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Linux C++ - pthread_mutexattr_destroy가 없다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까요?

"리눅스 API의 모든 것, 기초 리눅스 API" 책을 보면,

Listing 30-3: Setting the mutex type
; https://broman.dev/download/The%20Linux%20Programming%20Interface.pdf#page=685

attr에 대해 init/destroy를 호출하는 코드가 나옵니다.

#include <cstdio>
#include <pthread.h>

int main()
{
    pthread_mutex_t cs;

    pthread_mutexattr_t mutex_attr;
    pthread_mutexattr_init(&mutex_attr);
    pthread_mutexattr_settype(&mutex_attr, PTHREAD_MUTEX_RECURSIVE);
    pthread_mutex_init(&cs, &mutex_attr);

    pthread_mutexattr_destroy(&mutex_attr);
    pthread_mutex_destroy(&cs);

    return 0;
}

그렇다면, pthread_mutexattr_destroy를 하지 않는 경우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까요? 이를 위해 잠시 소스코드를 찾아봤는데, 제가 테스트한 glibc의 경우,

$ cat /usr/include/x86_64-linux-gnu/bits/pthreadtypes.h
...[생략]...
#define __SIZEOF_PTHREAD_MUTEXATTR_T 4
...[생략]...

typedef union
{
  char __size[__SIZEOF_PTHREAD_MUTEXATTR_T];
  int __align;
} pthread_mutexattr_t;
...[생략]...

pthread_mutexattr_t는 고정 크기의 구조체로 정의돼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구현 코드를 봐도,

$ cat /home/kevin/glibc/glibc-2.31/nptl/pthread_mutexattr_init.c
int
__pthread_mutexattr_init (pthread_mutexattr_t *attr)
{
  // ...[생략]...

  if (sizeof (struct pthread_mutexattr) != sizeof (pthread_mutexattr_t))
    memset (attr, '\0', sizeof (*attr));

  // ...[생략]...
  ((struct pthread_mutexattr *) attr)->mutexkind = PTHREAD_MUTEX_NORMAL;

  return 0;
}

$ cat /home/kevin/glibc/glibc-2.31/nptl/pthread_mutexattr_destroy.c
// ...[생략]...
int
__pthread_mutexattr_destroy (pthread_mutexattr_t *attr)
{
  return 0;
}

딱히 내부에 할당 코드는 없습니다. 어떠한 alloc/free도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단지, 이게 버전마다, 혹은 구현체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에는 주의를 해야 하는데요, 실제로, 아래의 github 코드를 보면,

pthread_mutexattr_init.c
; https://github.com/BrianGladman/pthreads/blob/master/pthread_mutexattr_init.c

pthread_mutexattr_destroy.c
; https://github.com/BrianGladman/pthreads/blob/master/pthread_mutexattr_destroy.c

윈도우 운영체제로 포팅한 소스코드라고 하는데 저 코드에서는 calloc/free의 쌍으로 다루기 때문에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니까, 이식성 있는 코드를 만든다면 init/destroy를 쌍으로 호출하는 것을 권장한다는 정도가 되겠습니다.




mutex 자체의 경우도 process 내부의 동기화 용도로 쓰는 경우라면 pthread_mutex_destroy를 없애도 메모리 누수가 없습니다. 설령 프로세스 간 동기화(PTHREAD_PROCESS_SHARED)를 한다고 해도 결국 조건 변수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mutex 자체에는 메모리 할당과 관련이 없을 듯합니다. 게다가 mutex 자체를 끊임없이 생성/삭제를 하는 경우도 드물기 때문에 저 코드에 메모리 누수가 있어도 현실적으로 발견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다음은 간단하게 mutex 관련 메모리 누수를 테스트한 코드입니다.

#include <cstdio>
#include <unistd.h>
#include <ios>
#include <iostream>
#include <fstream>
#include <string>
#include <pthread.h>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69438/how-to-get-memory-usage-at-runtime-using-c
void process_mem_usage(double& vm_usage, double& resident_set)
{
    using std::ios_base;
    using std::ifstream;
    using std::string;

    vm_usage = 0.0;
    resident_set = 0.0;

    // 'file' stat seems to give the most reliable results
    //
    ifstream stat_stream("/proc/self/stat", ios_base::in);

    // dummy vars for leading entries in stat that we don't care about
    //
    string pid, comm, state, ppid, pgrp, session, tty_nr;
    string tpgid, flags, minflt, cminflt, majflt, cmajflt;
    string utime, stime, cutime, cstime, priority, nice;
    string O, itrealvalue, starttime;

    // the two fields we want
    //
    unsigned long vsize;
    long rss;

    stat_stream >> pid >> comm >> state >> ppid >> pgrp >> session >> tty_nr
        >> tpgid >> flags >> minflt >> cminflt >> majflt >> cmajflt
        >> utime >> stime >> cutime >> cstime >> priority >> nice
        >> O >> itrealvalue >> starttime >> vsize >> rss; // don't care about the rest

    stat_stream.close();

    long page_size_kb = sysconf(_SC_PAGE_SIZE) / 1024; // in case x86-64 is configured to use 2MB pages
    vm_usage = vsize / 1024.0;
    resident_set = rss * page_size_kb;
}

#define NANO_PER_SEC ((__clock_t) 1000000000)
#define NANO_PER_MILLI  ((__clock_t) 1000000)
#define MILLI_PER_SEC  ((__clock_t) 1000)

timespec diff(timespec start, timespec end)
{
    timespec temp;
    if ((end.tv_nsec - start.tv_nsec) < 0) {
        temp.tv_sec = end.tv_sec - start.tv_sec - 1;
        temp.tv_nsec = NANO_PER_SEC + end.tv_nsec - start.tv_nsec;
    }
    else {
        temp.tv_sec = end.tv_sec - start.tv_sec;
        temp.tv_nsec = end.tv_nsec - start.tv_nsec;
    }
    return temp;
}

clock_t gettotalmillisec(const timespec& time)
{
    return time.tv_sec * MILLI_PER_SEC + time.tv_nsec / NANO_PER_MILLI;
}

int main()
{
    pthread_mutex_t cs;

    struct timespec tspec1, tspec2;
    clock_gettime(CLOCK_REALTIME_COARSE, &tspec1);

    while (true)
    {
        pthread_mutexattr_t mutex_attr;
        pthread_mutexattr_init(&mutex_attr);
        pthread_mutexattr_settype(&mutex_attr, PTHREAD_MUTEX_RECURSIVE);
        pthread_mutex_init(&cs, &mutex_attr);

        // pthread_mutexattr_destroy(&mutex_attr);

        // pthread_mutex_destroy(&cs);

        clock_gettime(CLOCK_REALTIME_COARSE, &tspec2);

        timespec elapsed = diff(tspec1, tspec2);
        clock_t timeDiff = gettotalmillisec(elapsed);8

        if (timeDiff >= 1000) // https://www.sysnet.pe.kr/2/0/11914
        {
            tspec1 = tspec2;

            double vm, rss;
            process_mem_usage(vm, rss);

            printf("VM: %.2f; RSS: %.2f\n", vm, rss);
        }
    }

    return 0;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91정성태4/2/20249430닷넷: 2234. C# - WPF 응용 프로그램에 Blazor App 통합파일 다운로드1
13590정성태3/31/20249224Linux: 70. Python - uwsgi 응용 프로그램이 k8s 환경에서 OOM 발생하는 문제
13589정성태3/29/20249606닷넷: 2233. C# - 프로세스 CPU 사용량을 나타내는 성능 카운터와 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588정성태3/28/202410661닷넷: 2232. C# - Unity + 닷넷 App(WinForms/WPF) 간의 Named Pipe 통신 [2]파일 다운로드1
13587정성태3/27/20249551오류 유형: 900. Windows Update 오류 - 8024402C, 80070643
13586정성태3/27/202412399Windows: 263. Windows - 복구 파티션(Recovery Partition) 용량을 늘리는 방법
13585정성태3/26/202410109Windows: 262. PerformanceCounter의 InstanceName에 pid를 추가한 "Process V2"
13584정성태3/26/202411692개발 환경 구성: 708. Unity3D - C# Windows Forms / WPF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3583정성태3/25/20249709Windows: 261. CPU Utilization이 100% 넘는 경우를 성능 카운터로 확인하는 방법
13582정성태3/19/202410820Windows: 260. CPU 사용률을 나타내는 2가지 수치 - 사용량(Usage)과 활용률(Utilization)파일 다운로드1
13581정성태3/18/202410479개발 환경 구성: 707. 빌드한 Unity3D 프로그램을 C++ Windows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13580정성태3/15/20249467닷넷: 2231. C# - ReceiveTimeout, SendTimeout이 적용되지 않는 Socket await 비동기 호출파일 다운로드1
13579정성태3/13/202410410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13578정성태3/11/202411156닷넷: 2230. C# - 덮어쓰기 가능한 환형 큐 (Circular queue)파일 다운로드1
13577정성태3/9/202411077닷넷: 2229. C# - 닷넷을 위한 난독화 도구 소개 (예: ConfuserEx)
13576정성태3/8/202410357닷넷: 2228. .NET Profiler - IMetaDataEmit2::DefineMethodSpec 사용법
13575정성태3/7/202410809닷넷: 2227. 최신 C# 문법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 쓸 수 있을까요?
13574정성태3/6/202410283닷넷: 2226. C#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의 IPv6 DualMode 소켓
13573정성태3/5/20249468닷넷: 2225. Windbg - dumasync로 분석하는 async/await 호출
13572정성태3/4/20249471닷넷: 2224. C# - WPF의 Dispatcher Queue로 알아보는 await 호출의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1
13571정성태3/1/20249439닷넷: 2223. C# - await 호출과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70정성태2/29/202410085닷넷: 2222. C# -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69정성태2/28/202410190닷넷: 2221. C# - LoadContext, LoadFromContext 그리고 GAC파일 다운로드1
13568정성태2/27/20249743닷넷: 2220. C# - .NET Framework 프로세스의 LoaderOptimization 설정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67정성태2/27/20249664오류 유형: 898. .NET Framework 3.5 이하에서 mscoree.tlb 참조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13566정성태2/27/20249545오류 유형: 897. Windows 7 SDK 설치 시 ".NET Development" 옵션이 비활성으로 선택이 안 되는 경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