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759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80.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8

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9

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349

Linux: 61.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예전에만 해도,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Configure remote access for Docker daemon
; https://docs.docker.com/engine/daemon/remote-access/

원격에 있는 docker를 이용하려면 TCP 바인딩을 열어줘야 했는데요, 아쉽게도 보안이 취약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물론 secure socket 연결(Docker over TLS)을 위한 인증서 세팅을 해도 되지만, 그런 경우 은근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새(?) (2018-11-08일에 릴리스한 18.09부터) SSH를 이용한 원격 접속을 지원하고 있었습니다. ^^ 그래서 별도로 daemon.json이나 service 파일을 건드릴 필요 없이 기존의 ssh 연결만 가능했다면 그 설정 그대로 docker 제어가 원격으로 가능하게 됐습니다.

Protect the Docker daemon socket
; https://docs.docker.com/engine/security/protect-access/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상황일 때,

[A] docker 호스트 머신: 192.168.100.50
[B] docker 클라이언트 머신: 192.168.100.20

B 머신에서 A 머신으로 SSH 접속이 가능했다면, 다음과 같이 그 설정을 담은 context를 생성한 후,

C:\temp> docker context create --docker host=ssh://192.168.100.50 --description="UBUNTU24" test-vpc

C:\temp> docker context list
NAME               DESCRIPTION                               DOCKER ENDPOINT                             ERROR
default            Current DOCKER_HOST based configuration   npipe:////./pipe/docker_engine
desktop-linux *    Docker Desktop                            npipe:////./pipe/dockerDesktopLinuxEngine
test-vpc           UBUNTU24                                  ssh://192.168.100.50

NAME 칼럼을 기준으로 context를 선택해 docker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docker 서비스 문맥 설정
c:\temp> docker context use test-vpc

// 원격 docker 서비스의 컨테이너 목록 확인
c:\temp> docker ps

// 로컬 docker 서비스로 문맥 설정
c:\temp> docker context use default

// 로컬 docker 서비스의 컨테이너 목록 확인
c:\temp> docker ps

간단하죠? ^^




문맥 설정은 저장이 되기 때문에 이후 다시 명령행 창을 열어도 마지막 문맥 설정을 기준으로 docker 명령이 실행되므로 로컬에 docker가 있는 환경이라면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현재 명령어 문맥을 임시로 "--context"를 이용해 바꾸는 것도 가능합니다.

c:temp> docker --context test-vpc ps

혹은, DOCKER_HOST 환경 변수를 이용할 수도 있고,

c:\temp> SET DOCKER_HOST=ssh://192.168.100.50

일일이 매번 -H 옵션에 명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문맥을 이전에 저장하지 않았어도 -H로 직접 설정 가능

c:\temp> docker -H ssh://192.168.100.50 image list

참고로, 윈도우의 경우 기본적으로 %USERNAME% 환경 변수를 사용자로 docker 서버 측에 SSH 연결을 하는데요, 만약 사용자 이름이 틀리다면 ssh 연결 문자열에 직접 명시하면 됩니다.

docker context create --docker host=ssh://testusr@192.168.100.50 --description="UBUNTU24" test-vpc

SET DOCKER_HOST=ssh://testusr@192.168.100.50

docker -H ssh://testusr@192.168.100.50 image list




Windows Server 2022의 경우 SSH를 경유한 docker 명령어 실행 시 매우 느린 현상이 나옵니다.

Docker command execution on remote host extremly slow on Windows 10
; https://forums.docker.com/t/docker-command-execution-on-remote-host-extremly-slow-on-windows-10/138297

제가 테스트한 Windows 11의 경우에는 저런 현상이 없었는데요, "C:\Windows\System32\OpenSSH\ssh.exe"의 버전이 각각 8.6.0.1, 8.1.0.1로 달랐습니다. 적어도 8.6.0.1 버전부터는 그런 현상이 없다는 것인데요, 따라서 최신 버전의 OpenSSH를 다운로드해,

PowerShell/Win32-OpenSSH
; https://github.com/PowerShell/Win32-OpenSSH/releases

%PATH% 경로에 넣어두면 이 현상은 없어집니다.




ssh를 경유하기에 -v 볼륨 매핑의 기준은 sshd가 실행 중인 서버가 되므로 로컬 경로를 직접 명시할 수는 없습니다.

c:\temp> docker run -v "C:\temp:/temp" -it --rm --name test_cpp_build -p 15000:22 cpp_ubuntu18_build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invalid mode: /temp.
See 'docker run --help'.

c:\temp> docker run -v "C:\temp:/temp:rw" -it --rm --name test_cpp_build -p 15000:22 cpp_ubuntu18_build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invalid volume specification: 'C:\temp:/temp:rw'.
See 'docker run --help'.

대신 docker build 시에 "COPY" 명령어를 수행하는 것은 현재 시스템을 기준으로 하므로,

c:\temp> docker build -t cpp_ubuntu18_build -f dockerfile.ubuntu18.cppbuild .

위와 같이 한 경우, c:\temp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내부에서 "COPY" 명령어가 수행됩니다.

...[생략]...

WORKDIR /app

COPY ConsoleApp1 /app/src  # C:\temp\ConsoleApp1 -> /app/src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16정성태1/7/20249684닷넷: 2196.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의 부작용
13515정성태1/6/20249631닷넷: 2195. async 메서드 내에서 C# 7의 discard 구문 활용 사례 [1]
13514정성태1/5/20249525개발 환경 구성: 702.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
13513정성태1/5/20249623닷넷: 2194. C# - WebActivatorEx / System.Web의 PreApplicationStartMethod 특성
13512정성태1/4/20249873개발 환경 구성: 701. IIS - w3wp.exe 프로세스의 ASP.NET 런타임을 항상 Warmup 모드로 유지하는 preload Enabled 설정
13511정성태1/4/20249617닷넷: 2193. C# - ASP.NET Web Application + OpenAPI(Swashbuckle) 스펙 제공
13510정성태1/3/20249363닷넷: 2192. C# - 특정 실행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Linux)
13509정성태1/3/202410547오류 유형: 887. .NET Core 2 이하의 프로젝트에서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Unsafe doesn't support netcoreapp2.0.
13508정성태1/3/202410038오류 유형: 886. ORA-28000: the account is locked
13507정성태1/2/202411121닷넷: 2191. C# - IPGlobalProperties를 이용해 netstat처럼 사용 중인 Socket 목록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06정성태12/29/202310268닷넷: 2190.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13505정성태12/27/202312103닷넷: 2189.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파일 다운로드1
13504정성태12/27/202311215닷넷: 2188. C# - ASP.NET Core SignalR로 구현하는 채팅 서비스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3정성태12/27/202310390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13502정성태12/26/202310931닷넷: 2187. C# - 다른 프로세스의 환경변수 읽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1정성태12/25/202310270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13500정성태12/24/202310784디버깅 기술: 194.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13498정성태12/23/202312455닷넷: 2186.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C# 래퍼 버전 - eFriendOpenAPI NuGet 패키지
13497정성태12/22/202310626오류 유형: 885. Visual Studiio - error : Could not connect to the remote system. Please verify your connection settings, and that your machine is on the network and reachable.
13496정성태12/21/202310558Linux: 66.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13495정성태12/20/202310791Linux: 65. clang++로 공유 라이브러리의 -static 옵션 빌드가 가능할까요?
13494정성태12/20/202310896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13493정성태12/19/202310987닷넷: 2185. C# - object를 QueryStr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
13492정성태12/19/202310374개발 환경 구성: 699. WSL에 nopCommerce 예제 구성
13491정성태12/19/20239380Linux: 63. 리눅스 - 다중 그룹 또는 사용자를 리소스에 권한 부여
13490정성태12/19/202310105개발 환경 구성: 698. Golang - GLIBC 의존을 없애는 정적 빌드 방법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