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65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650

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 https://www.sysnet.pe.kr/2/0/13659

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3771

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 https://www.sysnet.pe.kr/2/0/13772

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 https://www.sysnet.pe.kr/2/0/13773

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3774

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7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지난 글의 마지막 즈음에,

// Mariner VM 내에서 실행

# cat /proc/83194/status | grep NSpid
NSpid:  83194   3116    3059

리눅스 배포본 내에 뜬 프로세스가 3개의 네임스페이스를 거쳐 격리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테스트를 위해 Ubuntu 20.04 WSL 인스턴스에서 sleep을 하나 실행해 둡니다.

// Ubuntu WSL 인스턴스 내에서 실행

$ sleep 680001 &
[1] 4419

// 4419 프로세스의 pid namespace 확인
$ ls -l /proc/4419/ns/pid
lrwxrwxrwx 1 testusr testusr 0 Oct 17 14:46 /proc/4419/ns/pid -> 'pid:[4026532257]'

그다음 debug shell로 연결한 환경에서 저 프로세스를 확인하면,

c:\temp> wsl --debug-shell

// 현재 환경의 pid namespace 확인
# ls -l /proc/1/ns/pid
lrwxrwxrwx 1 root root 0 Oct 17 01:11 /proc/1/ns/pid -> 'pid:[4026531836]'

// Ubuntu WSL 인스턴스 내에서 실행한 프로세스 확인
# ps aux | grep [s]leep
wslg       48950  0.0  0.0   7240   588 ?        S    05:40   0:00 sleep 680001

# cat /proc/48950/status | grep NSpid
NSpid:  48950   4578    4419

이렇게 정리가 됩니다.

pid:[4026531836] Mariner VM에 속한 pid namespace
  |- 48950 (sleep의 pid)
  ㄴ pid:[????????] (unknown)
       |- 4578 (sleep의 pid)
       ㄴ pid:[4026532257] Ubuntu WSL 인스턴스에 속한 pid namespace
            ㄴ 4419 (sleep의 pid)

그렇다면 4578 pid로 나타난 네임스페이스는 뭘까요?




예전에, wsl --debug-shell과 함께 wsl --system을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c:\temp> wsl --help
...[생략]..
    --system
        Launches a shell for the system distribution.
...[생략]..

이걸로 들어가 보면,

c:\temp> wsl --system

$ ps aux | grep [s]leep
wslg        4578  0.0  0.0   7240   588 ?        S    14:40   0:00 sleep 680001

오호~~~ 우리가 찾던 바로 그 4578 프로세스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그 사이에 낀 네임스페이스 격리를 Mariner VM 수준에서 다음과 같이 추적할 수 있습니다.

// Mariner VM 내에서 실행

# lsns -t pid 4026532257
  PID  PPID USER COMMAND
  226   221 root /sbin/init
  227   226 root |-/init
  248   227 root | |-plan9 --control-socket 6 --log-level 4 --server-fd 7 --pipe
  939   227 root | |-/bin/login -f
 1132   939 root | | `--bash
 1363   227 root | |-/init
...[생략]...

보면, 226 PID의 부모로 221이 나오는데요, 그것의 pid namespace를 살펴보면,

// Mariner VM 내에서 실행

# ls -l /proc/221/ns/pid
lrwxrwxrwx 1 root root 0 Oct 17 01:11 /proc/221/ns/pid -> 'pid:[4026532245]'

다른 값이 나왔습니다. 따라서 pid namespace 계층을 정리하면 대충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pid:[4026531836] Mariner VM에 속한 pid namespace
  |- 48950 (sleep의 pid)
  ㄴ pid:[4026532245] WSLg 격리
       |- 4578 (sleep의 pid)
       ㄴ pid:[4026532257] Ubuntu WSL 인스턴스에 속한 pid namespace
            ㄴ 4419 (sleep의 pid)




참고로, WSL 리눅스 인스턴스들이 언제나 저렇게 WSLg 쪽 네임스페이스에 속해 있지는 않습니다. 추가로 새롭게 설치한 Ubuntu 18.04의 경우에는,

$ sleep 180000 &
[1] 32

$ ls -l /proc/32/ns/pid
lrwxrwxrwx 1 testusr testusr 0 Oct 17 15:24 /proc/32/ns/pid -> 'pid:[4026532784]'

wsl --system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c:\temp> wsl --system

$ ps aux | grep [s]leep
$

Mariner VM에서 확인해 보면,

// Mariner VM 내에서 실행

# ps aux | grep [s]leep
wslg       56564  0.0  0.0   7936   824 ?        S    06:24   0:00 sleep 180000

# cat /proc/56564/status | grep NSpid
NSpid:  56564   87      32

역시 3개의 격리 공간이 나오는데요, 이번에도 WSLg 레벨과 유사한 별도의 네임스페이스가 Ubuntu 18.04 인스턴스의 중간에 존재하는 것을 ppid를 추적해 살펴볼 수 있습니다.

// Mariner VM 내에서 실행

# lsns -t pid 4026532784
   PID   PPID USER COMMAND
 56297  56291 root /init
 ...[생략]...
56564  56336 wslg |     `-sleep 180000
 ...[생략]...

# ls -l /proc/56291/ns/pid
lrwxrwxrwx 1 root root 0 Oct 17 06:32 /proc/56291/ns/pid -> 'pid:[4026532771]'

이를 감안해 적용해 보면, 대충 이런 식의 WSL 2 배포본의 계층 구조를 유추할 수 있을 것입니다.

Mariner VM
   |- WSLg 격리
   |    |- 리눅스 배포본 A
   |    |- 리눅스 배포본 B
   |    .
   |    .
   |    ㄴ 리눅스 배포본 N
   |- Non-WSLg 격리
   |    ㄴ 리눅스 배포본 N
   .
   .
   ㄴ Non-WSLg 격리
        ㄴ 리눅스 배포본 N




또 한 가지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WSLg를 설정을 통해 아예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옵션 변경 후 "wsl --shutdown" 명령을 실행해야 적용됩니다.)

// 혹은, wslsettings.exe를 이용해 GUI 환경에서 편집할 수 있습니다.

C:\temp> type %USERPROFILE%\.wslconfig
[wsl2]
guiApplications=false

그리고 이 옵션을 false로 설정한 경우 "wsl --system" 명령어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사실, 거의 쓸 일이 없어 전혀 불편하지 않겠지만.)

C:\temp> wsl --system
GUI application support is disabled via C:\Users\testusr\.wslconfig or /etc/wsl.conf.
Error code: Wsl/Service/CreateInstance/WSL_E_GUI_APPLICATIONS_DISABLE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4정성태11/13/20241214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1076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960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1002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1083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1048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1095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1148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1100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996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1197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1379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1601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1558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1886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1530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1567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1662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1546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1517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1642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1548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1414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1473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1531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3789정성태10/27/20241439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