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kevin at jennifersoft.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162. 닷넷 개발자가 컴파일해 본 리눅스
; https://www.sysnet.pe.kr/2/0/1325

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87

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789

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 https://www.sysnet.pe.kr/2/0/13790

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807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오호~~~ linux kernel repo를 웹 브라우저로 방문했는데,

torvalds/linux
; https://github.com/torvalds/linux

특정 디렉터리의 경우 이런 오류와 함께 더 이상 파일 열거가 되지 않습니다.

github_not_shown_entries_1.png

536 entries not shown

Sorry, we had to truncate this directory to 1,000 files. 536 entries were omitted from the list. Latest commit info may be omitted.


검색해 보니까,

Sorry, we had to truncate this directory to 1000 files.289 entrie were omitted from the list #21480
; https://github.com/orgs/community/discussions/21480

딱히 방법이 없고 그냥 로컬에 clone해서 보라고만 합니다.

c:\temp> git clone https://github.com/torvalds/linux.git

그런데 linux kernel repo의 경우 윈도우 환경에서 clone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 git clone https://github.com/torvalds/linux.git
Cloning into 'linux'...
remote: Enumerating objects: 10459759, done.
remote: Counting objects: 100% (3/3),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3/3), done.
remote: Total 10459759 (delta 0), reused 2 (delta 0), pack-reused 10459756 (from 1)Receiving objects: 100% (10459759/104

Resolving deltas: 100% (8517823/8517823), done.
error: invalid path 'drivers/gpu/drm/nouveau/nvkm/subdev/i2c/aux.c'
fatal: unable to checkout working tree
warning: Clone succeeded, but checkout failed.
You can inspect what was checked out with 'git status'
and retry with 'git restore --source=HEAD :/'

'aux'와 같은 장치 파일명의 충돌로 인한 것이라는데요,

Unable to do git clone Linux kernel repo using egit in window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3795071/unable-to-do-git-clone-linux-kernel-repo-using-egit-in-windows

그래서 위의 답변에서는, linux kernel repo를 fork한 자신만의 repo에서 aux.c 파일을 삭제 후 clone에 성공했다는 덧글이 나옵니다.

혹은, WSL 환경이라면 거기서 clone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 WSL 환경에서 실행

$ cd /usr/src
$ sudo mkdir kernel
$ cd kernel
$ sudo git clone https://github.com/torvalds/linux.git

이후 해당 WSL 환경에서 Visual Studio Code로 여는 것도 가능합니다.

$ code .

만약 clone까지는 원치 않는다면, github 사이트에서 직접 열어도 됩니다. 즉, 해당 repo 페이지에서 Shift + '.'을 눌러 (github에 로그인 필요) Visual Studio Code를 Web Browser 모드로 열면 모든 파일을 열거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WSL 환경에서 clone한 이후, 그 파일을 윈도우 환경으로 복사하는 것도 방법인데요,

$ pwd
/usr/src/kernel

$ cp -r . /mnt/c/temp/kernel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include/uapi/linux/netfilter/xt_connmark.h':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include/uapi/linux/netfilter/xt_dscp.h':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include/uapi/linux/netfilter/xt_mark.h':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include/uapi/linux/netfilter/xt_rateest.h':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include/uapi/linux/netfilter/xt_tcpmss.h':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include/uapi/linux/netfilter_ipv4/ipt_ecn.h':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include/uapi/linux/netfilter_ipv4/ipt_ttl.h':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include/uapi/linux/netfilter_ipv6/ip6t_hl.h':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net/netfilter/xt_dscp.c':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net/netfilter/xt_hl.c':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net/netfilter/xt_rateest.c':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net/netfilter/xt_tcpmss.c': File exists
cp: cannot create regular file '/mnt/c/temp/kernel/linux/tools/memory-model/litmus-tests/Z6.0+pooncelock+pooncelock+pombonce.litmus': File exists

보는 바와 같이,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대소문자 구분으로 인해 동일한 파일명으로 판정되는 파일들은 오류가 발생하긴 합니다. 그렇긴 해도, 어차피 윈도우에서 커널 빌드를 하지는 않을 것이므로, 게다가 저 파일들이 굳이 필요한 경우가 많지는 않을 것이므로 무시해도 좋을 수준입니다.

그래도 고집스럽게 ^^ 모든 파일을 보고 싶다면 윈도우 측의 디렉터리를 대소문자 구분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c:\temp> fsutil.exe file setCaseSensitiveInfo c:\temp\kernel

이후 다시 복사하면 아무 문제 없이 모든 파일이 복사는 되는데요, 아쉽게도 윈도우 버전의 Visual Studio Code가 대소문자 구분을 지원하지 않는 듯합니다. 그래서, 아래 화면과 같이 xt_connmark.h는 보이는데, xt_CONNMARK.h 파일은 열거하지 못합니다.

vscode_cs_file_1.png

관련해서 2020년부터 이슈가 있었는데,

File explorer does not correctly list case sensitive directories #90983
; https://github.com/microsoft/vscode/issues/90983

Better support for case sensitive macOS #94307
; https://github.com/microsoft/vscode/issues/94307

아직도 open 상태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11-06 11시16분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80정성태1/12/201440328.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1579정성태1/12/201422320오류 유형: 207. System.ArgumentException was unhandled - Message=[net_WebHeaderInvalidControlChars]
1578정성태1/11/201433919개발 환경 구성: 209. Fiddler에서 WebSocket 통신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
1577정성태1/11/201424140오류 유형: 206. WriteFile Win32API 사용 시 비정상 종료 현상 [3]
1576정성태1/11/201442022Windows: 81. 긴 이름의 파일/폴더 삭제하는 법 [5]
1575정성태1/11/201422497오류 유형: 205. Exception calling "Provision" with "0" argument(s): "The timer job did not complete running within the allotted time."
1574정성태1/11/201424503오류 유형: 204. An unhandled exception ('System.Security.Cryptography.CryptographicException') occurred in OWSTIMER.EXE
1573정성태1/11/201422329오류 유형: 203. 이벤트 로그 에러 - MsiInstaller에서 Chart Controls 설치 관련 오류 발생
1572정성태1/9/201425792.NET Framework: 406. CoreLab - OraDirect .NET 사용법
1571정성태1/9/201421989.NET Framework: 405. override 메서드가 정의된 타입의 인스턴스로 base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570정성태1/9/201425381Math: 11. C# 시뮬레이션 - 몬티홀 게임파일 다운로드1
1569정성태1/8/201422541Windows: 80. 윈도우 서버 백업의 복원하는 옵션 설명
1568정성태1/8/201423148오류 유형: 202. Hyper-V 서비스 시작 오류 - Not enough storage is available to complete this operation.
1567정성태1/8/201492497기타: 40. 오피스 2013 라이선스 리셋하는 방법 [5]
1566정성태1/7/201423433Windows: 79. 윈도우 8 - 스카이드라이브(skydrive)의 Online/Offline 동기화 방식 [1]
1565정성태1/3/201421921.NET Framework: 404. 리플렉션을 이용해 닷넷 LicenseManager를 우회할 수 있는 사례
1564정성태1/3/201422496.NET Framework: 403. override 메서드가 정의된 타입의 인스턴스로 base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563정성태1/3/201428232오류 유형: 201. ASP.NET 웹 사이트를 IIS 7 이상의 환경에서 호스팅할 때 500 오류 발생
1562정성태1/2/201432928.NET Framework: 402. 카카오톡 PC 버전 실행 시 개발자 컴퓨터에서 Themida 오류 나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561정성태1/1/201442450오류 유형: 200. 카카오톡 PC 버전 실행 시 개발자 컴퓨터에서 Themida 오류 나는 문제 [2]
1560정성태1/1/201421179오류 유형: 199. Hyper-V - Checkpoint 생성 오류
1559정성태12/30/201324472.NET Framework: 401. windbg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2]
1558정성태12/29/201333914.NET Framework: 400. 눈으로 확인하는 LayoutKind 옵션 효과 [2]파일 다운로드1
1557정성태12/27/201322992.NET Framework: 399. LayoutKind 옵션에 대해 [2]
1556정성태12/27/201343191개발 환경 구성: 208. IIS + Node.js 환경 구성 [8]
1555정성태12/27/201329949개발 환경 구성: 207. IIS의 80 포트를 공유하는 응용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