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5141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162. 닷넷 개발자가 컴파일해 본 리눅스
; https://www.sysnet.pe.kr/2/0/1325

개발 환경 구성: 730. github - Linux 커널 repo를 윈도우 환경에서 git clone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87

Linux: 97. menuconfig에 CONFIG_DEBUG_INFO_BTF, CONFIG_DEBUG_INFO_BTF_MODULES 옵션이 없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3789

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 https://www.sysnet.pe.kr/2/0/13790

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807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직접 빌드한 커널 이미지를,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 https://www.sysnet.pe.kr/2/0/13790

(대표적으로) Secure Boot 환경에서 사용하고 싶다면 서명을 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문서가 많이 있으니 쉽게 적용할 수 있는데요,

How to sign things for Secure Boot
; https://ubuntu.com/blog/how-to-sign-things-for-secure-boot

Chapter 3. Signing a kernel and modules for Secure Boot
; https://docs.redhat.com/en/documentation/red_hat_enterprise_linux/8/html/managing_monitoring_and_updating_the_kernel/signing-a-kernel-and-modules-for-secure-boot_managing-monitoring-and-updating-the-kernel

이번 글에서는 위의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




우선, openssl로 커널 서명 용도를 만족하는 키를 생성하기 위해 cnf 파일을 만들고,

$ cat kernel_key.cnf
HOME                    = .
RANDFILE                = $ENV::HOME/.rnd 
[ req ]
distinguished_name      = req_distinguished_name
x509_extensions         = v3
string_mask             = utf8only
prompt                  = no

[ req_distinguished_name ]
commonName              = Secure Boot Signing Key

[ v3 ]
subjectKeyIdentifier    = hash
authorityKeyIdentifier  = keyid:always,issuer
basicConstraints        = critical,CA:FALSE
extendedKeyUsage        = codeSigning,1.3.6.1.4.1.311.10.3.6
nsComment               = "OpenSSL Generated Certificate"

이 설정을 반영해 키를 생성합니다.

$ openssl req -config ./kernel_key.cnf -new -x509 -newkey rsa:2048 -nodes -days 36500 -outform DER -keyout "kernel_key.priv" -out "kernel_key.der"

$ sudo openssl x509 -in kernel_key.der -inform DER -outform PEM -out kernel_key.pem

$ ls kernel_*
kernel_key.cnf  kernel_key.der  kernel_key.pem  kernel_key.priv

그다음, 해당 커널이 로드될 시스템에 위에서 생성한 키의 공개키 파트를 등록합니다.

// 암호는 임의로 설정합니다. (나중에 쓸 것이니 기억해 두세요.)

$ sudo mokutil --import kernel_key.der
input password: 
input password again: 

이후 "reboot"을 하면 다음 화면과 같이 잠시 "Shim UEFI key management"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 화면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의 이름이 "MOKManager"라는군요. ^^)

sign_linux_kernel_1.png

그럼 아무 키나 누르면 화면이 넘어가는데요,

sign_linux_kernel_2.png

"Enroll MOK"을 선택하고 Enter를 누르면 다음 메뉴로 넘어가는데 (등록 키의 개수에 따라 다를 수 있는) "View key 0"와 "Continue"에서 "View key 0"를 선택해 Enter를 누릅니다. 그럼, 방금 전에 "mokutil"로 등록한 키에 해당하는 내용이 나올 것입니다. 해당 키가 맞는다면 Enter를 눌러 이전 메뉴로 돌아와 이번엔 "Continue"를 선택, 이어서 "Yes"를 선택합니다.

그럼 (역시 위에서 mokutil 실행 시 입력했던) 암호를 묻는 단계가 나오고, 통과하면 "Reboot"을 선택해 재부팅하면 됩니다.

이후, 정상적으로 등록됐는지는 이렇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udo mokutil --list-enrolled
[key 1]
SHA1 Fingerprint: 76:a0:92:06:58:00:bf:37:69:01:c3:72:cd:55:a9:0e:1f:de:d2:e0
Certificate:
    Data:
        Version: 3 (0x2)
        Serial Number:
            b9:41:24:a0:18:2c:92:67
        Signature Algorithm: sha256WithRSAEncryption
        Issuer: C=GB, ST=Isle of Man, L=Douglas, O=Canonical Ltd., CN=Canonical Ltd. Master Certificate Authority
        ...[생략]...

[key 2]
SHA1 Fingerprint: 06:1d:0c:9f:d6:b5:cb:35:3f:82:ea:c7:ae:15:c2:4a:c1:df:8c:46
Certificate:
    Data:
        Version: 3 (0x2)
        Serial Number:
            64:2c:10:08:10:ce:f6:53:77:e3:92:ed:d1:97:1c:45:53:d8:11:aa
        Signature Algorithm: sha256WithRSAEncryption
        Issuer: CN=Secure Boot Signing Key
        ...[생략]...




자, 이제 마지막으로 빌드된 커널 이미지 파일을 서명해 주면 됩니다.

$ ll /boot/vmlinuz-6.*
-rw-r--r-- 1 root root 13382144 Nov  8 05:39 /boot/vmlinuz-6.11.5
-rw------- 1 root root 14952840 Sep 27 12:26 /boot/vmlinuz-6.8.0-48-generic

제 경우에 6.8.0-48-generic이 최초 Ubuntu 24.04에 사용된 것이고, 새롭게 6.11.5 버전을 빌드한 것인데요, 이것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서명하시면 됩니다.

$ sudo sbsign --key kernel_key.priv --cert kernel_key.pem /boot/vmlinuz-6.11.5 --output /boot/vmlinuz-6.11.5.signed
Signing Unsigned original image

$ ls /boot/vmlinuz-6.*
/boot/vmlinuz-6.11.5  /boot/vmlinuz-6.11.5.old  /boot/vmlinuz-6.11.5.signed  /boot/vmlinuz-6.8.0-48-generic

그다음 서명되지 않은 initrd.img-* 파일이 있을 텐데요, (위의 경우 initrd.img-6.11.5) 이것을 위에서 만든 signed 이름 규칙을 따라 또 하나 만들어 줍니다.

$ sudo cp /boot/initrd.img-6.11.5{,.signed}

$ ls /boot/initrd.img-6.*
/boot/initrd.img-6.11.5  /boot/initrd.img-6.11.5.signed  /boot/initrd.img-6.8.0-48-generic

끝입니다. 이제 GRUB 설정을 업데이트하고,

$ sudo update-grub
Sourcing file `/etc/default/grub'
Generating grub configuration file ...
Found linux image: /boot/vmlinuz-6.11.5.signed
Found initrd image: /boot/initrd.img-6.11.5.signed
Found linux image: /boot/vmlinuz-6.11.5
Found initrd image: /boot/initrd.img-6.11.5
Found linux image: /boot/vmlinuz-6.11.5.old
Found initrd image: /boot/initrd.img-6.11.5
Found linux image: /boot/vmlinuz-6.8.0-48-generic
Found initrd image: /boot/initrd.img-6.8.0-48-generic
Warning: os-prober will not be executed to detect other bootable partitions.
Systems on them will not be added to the GRUB boot configuration.
Check GRUB_DISABLE_OS_PROBER documentation entry.
Adding boot menu entry for UEFI Firmware Settings ...
done

재부팅하면 새로운 버전의 커널이 부팅될 것입니다.

$ uname -r
6.11.5




(2025-03-27 업데이트) 이상하군요, 서명한 커널 부팅이 어느 순간부터 재시작한 경우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mdadm_boot_msg_1.png
...[생략]...
Begin: Running /scripts/local-premount ... Scanning for Btrfs filesystems
done.
Begin: Waiting for root file system ... Begin: Running /scripts/local-block ... mdadm: No devices listed in conf file were found.
done.
mdadm: No devices listed in conf file were found.
...[생략]...
mdadm: error opening /dev/md?*: No such file or directory
...[생략]...
done.
Gave up waiting for root file system device. Common problems:
 - Boot args (cat /proc/cmdline)
   - Check rootdelay= (did the system wait long enough?)
 - Missing modules (cat /proc/modules; ls /dev)
ALERT! /dev/mapper/ubuntu--vg-ubuntu--lv does not exist. Dropping to a shell!

BusyBox v1.36.1 (Ubuntu 1:1.36.1-6ubuntu3.1) built-in shell (ash)
Enter 'help' for a list of built-in commands.

(initramfs) 

그래서 아예 UEFI를 끄고 재시작을 시켜 부팅 화면에 들어가기 전 "Advanced options for Ubuntu"를 선택해,

*Ubuntu
 Advanced options for Ubuntu
 UEFI Firmware Settings

서명하지 않은 커널로 부팅하는 것으로 임시 조치를 했는데요, 문제의 원인을 찾지 못했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참고로, Grub 설정에 보면 2개의 메뉴에 차이점이라고 할께 딱히 없습니다.

$ sudo cat /boot/grub/grub.cfg

menuentry 'Ubuntu' --class ubuntu --class gnu-linux --class gnu --class os $menuentry_id_option 'gnulinux-simple-2e8e7e5f-d4f2-4ac2-9514-0db60b35233b' {
        recordfail
        load_video
        gfxmode $linux_gfx_mode
        insmod gzio
        if [ x$grub_platform = xxen ]; then insmod xzio; insmod lzopio; fi
        insmod part_gpt
        insmod ext2
        set root='hd0,gpt2'
        if [ x$feature_platform_search_hint = xy ]; then
          search --no-floppy --fs-uuid --set=root --hint-bios=hd0,gpt2 --hint-efi=hd0,gpt2 --hint-baremetal=ahci0,gpt2  8aea4897-7513-40da-9e45-9b984ed133b9
        else
          search --no-floppy --fs-uuid --set=root 8aea4897-7513-40da-9e45-9b984ed133b9
        fi
        linux   /vmlinuz-6.11.5.signed root=/dev/mapper/ubuntu--vg-ubuntu--lv ro
        initrd  /initrd.img-6.11.5.signed
}

menuentry 'Ubuntu, with Linux 6.11.5' --class ubuntu --class gnu-linux --class gnu --class os $menuentry_id_option 'gnulinux-6.11.5-advanced-2e8e7e5f-d4f2-4ac2-9514-0db60b35233b' {
        recordfail
        load_video
        gfxmode $linux_gfx_mode
        insmod gzio
        if [ x$grub_platform = xxen ]; then insmod xzio; insmod lzopio; fi
        insmod part_gpt
        insmod ext2
        set root='hd0,gpt2'
        if [ x$feature_platform_search_hint = xy ]; then
            search --no-floppy --fs-uuid --set=root --hint-bios=hd0,gpt2 --hint-efi=hd0,gpt2 --hint-baremetal=ahci0,gpt2  8aea4897-7513-40da-9e45-9b984ed133b9
        else
            search --no-floppy --fs-uuid --set=root 8aea4897-7513-40da-9e45-9b984ed133b9
        fi
        echo    'Loading Linux 6.11.5 ...'
        linux   /vmlinuz-6.11.5 root=/dev/mapper/ubuntu--vg-ubuntu--lv ro
        echo    'Loading initial ramdisk ...'
        initrd  /initrd.img-6.11.5
}

"ALERT! /dev/mapper/ubuntu--vg-ubuntu--lv does not exist. Dropping to a shell!"라고 나오던 오류 메시지도, 그냥 non-UEFI로 부팅 후 보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tmpfs                              795M  4.1M  791M   1% /run
efivarfs                           128M   35K  128M   1% /sys/firmware/efi/efivars
/dev/mapper/ubuntu--vg-ubuntu--lv   60G   42G   16G  73% /
tmpfs                              3.9G     0  3.9G   0% /dev/shm
tmpfs                              5.0M     0  5.0M   0% /run/lock
/dev/sda2                          2.0G  756M  1.1G  42% /boot
/dev/sda1                          1.1G  6.2M  1.1G   1% /boot/efi
tmpfs                              795M   12K  795M   1% /run/user/100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74정성태5/20/201623682.NET Framework: 588. C# - OxyPlot 라이브러리로 복소수 표현파일 다운로드1
10973정성태5/20/201628742.NET Framework: 587. C# Plotting 라이브러리 OxyPlot [3]파일 다운로드1
10972정성태5/19/201627818Math: 16. C# - 갈루아 필드 GF(2) 연산 [3]파일 다운로드1
10971정성태5/19/201620624오류 유형: 334. Visual Studio - 빌드 시 경고 warning MSB3884: Could not find rule set file "...". [2]
10970정성태5/19/201624950오류 유형: 333. OxyPlot 라이브러리의 컨트롤을 Toolbox에 등록 시 오류 [2]
10969정성태5/18/201624263.NET Framework: 586.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3) - "Open with" 목록에 등록파일 다운로드1
10968정성태5/18/201619252오류 유형: 332. Visual Studio - 단위 테스트 생성 시 "Design time expression evaluation" 오류 메시지
10967정성태5/12/201624365.NET Framework: 585.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2) - 웹 브라우저가 다운로드 후 자동 실행
10966정성태5/12/201632018.NET Framework: 584.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1) - 기본 [1]파일 다운로드1
10965정성태5/12/201624040디버깅 기술: 81. try/catch로 조용히 사라진 예외를 파악하고 싶다면?
10964정성태5/12/201622666오류 유형: 331. ASP.NET에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10963정성태5/11/201624931VS.NET IDE: 107. Visual Studio 2015의 "DTAR_..." 특수 폴더가 생성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2
10962정성태5/11/201624989오류 유형: 330.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시 DisconnectedContext 예외 발생
10961정성태5/11/201624799.NET Framework: 583. 문제 재현 - Managed Debugging Assistant 'DisconnectedContext' has detected a problem in '...'파일 다운로드1
10960정성태5/10/201622227오류 유형: 329. ATL 메서드 추가 마법사 창에서 8ce0000b 오류 발생
10959정성태5/9/201624850.NET Framework: 582. CLR Profiler - 별도 정의한 .NET 코드를 호출하도록 IL 코드 변경파일 다운로드1
10958정성태5/6/201651882개발 환경 구성: 284.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1) [3]
10957정성태5/3/201627164오류 유형: 328.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 두 번째 이야기 [1]
10956정성태5/3/201622708Windows: 117. BitLocker - This device can't use a Trusted Platform Module.
10955정성태5/3/201629386.NET Framework: 581. C# - 순열(Permutation)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2
10954정성태5/3/201630356.NET Framework: 580. C# - 조합(Combination) 예제 코드 [2]파일 다운로드1
10953정성태5/2/201619857.NET Framework: 579. Assembly.LoadFrom으로 로드된 어셈블리의 JIT 컴파일 코드 공유?파일 다운로드1
10952정성태5/2/201622000.NET Framework: 578. 도메인 중립적인 어셈블리가 비-도메인 중립적인 어셈블리를 참조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0951정성태5/2/201619921.NET Framework: 577. CLR Profiler로 살펴보는 SharedDomain의 모듈 로드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950정성태5/2/201626316.NET Framework: 576. 기본적인 CLR Profiler 소스 코드 설명 [2]파일 다운로드2
10949정성태4/28/201619954.NET Framework: 575. SharedDomain과 JIT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