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bpftrace 수행 시 "ERROR: Could not resolve symbol: /proc/self/exe:BEGIN_trigger"

Ubuntu 22.04에 기본 포함된 bpftrace로 기본 예제를 수행했더니 오류가 발생합니다.

$ cat /etc/lsb-release 
DISTRIB_ID=Ubuntu
DISTRIB_RELEASE=22.04
DISTRIB_CODENAME=jammy
DISTRIB_DESCRIPTION="Ubuntu 22.04.4 LTS"

$ uname -r
6.8.0-45-generic

$ which bpftrace
/usr/bin/bpftrace

$ sudo bpftrace -e 'BEGIN { printf("hello\n"); }'
Attaching 1 probe...
ERROR: Could not resolve symbol: /proc/self/exe:BEGIN_trigger

'-e' 옵션으로 스크립트를 실행하도록 하고 있는데, 'BEGIN'을 지정해 시작 단계에서 실행할 스크립트를 지정했지만 BEGIN_trigger가 없다고 오류가 발생한 것입니다.

관련해서 아래의 글을 보면,

BEGIN probe not working #954
; https://github.com/bpftrace/bpftrace/issues/954

사실 eBPF에는 BEGIN에 해당하는 기능은 없는 것 같고 단지 bpftrace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스스로 제공하는 Symbol 내에 BEGIN_trigger가 있어야 하는데, (제가 테스트한) bpftrace 바이너리에는 Symbol이 없어 BEGIN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문제가 발생한 bpftrace 바이너리에는 Symbol이 제거된(stripped) 채로 빌드되었습니다.

$ file /usr/bin/bpftrace
/usr/bin/bpftrace: ELF 64-bit LSB pie executable, ...[생략]...Linux 3.2.0, stripped

$ nm /usr/bin/bpftrace
nm: /usr/bin/bpftrace: no symbols

$ sudo /usr/bin/bpftrace -e 'uprobe:/usr/bin/bpftrace:BEGIN_trigger { printf("hello\n" ); }'
No probes to attach

그래서 혹시나 싶어, bpftrace를 직접 다운로드했는데요,

// https://github.com/bpftrace/bpftrace

$ wget https://github.com/bpftrace/bpftrace/releases/download/v0.21.2/bpftrace

$ chmod u+x bpftrace

$ file bpftrace
bpftrace: ELF 64-bit LSB executable, x86-64, version 1 (SYSV), statically linked, not stripped

// 기존 버전을 덮어쓰는 것도... ^^
$ sudo cp bpftrace  /usr/bin/bpftrace

최신 버전은 BEGIN 동작이 잘됩니다.

$ sudo ./bpftrace -e 'BEGIN { printf("hello\n"); }'
Attaching 1 probe...
hello
^C

그런데, "BEGIN probe not working #954" 이슈에서는 정확히 BEGIN_trigger에 해당하는 symbol이 조회가 되는 걸로 나오는데요,

nm src/bpftrace
0000000000b5a750 T BEGIN_trigger

제가 다운로드한 bpftrace에는 BEGIN_trigger가 없었습니다.

$ nm ./bpftrace | grep BEGIN
000000000048d500 r __EH_FRAME_BEGIN__

대신 uprobe로 하면 복수 개의 BEGIN_trigger를 잡아내는데,

$ sudo ./bpftrace -e 'uprobe:bpftrace:BEGIN_trigger { printf("hello\n"); }'
stdin:1:1-30: WARNING: attaching to uprobe target file 'bpftrace' but matched 3 binaries
uprobe:bpftrace:BEGIN_trigger { printf("hello\n"); }
~~~~~~~~~~~~~~~~~~~~~~~~~~~~~
stdin:1:1-30: WARNING: attaching to uprobe target file 'bpftrace' but matched 3 binaries
uprobe:bpftrace:BEGIN_trigger { printf("hello\n"); }
~~~~~~~~~~~~~~~~~~~~~~~~~~~~~
...[생략]...

음... 앞뒤가 맞진 않지만, 그래도 이쯤에서 넘어가겠습니다. (혹시 이에 대해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이런 경우 마찬가지로 'END { }' 역시 "ERROR: Could not resolve symbol: /proc/self/exe:END_trigger"라는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 sudo /usr/bin/bpftrace -e 'END { }'
Attaching 1 probe...
^CERROR: Could not resolve symbol: /proc/self/exe:END_trigger

하지만, BEGIN/END에 대한 기능만 없을 뿐 실질적인 eBPF 기능은 잘 동작합니다.

$ sudo /usr/bin/bpftrace -l '*sys_clone*'
kprobe:__ia32_sys_clone
kprobe:__ia32_sys_clone3
kprobe:__x64_sys_clone
kprobe:__x64_sys_clone3

# grep sys_clone /proc/kallsyms
ffffffff8e0fc770 t __do_sys_clone
ffffffff8e0fc7f0 t __do_sys_clone3
ffffffff8e0fca30 T __x64_sys_clone
ffffffff8e0fca60 T __ia32_sys_clone
ffffffff8e0fca80 T __x64_sys_clone3
ffffffff8e0fcaa0 T __ia32_sys_clone3

$ sudo /usr/bin/bpftrace -e 'kprobe:__x64_sys_clone { printf("sys_clone called\n"); }'
...[생략: 정상 동작]...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3/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30정성태1/19/202219444개발 환경 구성: 631. AKS/k8s의 Volume에 파일 복사하는 방법
12929정성태1/19/202220569개발 환경 구성: 630. AKS/k8s의 Pod에 Volume 연결하는 방법
12928정성태1/18/202219084개발 환경 구성: 629. AKS/Kubernetes에서 호스팅 중인 pod에 shell(/bin/bash)로 진입하는 방법
12927정성태1/18/202221144개발 환경 구성: 628.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12926정성태1/17/202220074오류 유형: 787. AKS - pod 배포 시 ErrImagePull/ImagePullBackOff 오류
12925정성태1/17/202221834개발 환경 구성: 627.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
12924정성태1/15/202222456.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2]파일 다운로드1
12923정성태1/15/202222504개발 환경 구성: 626.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을 MPEG1 포맷으로 변경하는 방법
12922정성태1/14/202221097개발 환경 구성: 625.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 생성 및 SLO/SLA 변경 방법
12921정성태1/14/202216797개발 환경 구성: 624. Docker Desktop에서 별도 서버에 설치한 docker registry에 이미지 올리는 방법
12920정성태1/14/202218055오류 유형: 786. Camtasia - An error occurred with the camera: Failed to Add Video Sampler.
12919정성태1/13/202218034Windows: 199. Host Network Service (HNS)에 의해서 점유되는 포트
12918정성태1/13/202219615Linux: 47. WSL - shell script에서 설정한 환경 변수가 스크립트 실행 후 반영되지 않는 문제
12917정성태1/12/202218639오류 유형: 785. C# - The type or namespace name '...' could not be found (are you missing a using directive or an assembly reference?)
12916정성태1/12/202217639오류 유형: 784. TFS - One or more source control bindings for this solution are not valid and are listed below.
12915정성태1/11/202218857오류 유형: 783. Visual Studio - We didn't find any interpreters
12914정성태1/11/202223228VS.NET IDE: 172. 비주얼 스튜디오 2022의 파이선 개발 환경 지원
12913정성태1/11/202223392.NET Framework: 1133. C# - byte * (바이트 포인터)를 FileStream으로 쓰는 방법 [1]
12912정성태1/11/202221829개발 환경 구성: 623.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의 이미지를 PGM(Portable Gray Map) 파일 포맷으로 출력하는 방법 [1]
12911정성태1/11/202218208VS.NET IDE: 171. 비주얼 스튜디오 - 더 이상 만들 수 없는 "ASP.NET Core 3.1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
12910정성태1/10/202218507제니퍼 .NET: 30.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8) - CPU high와 DB 쿼리 성능에 문제가 함께 있는 사이트
12909정성태1/10/202219589오류 유형: 782. Visual Studio 2022 설치 시 "Couldn't install Microsoft.VisualCpp.Redist.14.Latest"
12908정성태1/10/202215908.NET Framework: 1132. C# - ref/out 매개변수의 IL 코드 처리
12907정성태1/9/202218080오류 유형: 781. (youtube-dl.exe) 실행 시 "This app can't run on your PC" / "Access is denied." 오류 발생
12906정성태1/9/202221220.NET Framework: 1131. C# - 네임스페이스까지 동일한 타입을 2개의 DLL에서 제공하는 경우 충돌을 우회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905정성태1/8/202220032오류 유형: 780.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TextTemplating.VSHost.15.0, Version=16.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or one of its dependencies.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