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닷넷: 2275. C# 13 - (1) 신규 이스케이프 시퀀스 '\e'
; https://www.sysnet.pe.kr/2/0/13673

닷넷: 2277. C# 13 - (2) 메서드 그룹의 자연 타입 개선 (메서드 추론 개선)
; https://www.sysnet.pe.kr/2/0/13681

닷넷: 2286. C# 13 - (3) Monitor를 대체할 Lock 타입
; https://www.sysnet.pe.kr/2/0/13699

닷넷: 2287. C# 13 - (4) Indexer를 이용한 개체 초기화 구문에서 System.Index 연산자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701

닷넷: 2291. C# 13 - (5) params 인자 타입으로 컬렉션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705

닷넷: 2294. C# 13 - (6) iterator 또는 비동기 메서드에서 ref와 unsafe 사용을 부분적으로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710

닷넷: 2303. C# 13 - (7) ref struct의 interface 상속 및 제네릭 제약으로 사용 가능
; https://www.sysnet.pe.kr/2/0/13752

닷넷: 2304. C# 13 - (8) 부분 메서드 정의를 속성 및 인덱서에도 확대
; https://www.sysnet.pe.kr/2/0/13754

닷넷: 2305. C# 13 - (9) 메서드 바인딩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 도입 (Overload resolution priority)
; https://www.sysnet.pe.kr/2/0/13755




C# 13 - (9) 메서드 바인딩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 도입 (Overload resolution priority)

이 기능은 현재(2024-10-10) Visual Studio 2022 Preview 버전에서 실습할 수 있습니다.




C# 언어가 지원하는 매개변수의 접근자는 대표적으로 4가지 정도가 됩니다.

  • ref
  • out
  • in
  • ref readonly

이러한 것들은 모두 메서드 시그니처에 반영되고, 그에 따라 메서드를 재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니 경우에 따라 어떤 메서드가 호출될 것인지 예측하기가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달리 말하면, C# 컴파일러가 메서드 호출 구문을 분석할 때 실제로 어떤 메서드에 호출을 바인딩해야 하는지 판단하기가 모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문제를, C# 13부터는 바인딩 우선순위를 개발자가 직접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을 추가해 컴파일러에게 힌트를 제공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Overload resolution priority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whats-new/csharp-13#overload-resolution-priority

Overload Resolution Priority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proposals/csharp-13.0/overload-resolution-priority#overload-resolution-priority

[Proposal]: Overload Resolution Priority (VS 17.12, .NET 9) #7706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issues/7706

OverloadResolutionPriority attribute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attributes/general#overloadresolutionpriority-attribute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OverloadResolutionPriority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runtime.compilerservices.overloadresolutionpriorityattribute

실제로 이 특성을 사용하면 지난 글에 설명한 내용 중,

닷넷: 2291. C# 13 - (5) params 인자 타입으로 컬렉션 허용
; https://www.sysnet.pe.kr/2/0/13705

아래의 코드가 "error CS0121" 컴파일 에러를 발생시키는 것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 https://www.sysnet.pe.kr/2/0/13705#cs0121

printAll([6, 7, 8, 9, 10]); // 컴파일 에러 - error CS0121: The call is ambiguous between the following methods or properties: 'Program.printAll(List<int>)' and 'Program.printAll(params ReadOnlySpan<int>)'

static void printAll(List<int> args)
{
    for (int i = 0; i < args.Count; i++)
    {
        Console.Write($"{args[i]},");
    }

    Console.WriteLine();
}

static void printAll(params ReadOnlySpan<int> args)
{
    foreach (var item in args)
    {
        Console.Write($"{item},");
    }

    Console.WriteLine();
}

지난 글에서는 위의 코드를 컴파일하기 위해 형변환 연산자를 사용했었는데요,

printAll((ReadOnlySpan<int>)[6, 7, 8, 9, 10]); // 컴파일 OK, printAll(params ReadOnlySpan<int> args) 호출로 바인딩

위와 같이 형변환을 하는 대신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을 이용해 바인딩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printAll([6, 7, 8, 9, 10]); // 컴파일 OK, printAll(params ReadOnlySpan<int> args) 호출로 바인딩

static void printAll(List<int> args)
{
    Console.Write("List<int> : ");
    // ...[생략]...
}

[OverloadResolutionPriority(1)]
static void printAll(params ReadOnlySpan<int> args)
{
    Console.Write("ReadOnlySpan<int> : ");
    // ...[생략]...
}

물론, "static void printAll(List<int> args)"에 [OverloadResolutionPriority(2)] 특성을 지정하면 이제는 "printAll(List<int> args)" 메서드가 더 높은 우선순위로 바인딩이 됩니다.

참고로, 번호가 클수록 우선순위가 높으며, C# 컴파일러는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이 없는 메서드를 "OverloadResolutionPriority(0)"으로 간주합니다.




이 기능은 라이브러리 개발자에게 특히 유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제에서 "printAll(List<int> args)" 구현만을 포함한 v1.0 어셈블리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러다, 좀 더 성능이 좋은 버전인 "ReadOnlySpan<int> args" 인자를 받는 printAll을 추가해 v2.0을 내놓은 경우 기존 v1.0을 사용해 잘 컴파일을 시켰던 "printAll([6, 7, 8, 9, 10])" 코드가 이제는 컴파일 오류로 빌드 실패가 됩니다. 즉, 소스코드 수준에서의 하위 호환성이 깨진 것입니다.

반면, 라이브러리 개발자가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을 "ReadOnlySpan<int> args"를 받는 printAll 메서드에 부여하면, v1.0을 사용해 컴파일했던 코드가 v2.0에서도 그대로 컴파일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2정성태10/20/201123804.NET Framework: 251. string.GetHashCode는 hash 값을 cache 할까?
1151정성태10/18/201122714Java: 13. 자바도 64비트에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1150정성태10/18/201129993.NET Framework: 250. WPF - ComboBox의 SelectionChagned 이벤트파일 다운로드1
1149정성태10/16/201125613.NET Framework: 249. WPF - d:DesignHeight 값을 구할 수 있을까?
1148정성태10/14/201131588Java: 12. 자바에서 LINQ 사용? [7]
1147정성태10/13/201127537.NET Framework: 248. 닷넷에서 지원되는 문자열 인코딩 이름 목록
1146정성태10/12/201133240.NET Framework: 247. LINQ에서의 Max 기능 구현 [10]파일 다운로드1
1144정성태10/10/201128923.NET Framework: 246. WCF - 서버 측에서의 유효한 Timeout 설정파일 다운로드1
1143정성태10/9/201134489.NET Framework: 245. ASP.NET 서버 측 코드에서 페이스북 계정 연동하는 방법
1142정성태10/8/201134989.NET Framework: 244. 윈도우 폼을 열고 닫는 것만으로 메모리 leak이 발생할까? [2]파일 다운로드1
1141정성태10/7/201133619.NET Framework: 243. DataTable에 대해서 Dispose 메서드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까? [4]파일 다운로드1
1140정성태10/6/201126785.NET Framework: 242. 닷넷 개발자 입장에서 이해해 보는 자바의 서블릿, JSP
1138정성태10/1/201144938Java: 11. 웹 로직에서 MS-SQL 서버 연결 [2]
1137정성태9/30/201130013Java: 10. 닷넷 개발자가 설치해 본 Oracle WebLogic Server - 설치 및 기본 도메인 구성
1136정성태9/29/201125437개발 환경 구성: 131. Visual Studio - ASP.NET의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매크로 함수 [2]파일 다운로드1
1135정성태9/29/201122878오류 유형: 138. TF10216: Team Foundation services are currently unavailable
1134정성태9/27/201130316.NET Framework: 241. C# 5.0에 새로 추가된 Caller Info 특성 [5]
1133정성태9/25/201133583VC++: 54. C++로 만든 WinRT 프로그램 [2]
1132정성태9/24/201173066Java: 9. 자바의 keytool.exe 사용법과 Tomcat의 SSL 통신 설정
1131정성태9/23/201129266Java: 8. 닷넷 개발자가 구현해 본 자바 웹 서비스 (2)
1130정성태9/23/201137259Java: 7. 닷넷 개발자가 구현해 본 자바 웹 서비스 (1)파일 다운로드2
1129정성태9/22/201128898개발 환경 구성: 130. Hyper-V에 MS-DOS VM 만드는 방법 - MSDN 구독자 대상 [3]
1128정성태9/20/201129074오류 유형: 137. KB2449742 보안 업데이트로 인한 충돌 문제 해결 - 두 번째 이야기
1127정성태9/19/201133183Java: 6. Java에서 MySQL 사용 [2]
1126정성태9/18/201128280Math: 3. "유클리드 호제법"과 "Bezout's identity" 구현 코드(C#)파일 다운로드1
1125정성태9/17/201126206Windows: 54. Windows 8 개발자 Preview를 사용해 보고... [2]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