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650

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 https://www.sysnet.pe.kr/2/0/13659

Linux: 88. WSL 2 리눅스 배포본 내에서의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3771

Linux: 89.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 https://www.sysnet.pe.kr/2/0/13772

Linux: 90.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 https://www.sysnet.pe.kr/2/0/13773

Linux: 91.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3774

개발 환경 구성: 729. WSL 2 - Mariner VM 커널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79




Container 환경에서 출력하는 eBPF bpf_get_current_pid_tgid의 pid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

지난 글에 eBPF 코드를,

Golang + bpf2go를 사용한 eBPF 기본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769

WSL에서 수행해 보면, bpf_printk로 출력한 pid, thread_id가 정상적인 값이 나오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Ubuntu 20.04 WSL 터미널을 2개 열어 놓고 아래의 코드를 실행해 보면,

// 터미널 A에서 eBPF 예제 실행

$ sudo ./ebpf_sample
loaded: {{Kprobe(kprobe_sys_clone)#7} {}}
link.Kprobe: &{{0xc0000c4058 } 0xc000014220}
Press any key to exit...

// 터미널 B에서 trace_pipe를 출력

$ sudo cat /sys/kernel/debug/tracing/trace_pipe 
...[생략]...
            bash-12269   [004] ....1  3121.817004: bpf_trace_printk: pid == 12269, thread_id == 12269

            sudo-12661   [006] ....1  3121.821072: bpf_trace_printk: pid == 12661, thread_id == 12661

            bash-7377    [000] ....1  3124.738210: bpf_trace_printk: pid == 7377, thread_id == 7377

     cri-dockerd-2159    [006] ....1  3124.773875: bpf_trace_printk: pid == 2155, thread_id == 2159

     cri-dockerd-2159    [014] ....1  3124.777303: bpf_trace_printk: pid == 2155, thread_id == 2159
...[생략]...

출력이 된 7377, 12661, 12269 같은 프로세스가 ps aux 명령어로 확인해 보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관련해서 검색해 보면,

The pid of the process in wsl2 differs from the pid returned in ebpf program bpf_get_current_pid_tgid() #12115
; https://github.com/microsoft/WSL/issues/12115

이런 답변이 나옵니다.

This is the expected behavior. Internally, WSL uses different PID namespaces for each distros (so each distro has init with pid=1).

What you're most likely seeing in your eBPF program is the PID from the root namespace's perspectiv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one you're seeing in the distro namespace.


그렇습니다, 지난 글에서 설명한 것처럼,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배포본의 계층 관계
; https://www.sysnet.pe.kr/2/0/13772

pid 네임스페이스 구성으로 본 WSL 2 + docker-desktop
; https://www.sysnet.pe.kr/2/0/13773

WSL 배포본의 리눅스 인스턴스는 이미 루트 네임스페이스로부터 분리돼 있기 때문에 eBPF의 출력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처럼 나오는 것입니다. 이것이 WSL 환경인 경우 더욱 문제가 되는 이유는, 일반적인 리눅스 머신이라면 루트 네임스페이스를 소유한 Shell에 접속해 eBPF의 출력을 그나마 쉽게 해석할 수 있지만, WSL이라면 "--debug-shell"로 진입한 화면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그냥 불가능하다고 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89정성태8/6/202017077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12288정성태8/5/202016034오류 유형: 637. WCF - The protocol 'net.tcp' does not have an implementation of HostedTransportConfiguration type registered.
12287정성태8/5/202017654오류 유형: 636. C# - libdl.so를 DllImport로 연결 시 docker container 내에서 System.Dll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2286정성태8/5/202019042개발 환경 구성: 501. .NET Core 용 container 이미지 만들 때 unzip이 필요한 경우
12285정성태8/4/202018587오류 유형: 635. 윈도우 10 업데이트 - 0xc1900209 [2]
12284정성태8/4/202017976디버깅 기술: 169. Hyper-V의 VM에 대한 메모리 덤프를 뜨는 방법
12283정성태8/3/202018950디버깅 기술: 168. windbg - 필터 드라이버 확인하는 확장 명령어(!fltkd) [2]
12282정성태8/2/202016683디버깅 기술: 167.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2)
12281정성태8/2/202020294개발 환경 구성: 500.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12280정성태8/2/202018412오류 유형: 634. 오라클 (평생) 무료 클라우드 VM 생성 후 SSH 접속 시 키 오류 발생 [2]
12279정성태7/29/202020240개발 환경 구성: 499.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InterSystems의 Cache 데이터베이스파일 다운로드1
12278정성태7/23/202016801VS.NET IDE: 149. ("Binary was not built with debug information" 상태로)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 경우
12277정성태7/23/202018750개발 환경 구성: 498. DEVPATH 환경 변수의 사용 예 - .NET Reflector의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
12276정성태7/23/202018228.NET Framework: 930. 개발자를 위한 닷넷 어셈블리 바인딩 - DEVPATH 환경 변수
12275정성태7/22/202020343개발 환경 구성: 497.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InterSystems의 IRIS Data Platform 데이터베이스파일 다운로드1
12274정성태7/21/202019694개발 환경 구성: 496. Azure - Blob Storage Account의 Location 이전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73정성태7/18/202022445개발 환경 구성: 495. Azure - Location이 다른 웹/DB 서버의 경우 발생하는 성능 하락
12272정성태7/16/202015588.NET Framework: 929. (StrongName의 버전 구분이 필요 없는) .NET Core 어셈블리 바인딩 규칙 [2]파일 다운로드1
12271정성태7/16/202018552.NET Framework: 928.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2) - 런타임에 바인딩 리디렉션파일 다운로드1
12270정성태7/16/202019273오류 유형: 633. SSL_CTX_use_certificate_file - error:140AB18F:SSL routines:SSL_CTX_use_certificate:ee key too small
12269정성태7/16/202016527오류 유형: 632.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The process was terminated due to an unhandled exception.
12268정성태7/15/202019091오류 유형: 631. .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 오류 - HTTP Error 500.35 - ANCM Multiple In-Process Applications in same Process
12267정성태7/15/202021289.NET Framework: 927. C# - 윈도우 프로그램에서 Credential Manager를 이용한 보안 정보 저장파일 다운로드1
12266정성태7/14/202018152오류 유형: 630. 사용자 계정을 지정해 CreateService API로 서비스를 등록한 경우 "Error 1069: The service did not start due to a logon failure." 오류발생
12265정성태7/10/202017045오류 유형: 629. Visual Studio -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Unable to connect to web server 'IIS Express'." 오류 발생
12264정성태7/9/202028356오류 유형: 628. docker: Error response from daemon: Conflict. The container name "..." is already in use by container "...".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