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170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650

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 https://www.sysnet.pe.kr/2/0/13659

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3771

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 https://www.sysnet.pe.kr/2/0/13772

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 https://www.sysnet.pe.kr/2/0/13773

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3774

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79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예전 글에서,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650

WSL 2의 경우 경량 VM 내부에서 각각의 리눅스 배포본들이 컨테이너 형식으로 뜬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분리는 리눅스의 namespacecgroup을 이용해 구현되는데요, WSL의 경우 배포본마다 프로세스 ID가 독립적인 것으로 봐서 Process ID namespace도 함께 사용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pid의 경우 이런 식으로 관리됩니다.

// WSL Ubuntu에서 a.out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경우

[Mariner VM의 process id table]
pid == 1: /init
...[생략]...
pid == 5000: /sbin/init
...[생략]...
pid == 5601: a.out

[Ubuntu 인스턴스의 process id table]
pid == 1: /sbin/init
...[생략]...
pid == 100: a.out

즉, Ubuntu WSL 배포본 내에서 a.out을 실행해도, 그에 대한 프로세스 정보는 그 상위의 Linux VM에서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긴 한데 저 2개의 프로세스가 어떤 관계로 연결되는지 명확하게 1개의 명령어로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 바로 그 방법, 즉 Mariner VM 내에서 Ubuntu 인스턴스에 뜬 a.out의 pid를 어떻게 찾을 수 있는가를 알아볼 텐데요, 이 과정에서 WSL 배포본들의 환경 구성을 좀 더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우선, 시스템에 등록된 전체 namespace 목록을 lsn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 프로그램의 -t 옵션을 pid로 주면 이렇게 pid 격리만 보게 됩니다.

// Mariner VM 내에서 실행 ("WSL --debug-shell"로 접속)

# lsns -t pid
        NS TYPE NPROCS   PID USER  COMMAND
4026531836 pid     177     1 root  /init
4026532245 pid      12   221 root  /init
4026532257 pid      71   226 root  /sbin/init
4026532375 pid      20 13854 root  nginx: master process nginx -g daemon off;
4026532484 pid       8  1201 root  /init
4026532496 pid      11  1219 root  /init
4026532500 pid       8  1264 root  /init
4026532512 pid       5  1267 root  /init
4026532516 pid      28  1343 root  /init
4026532739 pid       1  2530 65535 /pause
4026532742 pid       1  2531 65535 /pause
4026532745 pid       1  2532 65535 /pause
4026532749 pid       1  2533 65535 /pause
...[생략]...

위의 목록 중에는, Ubuntu 인스턴스가 가진 pid 네임스페이스도 있을 텐데요, 이것은 바로 그 Ubuntu 인스턴스 내에서라면 다음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 Ubuntu 인스턴스 내에서 실행

$ sleep 600000 &
[1] 3059

$ sudo ls -l /proc/3059/ns/pid
lrwxrwxrwx 1 testusr testusr 0 Oct 17 10:16 /proc/3059/ns/pid -> 'pid:[4026532257]'

// 물론, 동일한 환경 내의 1번 프로세스도 같은 네임스페이스를 갖습니다.
$ sudo ls -l /proc/1/ns/pid>
lrwxrwxrwx 1 root root 0 Oct 17 10:16 /proc/1/ns/pid -> 'pid:[4026532257]'

이렇게 찾은 4026532257에 해당하는 항목이 (그 부모 환경에서 실행했던) lsns의 출력에 있습니다.

// Mariner VM 내에서 실행했던 lsns 명령의 출력

        NS TYPE NPROCS   PID USER  COMMAND
4026532257 pid      71   226 root  /sbin/init

그리고 4026532257 네임스페이스에 속한 모든 프로세스를 pgrep 명령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 Mariner VM 내에서 실행

# pgrep -a --ns 226
226 /sbin/init
227 /init
248 plan9 --control-socket 6 --log-level 4 --server-fd 7 --pipe-fd 9 --log-truncate
...[생략]...
82875 -bash
83194 sleep 600000

출력 결과에 sleep이 보이는군요. ^^ 마지막 확인을 위해 그 sleep의 pid를 네임스페이스 계층별로 어떤 값을 갖는지 이렇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ariner VM 내에서 실행

# cat /proc/83194/status | grep NSpid
NSpid:  83194   3116    3059

보는 바와 같이 Mariner VM에서는 83194 프로세스 ID가, Ubuntu 인스턴스 내에서는 3059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참고로, /proc/.../status에서 보여주는 NS 관련 값들은,

 NStgid                      descendant namespace thread group ID hierarchy
 NSpid                       descendant namespace process ID hierarchy
 NSpgid                      descendant namespace process group ID hierarchy
 NSsid                       descendant namespace session ID hierarchy

해당 프로세스가 속한 네임스페이스의 계층별 ID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 결과가 "83194 3116 3059" 3개로 나온 것은 Mariner VM이 Ubuntu 인스턴스를 실행하기 전에 또 다른 pid 네임스페이스를 하나 더 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19정성태8/30/201040854DDK: 1. Visual Studio 2010 - Device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918정성태8/28/201026985개발 환경 구성: 87.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3)
917정성태8/26/201021986개발 환경 구성: 86. "Routing and Remote Access"의 "Routing" 기능 활성화 방법
916정성태8/25/201021162개발 환경 구성: 85. 가상 네트워크에 LAN 어댑터 보이거나 감추는 방법
915정성태8/24/201039293개발 환경 구성: 84.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2)
913정성태8/22/201028435오류 유형: 104. Hyper-V 관리자 - VM 생성 오류 (VHD 생성 오류)
912정성태8/20/201030363.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파일 다운로드1
911정성태8/19/201027208오류 유형: 103. System.Reflection.Targe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910정성태8/19/201038023개발 환경 구성: 83.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1)
909정성태8/18/201033366오류 유형: 102.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908정성태8/17/201024428개발 환경 구성: 82.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3)
907정성태8/14/201021974개발 환경 구성: 81.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2)
906정성태8/13/201030830개발 환경 구성: 80.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1)
905정성태8/8/201032962Team Foundation Server: 39. 배치 파일로 팀 빌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904정성태8/8/201035741오류 유형: 101.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2]
903정성태8/6/201032625Team Foundation Server: 38.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4) - Branch
902정성태8/5/201024969Team Foundation Server: 37. TFS 2010의 소스 서버 수작업 구성
901정성태8/4/201024254Team Foundation Server: 36.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3) - Label
900정성태8/3/201026943Team Foundation Server: 35.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2) - Shelveset
899정성태8/2/201028965Team Foundation Server: 34.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1) - Changeset
898정성태7/31/201028484.NET Framework: 182. WCF의 InactivityTimeout [1]파일 다운로드1
897정성태7/26/201129690.NET Framework: 181. AssemblyVersion, AssemblyFileVersion, AssemblyInformationalVersion [4]
896정성태7/25/201036511.NET Framework: 180. C# Singleton 인스턴스 생성 [2]
895정성태7/25/201020391VS.NET IDE: 68. Visual Studio 2010 - .NET 1.1 원격 디버깅
894정성태7/25/201026285오류 유형: 100. Could not find the Database Engine startup handle. [1]
893정성태7/25/201027498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