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Linux - dotnet tool의 설치 디렉터리가 PATH 환경변수에 자동 등록이 되는 이유

예전에는, "dotnet tool install ..."로 설치한 도구를 실행하고 싶다면 tools 디렉터리를 환경변수 PATH에 직접 등록해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근래 들어서는 이런 작업 없이 곧바로 실행이 됩니다.

$ dotnet tool install -g dotnet-dump
You can invoke the tool using the following command: dotnet-dump
Tool 'dotnet-dump' (version '8.0.547301') was successfully installed.

$ dotnet-dump ps
No supported .NET processes were found

위의 경우, dotnet-dump는 여전히 user-profile 디렉터리 밑에 설치되지만,

$ echo $HOME
/home/testusr

$ which dotnet-dump
/home/testusr/.dotnet/tools/dotnet-dump

대신 저 디렉터리가 PATH에 등록돼 있습니다.

$ echo $PATH
/usr/local/sbin:...[생략]...:/snap/bin:/home/testusr/.dotnet/tools

과연 저 PATH를 누가 등록한 것일까요? ^^ 아래의 글에서 autoexec.bat 역할을 하는 리눅스의 설정 파일을 알아봤는데요,

Windows 10 - bash 실행 시 시작 디렉터리 자동 변경
; https://www.sysnet.pe.kr/2/0/11046

/etc/profile: 시스템 전역 설정
/etc/profile.d: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시스템 전역 설정
/etc/bashrc: Bash Shell 전용 설정 파일
~/.bash_profile: 사용자 전용 설정 파일
~/.bash_login: 사용자 로그인 시에만 실행되는 설정 파일
~/.profile: 2개의 설정 파일(~/.bash_profile, ~/.bash_login)이 없는 경우에 적용되는 설정 파일
~/.bashrc: 로그인이 없는 환경에서도 참조되는 사용자 설정 파일

결국 찾아보면, /etc/profile.d 디렉터리에 등록된 dotnet.sh에 의해 경로가 추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at /etc/profile.d/dotnet.sh
# Add dotnet tools directory to PATH
DOTNET_TOOLS_PATH="$HOME/.dotnet/tools"
case "$PATH" in
    *"$DOTNET_TOOLS_PATH"* ) true ;;
    * ) PATH="$PATH:$DOTNET_TOOLS_PATH" ;;
esac

# Extract self-contained executables under HOME
# to avoid multi-user issues from using the default '/var/tmp'.
[ -z "$DOTNET_BUNDLE_EXTRACT_BASE_DIR" ] && export DOTNET_BUNDLE_EXTRACT_BASE_DIR="${XDG_CACHE_HOME:-"$HOME"/.cache}/dotnet_bundle_extract"

근래의 "apt install dotnet-sdk-8.0" 설치를 하면 그 시점에 dotnet.sh 파일도 함께 등록이 되는데요, 이게 sdk 버전마다 다른 듯합니다. 일례로, 제가 테스트한 다른 서버에서는 dotnet-cli-tools-bin-path.sh 파일이 있었습니다.

$ cat /etc/profile.d/dotnet-cli-tools-bin-path.sh
export PATH="$PATH:$HOME/.dotnet/tools"




참고로, /etc/profile.d 디렉터리 밑의 파일들은 스스로 실행되는 것은 아니고, /etc/profile 파일에 의해 실행되는 것입니다.

$ cat /etc/profile
# /etc/profile: system-wide .profile file for the Bourne shell (sh(1))
# and Bourne compatible shells (bash(1), ksh(1), ash(1), ...).

if [ "${PS1-}" ]; then
  if [ "${BASH-}" ] && [ "$BASH" != "/bin/sh" ]; then
    # The file bash.bashrc already sets the default PS1.
    # PS1='\h:\w\$ '
    if [ -f /etc/bash.bashrc ]; then
      . /etc/bash.bashrc
    fi
  else
    if [ "$(id -u)" -eq 0 ]; then
      PS1='# '
    else
      PS1='$ '
    fi
  fi
fi

if [ -d /etc/profile.d ]; then
  for i in /etc/profile.d/*.sh; do
    if [ -r $i ]; then
      . $i
    fi
  done
  unset i
fi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13정성태12/20/200629100VC++: 26. volatile 키워드 [1]파일 다운로드1
412정성태12/17/200633159오류 유형: 22. VS.NET 2005 SP1 설치 도중 오류 [9]
411정성태12/16/200622262오류 유형: 21.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2) - KB919156 패치 이후 TFS 접근 문제
410정성태12/16/200623342오류 유형: 20. TFS SP1 설치 관련 오류 (1) - KB919156 패치
408정성태12/10/200625685Windows: 7. USB 드라이브 내용 암호화
407정성태12/10/200622888오류 유형: 19. Vista 에서의 VS.NET 2005 로 개발한 어셈블리에 대한 서명 확인 오류
406정성태12/10/200627847Windows: 6. IE 7 검색 공급자 - 영한 사전
403정성태12/6/200634990Windows: 5. Vista 와 웹 인증 등록 서비스의 문제 [5]
402정성태12/11/200626071Windows: 4. Vista 설치 후기 [1]
409정성태12/11/200630075    답변글 Windows: 4.1. Vista 설치 후기 - 두 번째 이야기 [3]
396정성태2/13/200732609오류 유형: 18.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393정성태11/8/200622198오류 유형: 17. Unable to start debugging - The binding handle is invalid.
371정성태10/23/200621544오류 유형: 16. STS Communication failed.
370정성태11/12/200625404.NET Framework: 75. Windows CardSpace 이야기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5정성태10/25/200627311    답변글 .NET Framework: 75.1. 개인 발행 카드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6정성태10/27/200626990    답변글 .NET Framework: 75.2. "Windows CardSpace"와 "인증서 서비스"의 만남(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7정성태10/26/200626821    답변글 .NET Framework: 75.3.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1) - CardWriter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85정성태11/6/200629196    답변글 .NET Framework: 75.4.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2) - STS 구현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7]
387정성태11/2/200630160    답변글 .NET Framework: 75.5. Windows CardSpace와 SYSNET 사이트의 만남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1]
397정성태11/11/200627678    답변글 .NET Framework: 75.6. CardWriter.csproj와 함께 알아보는 인증서 식별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8정성태11/12/200626040    답변글 .NET Framework: 75.7. 카드에 암호 거는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9정성태11/12/200628244    답변글 .NET Framework: 75.8. 인증서/스마트 카드에 기반한 Managed Card - STS 구현(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5]
369정성태10/22/200623620오류 유형: 15. 자동 업데이트 실패
367정성태10/22/200639675Windows: 3. IIS 7.0 다중 바인딩 설정하는 방법 [1]
365정성태10/21/200622849Windows: 2. 서버(build 5600)에 IIS 7.0 서비스와 .NET 3.0 설치 방법
359정성태10/17/200619119오류 유형: 14. VS.NET 빌드 오류 -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