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162. 닷넷 개발자가 컴파일해 본 리눅스
; https://www.sysnet.pe.kr/2/0/1325

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87

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789

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 https://www.sysnet.pe.kr/2/0/13790

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80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이상하군요, ^^ 커널 업데이트를 하려고 "make menuconfig"을 하는 과정 중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사라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새로운 커널 빌드를 하기 전에, 현재 환경의 .config 파일을 복사해 재사용을 했는데요, 분명히 거기에는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y 설정이 있었습니다.

$ sudo cp -v /boot/config-$(uname -r) .config

$ cat .config | grep ^CONFIG_DEBUG_INFO
CONFIG_DEBUG_INFO=y
CONFIG_DEBUG_INFO_DWARF5=y
CONFIG_DEBUG_INFO_COMPRESSED_NONE=y
CONFIG_DEBUG_INFO_BTF=y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y

하지만 make menuconfig을 한번 거치고 나면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설정이 사라집니다.

$ sudo make menuconfig
$ cat .config | grep ^CONFIG_DEBUG_INFO
CONFIG_DEBUG_INFO=y
CONFIG_DEBUG_INFO_DWARF5=y
CONFIG_DEBUG_INFO_COMPRESSED_NONE=y

단순히 menuconfig에서 그냥 저장만 해도 CONFIG_DEBUG_INFO_BTF와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사라집니다. (심지어, menuconfig을 거치지 않고 .config 파일을 복사 후 곧바로 빌드해도 그 2개 옵션이 적용되지 않은 채로 빌드가 됩니다.)

일단 menuconfig 화면에서 '/' 키를 눌러 그 2개의 옵션을 검색해 보면, 모두 'n'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ymbol: DEBUG_INFO_BTF [=n]                                                 
Type  : bool                                                                
Defined at lib/Kconfig.debug:377                                            
  Prompt: Generate BTF type information                                     
  Depends on: DEBUG_INFO [=y] && !DEBUG_INFO_SPLIT [=n] && !DEBUG_INFO_REDU 
  Location:                                                                 
    -> Kernel hacking                                                       
(1)   -> Compile-time checks and compiler options                           
        -> Generate BTF type information (DEBUG_INFO_BTF [=n]

Symbol: DEBUG_INFO_BTF_MODULES [=n]                                                               
Type  : bool                                                                                      
Defined at lib/Kconfig.debug:410                                                                  
  Prompt: Generate BTF type information for kernel modules                                        
  Depends on: DEBUG_INFO [=y] && DEBUG_INFO_BTF [=n] && MODULES [=y] && PAHOLE_HAS_SPLIT_BTF [=n]
  Location:                                                                                       
    -> Kernel hacking                                                                             
(1)   -> Compile-time checks and compiler options                                                 
        -> Generate BTF type information for kernel modules (DEBUG_INFO_BTF_MODULES [=n]) 

여기서 문제는, 저 설명에 따라 "Kernel hacking" / "Compile-time checks and compiler options" 메뉴를 가도 그에 대응하는 메뉴가 없다는 점입니다.

kernel_btf_module_1.png

왜 이런 현상이 있나 싶었더니... 이거저거 해본 결과 ^^; pahole 패키지가 설치돼 있지 않은 경우 위에서처럼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사라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따라서 pahole 패키지를 설치하고 나서,

$ sudo apt install pahole -y

다시 make menuconfig을 가면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나타납니다.

kernel_btf_module_2.png

그러니까, 커널 빌드 시 특정 도구가 설치돼 있는지에 따라 옵션도 달라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위와 관련해서 문서를 찾아보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군요. ^^

BPF CO-RE (Compile Once – Run Everywhere)
; https://github.com/libbpf/libbpf?tab=readme-ov-file#bpf-co-re-compile-once--run-everywhere

If your kernel doesn't come with BTF built-in, you'll need to build custom kernel. You'll need:

pahole 1.16+ tool (part of dwarves package), which performs DWARF to BTF conversion;
kernel built with CONFIG_DEBUG_INFO_BTF=y option;
you can check if your kernel has BTF built-in by looking for /sys/kernel/btf/vmlinux file:

$ ls -la /sys/kernel/btf/vmlinux
-r--r--r--. 1 root root 3541561 Jun 2 18:16 /sys/kernel/btf/vmlinux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78정성태11/14/201822793.NET Framework: 803. UWP 앱에서 한 컴퓨터(localhost, 127.0.0.1) 내에서의 소켓 연결
11777정성태11/13/201824639오류 유형: 502. Your project does not reference "..." framework. Add a reference to "..." in the "TargetFrameworks" property of your project file and then re-run NuGet restore.
11776정성태11/13/201822955.NET Framework: 802. Windows에 로그인한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의 계정인지, 로컬 계정인지 알아내는 방법
11775정성태11/13/201823329Graphics: 31.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6) - Texturing파일 다운로드1
11774정성태11/8/201823248Graphics: 30.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4), (5) - Shader파일 다운로드1
11773정성태11/7/201823078Graphics: 29.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파일 다운로드1
11772정성태11/6/201823941Graphics: 28.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2) - VAO, VBO파일 다운로드1
11771정성태11/5/201822956사물인터넷: 56.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 두 번째 이야기 [1]
11770정성태11/5/201832927Graphics: 27.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 - OpenGL.Net 라이브러리 [3]파일 다운로드1
11769정성태11/5/201822090오류 유형: 501. 프로젝트 msbuild Publish 후 connectionStrings의 문자열이 $(ReplacableToken_...)로 바뀌는 문제
11768정성태11/2/201824764.NET Framework: 801. SOIL(Simple OpenGL Image Library) - Native DLL 및 .NET DLL 제공
11767정성태11/1/201823993사물인터넷: 55. New NodeMcu v3(ESP8266)의 IR LED (적외선 송신)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66정성태10/31/201827282사물인터넷: 5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
11765정성태10/26/201822745개발 환경 구성: 420. Visual Studio Code - Arduino Board Manager를 이용한 사용자 정의 보드 선택
11764정성태10/26/201828593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2]
11763정성태10/25/201823890사물인터넷: 53.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s 통신
11762정성태10/25/201824446사물인터넷: 52.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61정성태10/25/201824158Graphics: 26. 임의 축을 기반으로 3D 벡터 회전파일 다운로드1
11760정성태10/24/201819731개발 환경 구성: 418. Azure - Runbook 내에서 또 다른 Runbook 스크립트를 실행
11759정성태10/24/201822479개발 환경 구성: 417. Azure - Runbook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서드를 위한 부가 Module 추가
11758정성태10/23/201825330.NET Framework: 800. C# - Azure REST API 사용을 위한 인증 획득 [3]파일 다운로드1
11757정성태10/19/201821004개발 환경 구성: 416. Visual Studio 2017을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및 디버깅)
11756정성태10/19/201825111오류 유형: 500. Visual Studio Code의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시 인텔리센스가 안 된다면?
11755정성태10/19/201826128오류 유형: 499. Visual Studio Code extension for Arduino - #include errors detected. [1]
11754정성태10/19/201822870개발 환경 구성: 415.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 새 프로젝트
11753정성태10/19/201828735개발 환경 구성: 414.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