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846

Linux: 11. 리눅스의 환경 변수 관련 함수 정리 - putenv, setenv, unsetenv
; https://www.sysnet.pe.kr/2/0/11915

Linux: 66.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 https://www.sysnet.pe.kr/2/0/13496

Linux: 80.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lldb)
; https://www.sysnet.pe.kr/2/0/13745

Linux: 81. Linux - PATH 환경변수의 적용 규칙
; https://www.sysnet.pe.kr/2/0/13753

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811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lldb)

지난 글에서는 gdb를 예로 들었었는데요,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 https://www.sysnet.pe.kr/2/0/13496

이번에는 lldb 환경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관련해서 검색해,

How to show an environment variable (that I did not set) in lldb?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4449340/how-to-show-an-environment-variable-that-i-did-not-set-in-lldb

답변에 실린 명령어를 수행했더니 이런 결과가 나옵니다.

(lldb) expr int idx = 0; while (1) { char *str = ((char **)environ)[idx]; if (str == (char *) NULL) break; else printf("%d: %s\n", idx++, str); }

error: Multiple internal symbols found for 'environ'
id = {0x0000031a}, range = [0x0000007ff7fff338-0x0000007ff7fff340), name="environ"
id = {0x000031e7}, range = [0x0000007ff7c47298-0x0000007ff7c472a0), name="environ"
error: :1:48: use of undeclared identifier 'environ'
    1 | int idx = 0; while (1) { char *str = ((char **)environ)[idx]; if (str == (char *) NULL) break; else printf("%d: %s\n", idx++, str); }
      |                           

environ이라는 심벌로 2개가 있다는 건데요, 실제로 어떤 값을 가지고 있는지 둘 다 확인해 봤는데,

(lldb) memory read 0x0000007ff7fff338 0x0000007ff7fff340
...[생략 - 쓰레기 값 출력]...
(lldb) memory read 0x0000007ff7c47298 0x0000007ff7c472a0
...[생략 - 쓰레기 값 출력]...

모두 깨진 출력이 나왔습니다. 사실 메모리 범위만 해도 2개 모두 8바이트이기 때문에 환경변수가 아님을 짐작게 합니다.

그렇다면 뭐가 잘못됐을까요? ^^ 전에 gdb를 했던 경험으로 아마도 변수 이름이 "environ"이 아닌 "__environ"이 맞을 듯합니다. 그래서 다시 명령어를 실행해 보면,

(lldb) expr int idx = 0; while (1) { char *str = ((char **)__environ)[idx]; if (str == (char *) NULL) break; else printf("%d: %s\n", idx++, str); }
0: XDG_SESSION_TYPE=tty
1: LESSOPEN=| /usr/bin/lesspipe %s
2: TERM=xterm-256color
3: SHELL=/bin/bash
...[생략]...
29: DOTNET_BUNDLE_EXTRACT_BASE_DIR=/home/testusr/.cache/dotnet_bundle_extract
30: LESSCLOSE=/usr/bin/lesspipe %s %s

잘 나오는군요. ^^

(마이크로소프트가 procdump 말고 procexp를 리눅스 버전으로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 UI가 있어 까다롭겠지만!)




찾다 보니 이런 글도 있습니다.

How to read environment variables of a process
;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29128/how-to-read-environment-variables-of-a-process

echo '...'로 명령어를 gdb에 전달해 곧바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는데요, 가령 dotnet 프로세스라면 다음과 같이 내릴 수 있습니다.

// "p" == print, getenv 함수 호출

$ echo 'p (char *) getenv("PWD")' | gdb --quiet -p $(pidof dotnet) | sed -n 's/.*"\(.*\)"$/\1/p'

그나저나... 위의 명령어도 마찬가지지만, 리눅스에서의 어떤 '방법'이라고 하는 것들을 볼 때마다 느끼는 건데요, 딱히 외워지지는 않고 매번 찾아보게 되는 유형들이 대부분인 듯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62정성태8/8/202119397Java: 28. IntelliJ - Unable to open debugger port 오류
12761정성태8/8/202116070Java: 27. IntelliJ - java: package javax.inject does not exist [2]
12760정성태8/8/202112852개발 환경 구성: 594. 전용 "Command Prompt for ..." 단축 아이콘 만들기
12759정성태8/8/202117465Java: 26. IntelliJ + Spring Framework + 새로운 Controller 추가 [2]파일 다운로드1
12758정성태8/7/202116867오류 유형: 751. Error assembling WAR: webxml attribute is required (or pre-existing WEB-INF/web.xml if executing in update mode)
12757정성태8/7/202117477Java: 25. IntelliJ +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 생성
12756정성태8/6/202115747.NET Framework: 1084. C# - .NET Core Web API 단위 테스트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755정성태8/5/202115797개발 환경 구성: 593. MSTest - 단위 테스트에 static/instance 유형의 private 멤버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754정성태8/5/202116187오류 유형: 750. manage.py - Your project may not work properly until you apply the migrations for app(s): admin, auth, contenttypes, sessions.
12753정성태8/5/202117113오류 유형: 749. PyCharm - Error: Django is not importable in this environment
12752정성태8/4/202113970개발 환경 구성: 592. JetBrains의 IDE(예를 들어, PyCharm)에서 Visual Studio 키보드 매핑 적용
12751정성태8/4/202116890개발 환경 구성: 591. Windows 10 WSL2 환경에서 docker-compose 빌드하는 방법
12750정성태8/3/202113919디버깅 기술: 181. windbg - 콜 스택의 "Call Site" 오프셋 값이 가리키는 위치
12749정성태8/2/202113360개발 환경 구성: 590. Visual Studio 2017부터 단위 테스트에 DataRow 특성 지원
12748정성태8/2/202114387개발 환경 구성: 589. Azure Active Directory - tenant의 관리자(admin) 계정 로그인 방법
12747정성태8/1/202114647오류 유형: 748. 오류 기록 - MICROSOFT GRAPH – HOW TO IMPLEMENT IAUTHENTICATIONPROVIDER파일 다운로드1
12746정성태7/31/202119119개발 환경 구성: 588. 네트워크 장비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Packet Tracer 프로그램 소개
12745정성태7/31/202114917개발 환경 구성: 587. Azure Active Directory - tenant의 관리자 계정 로그인 방법
12744정성태7/30/202115301개발 환경 구성: 586. Azure Active Directory에 연결된 App 목록을 확인하는 방법?
12743정성태7/30/202116533.NET Framework: 1083. Azure Active Directory - 외부 Token Cache 저장소를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742정성태7/30/202114560개발 환경 구성: 585. Azure AD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 유형
12741정성태7/29/202116054.NET Framework: 1082. Azure Active Directory - Microsoft Graph API 호출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740정성태7/29/202114565오류 유형: 747. SharePoint - InvalidOperationException 0x80131509
12739정성태7/28/202114983오류 유형: 746. Azure Active Directory - IDW10106: The 'ClientId' option must be provided.
12738정성태7/28/202115924오류 유형: 745. Azure Active Directory - Client credential flows must have a scope value with /.default suffixed to the resource identifier (application ID URI).
12737정성태7/28/202115023오류 유형: 744. Azure Active Directory - The resource principal named api://...[client_id]... was not found in the tenant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