624226오류 유형: 341. .NET Framework 4.5.2가 설치 안 되는 경우
10998정성태7/16/201623795.NET Framework: 598. C# - Excel 시트에 윈도우 폼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997정성태7/16/201624972오류 유형: 340.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파일 다운로드1
10996정성태7/14/201629960Windows: 118. 유선 접속 상태에서 재부팅하면 무선 연결이 자동 연결 안되는 문제 [4]파일 다운로드1
10995정성태6/27/201622799VS.NET IDE: 109. Visual Studio 유료 버전 사용자의 주기적인 온라인 인증을 없애는 방법
10994정성태6/23/201622115개발 환경 구성: 285. 알고스팟(https://algospot.com)을 위한 Visual C++ 답안 작성 요령파일 다운로드1
10993정성태6/23/201623631.NET Framework: 597. 닷넷 메타데이터에 struct/class(값/참조 형식)의 구분이 있을까요?
10992정성태6/13/201619800오류 유형: 339. vbs 스크립트 실행 시 항상 실행 여부를 묻는 질문 창이 뜬다면?
10991정성태6/13/201626245오류 유형: 338. octave-gui 실행 시 "octave-gui.exe has stopped working" 오류
10990정성태6/13/201627506오류 유형: 337. missing type specifier - [type] assumed. Note: C++ does not support default-[type]
10989정성태6/7/201623950.NET Framework: 596. C# - WCF wsDualHttpBinding의 ClientBaseAddress 속성 - 두 번째 이야기
10988정성태6/3/201625281기타: 57. Outlook blocked access to the following potentially unsafe attachments
10987정성태6/2/201626145.NET Framework: 595. XLL 파일에 포함된 .NET 어셈블리를 추출하는 방법
10986정성태6/1/201626841.NET Framework: 594. C# - WCF wsDualHttpBinding의 ClientBaseAddress 속성
10985정성태6/1/201624874오류 유형: 336. An error occurred while ejecting 'DVD RW drive ...'
10984정성태5/31/201630821.NET Framework: 593. C# - wsDualHttpBinding WCF 예제 프로그램파일 다운로드1
10983정성태5/30/201624300VC++: 97. C++ 템플릿 remove_pointer, enable_if, is_pointer 사용 예제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