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sh로 docker 접근을 할 때 "... malformed HTTP status code ..." 오류 발생

갑자기 잘 되던 docker ssh 접근이 이런 오류가 발생하기 시작했습니다.

c:\temp> docker -H ssh://testusr@192.168.100.50 ps
error during connect: Get "http://docker.example.com/v1.47/containers/json": net/http: HTTP/1.x transport connection broken: malformed HTTP status code "was"

관련해서 아래의 글을 보면,

Got an error with connecting daemon over ssh session #3019
; https://github.com/docker/cli/issues/3019

docker가 ssh 연결인 경우 어떤 옵션으로 연결을 시도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c:\temp> docker -H ssh://testusr@192.168.100.50 --debug version
time="2024-10-04T20:56:55+09:00" level=debug msg="commandconn: starting ssh with [-o ConnectTimeout=30 -T -l testusr -- 192.168.100.50 docker system dial-stdio]"
time="2024-10-04T20:56:55+09:00" level=debug msg="commandconn: starting ssh with [-o ConnectTimeout=30 -T -l testusr -- 192.168.100.50 docker system dial-stdio]"
time="2024-10-04T20:56:55+09:00" level=debug msg="commandconn: starting ssh with [-o ConnectTimeout=30 -T -l testusr -- 192.168.100.50 docker system dial-stdio]"
Client:
 Version:           27.2.0
 API version:       1.47
 Go version:        go1.21.13
 Git commit:        3ab4256
 Built:             Tue Aug 27 14:17:17 2024
 OS/Arch:           windows/amd64
 Context:           default
error during connect: Get "http://docker.example.com/v1.47/version": net/http: HTTP/1.x transport connection broken: malformed HTTP status code "was"

위의 출력 결과를 보면, ssh의 연결 옵션은 대충 다음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c:\temp> ssh testusr@192.168.100.50 -o ConnectTimeout=30 -T
Welcome to Ubuntu 18.04.6 LTS (GNU/Linux 5.4.0-150-generic x86_64)

 * Documentation:  https://help.ubuntu.com
 * Management:     https://landscape.canonical.com
 * Support:        https://ubuntu.com/pro

/home/testusr/.profile was read
/home/testusr/.bashrc was read

따라서 위와 같은 명령어로 접속이 잘 되면 ssh 연결 자체는 문제가 없고, 결국 docker 측의 문제인 듯합니다.




그런데 해당 이슈에 보면, 오류 메시지의 "status code" 이후에 나오는 문자열이 제각각임을 알 수 있습니다.

error during connect: Get "http://docker.example.com/v1.47/containers/json": net/http: HTTP/1.x transport connection broken: malformed HTTP status code "was"


그리고 다음과 같은 덧글이 나오는데요,

figured it out for future folks landing here:
the remote instance had an 'echo' in bashrc (used for debugging something unrelated), which was tripping docker for some reason (presumably it wasn't expecting that in whatever output stream it was parsing)
removing it fixed it and things are working as expected now'


그러니까, ".bashrc"의 echo 출력을 제거해서 해결했다는 것입니다. 그러고 보니 ssh 연결 시 출력되는 결과에 저도 "echo" 출력이 있습니다.

$ source .bashrc
/home/testusr/.bashrc was read

게다가 오류 메시지에 있던 "status code"의 "was" 문자열이 저 출력에 포함돼 있는데요, 아마도 그로 인해 docker 측의 명령어 해석에 방해가 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어쨌든, .bashrc에 있는 echo 출력을 주석 처리해 저도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 cat /home/testusr/.bashrc
# echo "/home/testusr/.bashrc was read"

# ~/.bashrc: executed by bash(1) for non-login shells.
# see /usr/share/doc/bash/examples/startup-files (in the package bash-doc)
# for examples
...[생략]...

그나저나, 희한하군요, 저 echo 출력은 원래 없었던 것인데 어떤 알 수 없는 동작에 의해 추가된 것입니다. 한 가지 더 이상한 것은, (.bashrc가 아닌) .profile에 있는 echo 출력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단지 .bashrc의 경우 강제로 stderr로 출력을 시키면,

// echo that outputs to stderr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990414/echo-that-outputs-to-stderr

>&2 echo "/home/testusr/.bashrc was read"

// 또는,

echo "/home/testusr/.bashrc was read" >&2

이번엔 docker over ssh 명령어가 잘 실행됩니다. 그렇다면, .profile의 경우에는 출력 스트림이 다른 것일까요? 테스트를 위해 다음의 2줄을 .profile에 추가해 봤지만,

$ cat /home/testusr/.profile
echo "/home/testusr/.profile was read" >&1
echo "test was read" >&1
...[생략]...

결과는 동일하게 잘 실행됩니다. 음... ^^; 뭐가 문제인지 잘 모르겠군요, 암튼 그냥 무난하게 .bashrc의 echo를 삭제하면 됩니다. (혹시, 이유를 아시는 분 계실까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07정성태12/18/201724260.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11406정성태12/17/201746697.NET Framework: 711. C# - OpenCvSharp의 Mat 데이터 조작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405정성태12/17/201742707.NET Framework: 710. C# - OpenCvSharp을 이용한 Webcam 영상 처리 + Direct2D [1]파일 다운로드1
11404정성태12/16/201729980.NET Framework: 709.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 Direct2D [7]파일 다운로드1
11403정성태12/16/201732569.NET Framework: 708.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3]파일 다운로드1
11402정성태12/15/201737182.NET Framework: 707. OpenCV 응용 프로그램을 C#으로 구현 - OpenCvSharp [2]파일 다운로드1
11401정성태12/15/201726109.NET Framework: 706.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2]파일 다운로드1
11400정성태12/14/201728975.NET Framework: 705.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9]파일 다운로드1
11399정성태12/13/201717633.NET Framework: 704. Win32 API의 UnionRect를 닷넷 BCL의 Rectangle.Union으로 바꿀 때 주의 사항
11398정성태12/13/201717854오류 유형: 442. ASP.NET Core Web Application (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시 런타임 버전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97정성태12/12/201720447.NET Framework: 703. 양자 컴퓨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Q# 언어
11396정성태12/8/201742828개발 환경 구성: 343. Visual Studio - 리눅스 용 프로젝트의 인텔리센스를 위한 헤더 파일 처리 방법 [3]
11395정성태12/8/201718644오류 유형: 441. 이벤트 로그 - Time Provider NtpClient: No valid response has been received from domain controller
11394정성태12/8/201718294개발 환경 구성: 34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93정성태12/7/201722859Windows: 145. 윈도우 10 빌드 17046부터 WSL에서 백그라운드 작업 지원 [5]
11392정성태12/7/201718104개발 환경 구성: 341. openSUSE에 닷넷 코어 설치
11391정성태12/7/201720955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1]
11390정성태12/7/201729611개발 환경 구성: 339.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Linux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6]
11389정성태12/7/201718287오류 유형: 440. .NET Core 오류 - 0x80131620 Unable to load DLL 'libuv'
11388정성태12/6/201721926개발 환경 구성: 338. WSL 또는 Ubuntu에 닷넷 코어 설치 [3]
11387정성태12/6/201722279오류 유형: 439. 이벤트 로그 - Data Sharing Service 서비스의 %%3239247874 오류 메시지
11386정성태12/5/201717852오류 유형: 438. Hyper-V - '...' failed to add device 'Virtual CD/DVD Disk'
11385정성태12/5/201730955VC++: 121.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Visual C++) [16]파일 다운로드1
11384정성태12/5/201720257오류 유형: 437. Visual C++ - Cannot open include file: 'SDKDDKVer.h'
11383정성태12/4/201723345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1]
11382정성태12/4/201721898오류 유형: 436.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0x80131904): Connection Timeout Expired 예외 발생 시 "[Pre-Login] initialization=48; handshake=1944;" 값의 의미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