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00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예전에 windbg에서 mscordacwks 로드 문제 때문에 sos 확장 DLL의 닷넷 디버깅이 안된다는 글을 쓴 적이 있었는데요.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 https://www.sysnet.pe.kr/2/0/994

그때 당시의 해결 방안으로 심벌 폴더에 동일하게 경로를 맞춰주는 것으로 해결을 했었습니다.

최근에 고객사를 방문해서 "Windows Server 2003 Version 3790 (Service Pack 2)"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windbg로 문제 해결을 해나가는데, 이와 유사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다음과 같이 sos의 확장 DLL 명령어들이 정상적으로 실행이 안된 것입니다.

0:002> lm
start    end        module name
...[생략]...
79000000 7904a000   mscoree    (deferred)             
79060000 790bb000   mscorjit   (deferred)    
790c0000 7951a000   mscorlib   (deferred)                      
79e70000 7a400000   mscorwks   (deferred)     
...[생략]...

0:002> .loadby sos mscorwks

0:002> !clrstack

CLRDLL: CLR DLL load disabled
Failed to load data access DLL, 0x80004005
Verify that 1) you have a recent build of the debugger (6.2.14 or newer)
            2) the file mscordacwks.dll that matches your version of mscorwks.dll is 
                in the version directory
            3) or, if you are debugging a dump file, verify that the file 
                mscordacwks_<arch>_<arch>_<version>.dll is on your symbol path.
            4) you are debugging on the same architecture as the dump file.
                For example, an IA64 dump file must be debugged on an IA64
                machine.

You can also run the debugger command .cordll to control the debugger's
load of mscordacwks.dll.  .cordll -ve -u -l will do a verbose reload.
If that succeeds, the SOS command should work on retry.

If you are debugging a minidump, you need to make sure that your executable
path is pointing to mscorwks.dll as well.

그런데, 이번에는 DLL의 버전번호까지는 알 수 있었지만 PDB 파일의 시그니처가 출력되지는 않았습니다.

0:002> .cordll -ve -u -l
CLRDLL: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mscordacwks.dll:2.0.50727.6387 f:0
doesn't match desired version 2.0.50727.4005 f:0
CLRDLL: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by mscorwks search
CLRDLL: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on the path
CLRDLL: Unable to find mscorwks.dll by search
CLRDLL: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Win32 error 0n2
CLR DLL status: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Win32 error 0n2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글에 보면 고객사 컴퓨터에서 mscordacwks.dll을 복사해 와서 "d:\Symbols\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4A9EE474590000\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경로에 복사하는 것으로 해결했다고 썼는데요. 아쉽게도 이번에는 2.0.50727.4005로 버전이 다르기 때문에 틀림없이 "4A9EE474590000"이라는 시그니처 값도 달라져야 하는데 그 문자열을 구할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다른 방법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cordll"의 명령어를 가만 보니 "on the path"라는 말이 나옵니다. 아마도 "PATH" 환경 변수로 잡힌 경로에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파일로 놓아도 된다는 것이겠지요. 다행히 이 예상은 적중해서 로드가 잘 되었습니다. ^^

0:002> .cordll -ve -u -l
CLRDLL: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mscordacwks.dll:2.0.50727.6387 f:0
doesn't match desired version 2.0.50727.4005 f:0
CLRDLL: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by mscorwks search
CLRDLL: Loade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CLR DLL status: Loade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005.dll

그런데, 나중에 끝마치고 나서 살펴 보니 제가 다음의 글도 썼었더군요. ^^;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81

그 때는 "Debug Diag" 도구에서 덤프 파일을 올린 것이었는데 ... 거기에도 시그니처 경로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마 이번에도 그렇게 해서 나오지 않았을까 싶지만... 어쨌든 덕분에 새로운 방법을 알게 되었으니.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90정성태6/28/202116685Java: 23.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Tomcat 호스팅
12689정성태6/25/202118372오류 유형: 730. Windows Forms 디자이너 - The class Form1 can be designed, but is not the first class in the file. [1]
12688정성태6/24/202117700.NET Framework: 1073. C# - JSON 역/직렬화 시 리플렉션 손실을 없애는 JsonSrcGen [2]파일 다운로드1
12687정성태6/22/202115026오류 유형: 729. Invalid data: Invalid artifact, java se app service only supports .jar artifact
12686정성태6/21/202116993Java: 22.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Java SE (Embedded Web Server) 호스팅
12685정성태6/21/202118207Java: 21. Azure Web App Service에 배포된 Java 프로세스의 메모리 및 힙(Heap) 덤프 뜨는 방법
12684정성태6/19/202116557오류 유형: 728. Visual Studio 2022부터 DTE.get_Properties 속성 접근 시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예외 발생
12683정성태6/18/202117871VS.NET IDE: 166. Visual Studio 2022 - Windows Forms 프로젝트의 x86 DLL 컨트롤이 Designer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12682정성태6/18/202114417VS.NET IDE: 165. Visual Studio 2022를 위한 Extension 마이그레이션
12681정성태6/18/202114708오류 유형: 727. .NET 2.0 ~ 3.5 + x64 환경에서 System.EnterpriseServices 참조 시 CS8012 경고
12680정성태6/18/202116772오류 유형: 726. python2.7.exe 실행 시 0xc000007b 오류
12679정성태6/18/202116894COM 개체 관련: 23. CoInitializeSecurity의 전역 설정을 재정의하는 CoSetProxyBlanket 함수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678정성태6/17/202115397.NET Framework: 1072. C# - CoCreateInstance 관련 Inteop 오류 정리파일 다운로드1
12677정성태6/17/202118200VC++: 144. 역공학을 통한 lxssmanager.dll의 ILxssSession 사용법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676정성태6/16/202117361VC++: 143. ionescu007/lxss github repo에 공개된 lxssmanager.dll의 CLSID_LxssUserSession/IID_ILxssSession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675정성태6/16/202115257Java: 20. maven package 명령어 결과물로 (war가 아닌) jar 생성 방법
12674정성태6/15/202116484VC++: 142. DEFINE_GUID 사용법
12673정성태6/15/202117116Java: 19. IntelliJ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을 Tomcat에서 실행하는 방법
12672정성태6/15/202118722오류 유형: 725. IntelliJ에서 Java webapp 실행 시 "Address localhost:1099 is already in use" 오류
12671정성태6/15/202127414오류 유형: 724. Tomcat 실행 시 Failed to initialize connector [Connector[HTTP/1.1-8080]] 오류
12670정성태6/13/202117392.NET Framework: 1071.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에서의 CoInitializeSecurity 문제파일 다운로드1
12669정성태6/11/202117564.NET Framework: 1070. 사용자 정의 GetHashCode 메서드 구현은 C# 9.0의 record 또는 리팩터링에 맡기세요.
12668정성태6/11/202120056.NET Framework: 1069.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파일 다운로드2
12667정성태6/10/202117897.NET Framework: 106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CoInitializeSecurity 제약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666정성태6/10/202115518.NET Framework: 1067. 별도 DLL에 포함된 타입을 STAThread Main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CoInitializeSecurity 자동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665정성태6/9/202117570.NET Framework: 1066. Wslhub.Sdk 사용으로 알아보는 CoInitializeSecurity 사용 제약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