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999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80.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8

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9

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349

Linux: 61.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예전에만 해도,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Configure remote access for Docker daemon
; https://docs.docker.com/engine/daemon/remote-access/

원격에 있는 docker를 이용하려면 TCP 바인딩을 열어줘야 했는데요, 아쉽게도 보안이 취약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물론 secure socket 연결(Docker over TLS)을 위한 인증서 세팅을 해도 되지만, 그런 경우 은근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새(?) (2018-11-08일에 릴리스한 18.09부터) SSH를 이용한 원격 접속을 지원하고 있었습니다. ^^ 그래서 별도로 daemon.json이나 service 파일을 건드릴 필요 없이 기존의 ssh 연결만 가능했다면 그 설정 그대로 docker 제어가 원격으로 가능하게 됐습니다.

Protect the Docker daemon socket
; https://docs.docker.com/engine/security/protect-access/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상황일 때,

[A] docker 호스트 머신: 192.168.100.50
[B] docker 클라이언트 머신: 192.168.100.20

B 머신에서 A 머신으로 SSH 접속이 가능했다면, 다음과 같이 그 설정을 담은 context를 생성한 후,

C:\temp> docker context create --docker host=ssh://192.168.100.50 --description="UBUNTU24" test-vpc

C:\temp> docker context list
NAME               DESCRIPTION                               DOCKER ENDPOINT                             ERROR
default            Current DOCKER_HOST based configuration   npipe:////./pipe/docker_engine
desktop-linux *    Docker Desktop                            npipe:////./pipe/dockerDesktopLinuxEngine
test-vpc           UBUNTU24                                  ssh://192.168.100.50

NAME 칼럼을 기준으로 context를 선택해 docker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docker 서비스 문맥 설정
c:\temp> docker context use test-vpc

// 원격 docker 서비스의 컨테이너 목록 확인
c:\temp> docker ps

// 로컬 docker 서비스로 문맥 설정
c:\temp> docker context use default

// 로컬 docker 서비스의 컨테이너 목록 확인
c:\temp> docker ps

간단하죠? ^^




문맥 설정은 저장이 되기 때문에 이후 다시 명령행 창을 열어도 마지막 문맥 설정을 기준으로 docker 명령이 실행되므로 로컬에 docker가 있는 환경이라면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현재 명령어 문맥을 임시로 "--context"를 이용해 바꾸는 것도 가능합니다.

c:temp> docker --context test-vpc ps

혹은, DOCKER_HOST 환경 변수를 이용할 수도 있고,

c:\temp> SET DOCKER_HOST=ssh://192.168.100.50

일일이 매번 -H 옵션에 명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문맥을 이전에 저장하지 않았어도 -H로 직접 설정 가능

c:\temp> docker -H ssh://192.168.100.50 image list

참고로, 윈도우의 경우 기본적으로 %USERNAME% 환경 변수를 사용자로 docker 서버 측에 SSH 연결을 하는데요, 만약 사용자 이름이 틀리다면 ssh 연결 문자열에 직접 명시하면 됩니다.

docker context create --docker host=ssh://testusr@192.168.100.50 --description="UBUNTU24" test-vpc

SET DOCKER_HOST=ssh://testusr@192.168.100.50

docker -H ssh://testusr@192.168.100.50 image list




Windows Server 2022의 경우 SSH를 경유한 docker 명령어 실행 시 매우 느린 현상이 나옵니다.

Docker command execution on remote host extremly slow on Windows 10
; https://forums.docker.com/t/docker-command-execution-on-remote-host-extremly-slow-on-windows-10/138297

제가 테스트한 Windows 11의 경우에는 저런 현상이 없었는데요, "C:\Windows\System32\OpenSSH\ssh.exe"의 버전이 각각 8.6.0.1, 8.1.0.1로 달랐습니다. 적어도 8.6.0.1 버전부터는 그런 현상이 없다는 것인데요, 따라서 최신 버전의 OpenSSH를 다운로드해,

PowerShell/Win32-OpenSSH
; https://github.com/PowerShell/Win32-OpenSSH/releases

%PATH% 경로에 넣어두면 이 현상은 없어집니다.




ssh를 경유하기에 -v 볼륨 매핑의 기준은 sshd가 실행 중인 서버가 되므로 로컬 경로를 직접 명시할 수는 없습니다.

c:\temp> docker run -v "C:\temp:/temp" -it --rm --name test_cpp_build -p 15000:22 cpp_ubuntu18_build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invalid mode: /temp.
See 'docker run --help'.

c:\temp> docker run -v "C:\temp:/temp:rw" -it --rm --name test_cpp_build -p 15000:22 cpp_ubuntu18_build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invalid volume specification: 'C:\temp:/temp:rw'.
See 'docker run --help'.

대신 docker build 시에 "COPY" 명령어를 수행하는 것은 현재 시스템을 기준으로 하므로,

c:\temp> docker build -t cpp_ubuntu18_build -f dockerfile.ubuntu18.cppbuild .

위와 같이 한 경우, c:\temp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내부에서 "COPY" 명령어가 수행됩니다.

...[생략]...

WORKDIR /app

COPY ConsoleApp1 /app/src  # C:\temp\ConsoleApp1 -> /app/src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54정성태6/1/200617602개발 환경 구성: 2. VPC에 Vista 설치하는 방법 [2]
255정성태6/1/20061735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1. msconfig 설정과 Windows Activation
259정성태6/1/20061644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2. Vista VPC에 터미널 서비스 - 원격 접속
253정성태6/1/200614718기타: 14. .NET 2.0 이 지원되는 NDoc 2.0 을 배포합니다.
251정성태6/1/200617771오류 유형: 4. [OS 지원 API] SHParseDisplayName과 Windows 2000
252정성태6/1/200617545    답변글 오류 유형: 4.1. NET BCL 에서 제공되는 FolderBrowserDialog [2]
249정성태6/1/200617019.NET Framework: 71. VB.NET 이외의 언어에서 My 네임스페이스 사용
250정성태6/1/200619682    답변글 .NET Framework: 71.1. VB.NET 이외의 언어에서 My 네임스페이스 사용
248정성태6/1/200617864기타: 13. Code Center Premium에서 Win32 API 소스 찾기
245정성태6/1/200625465오류 유형: 3. [C# / VC++] error C2146: syntax error : missing ';' before identifier 'GetType'
247정성태5/3/200622711    답변글 .NET Framework: 3.1. Interface를 사용하면. [1]
242정성태6/1/200623201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243정성태6/1/200620709    답변글 오류 유형: 2.1. [COM+] Resolve Partial Assembly failed for Microsoft.VC80.CRT.mui
244정성태6/1/200621946    답변글 오류 유형: 2.2. [COM+] Server object error 'ASP 0178 : 80070005'
240정성태6/1/200619849스크립트: 9. setTimeout 과 jscript/vbscript 혼용 문제
239정성태6/1/200621119COM 개체 관련: 18. Internet Explorer는 Out-of-process COM 개체입니다.
238정성태6/1/200622962개발 환경 구성: 1. batch 파일에서 실행한 exe에서 batch 실행 문맥의 환경 변수 설정 [3]
236정성태6/1/200643761오류 유형: 1. [.NET COM+] UnauthorizedAccessException: 레지스트리 키 HKEY_CLASSES_ROOT\.... 에 대한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235정성태6/1/200618404VS.NET IDE: 39. VS.NET 2003/2005에서도 제공되는 VS 6.0 MFC ClassWizard
234정성태4/14/200618139VC++: 24. error C2039: 'pOleStr' : is not a member of '_STRRET'
233정성태4/13/200617505.NET Framework: 70. Response.ContentType 과 Response.AddHeader( "Content-Type", "..." ) 의 차이
232정성태4/13/200617261.NET Framework: 69. Reusing C# Source Code Across Multiple Assemblies
231정성태4/13/200617681Team Foundation Server: 4. How to rename a Team Foundation Server
229정성태10/17/200619214.NET Framework: 68. Feb CTP 에서 동작하는 "Save XPS Document page(s) to .bmp" 예제 소스
230정성태4/13/200619506    답변글 .NET Framework: 68.1. -01 MSDN Magazine XPS Document 소스를 Feb CTP로 수정한 버전파일 다운로드1
228정성태4/13/200615901Team Foundation Server: 3. MSBUILD : warning : Visual Studio Team System for Software Testers or Visual Studio Team System for Software Developers is required to run tests as part of a Team Build.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