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347.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963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C# - 프로세스(EXE) 수준의 Singleton 개체 생성

운영체제에 의해서 프로세스 격리가 제공되는 것을, 닷넷은 다시 프로세스 내부를 AppDomain이라는 단위로 격리시키고 서로 간의 직접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Native 언어(예: C/C++)에서는 static으로 singleton을 만들었던 것을 닷넷에서는 static으로 지정했다고 프로세스 전역적으로 한 개만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AppDomain 별로 존재하는 것이지.

이에 대한 해결책을 다음의 글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Cross AppDomain Singleton 
; http://ingebrigtsen.info/2007/05/18/cross-appdomain-singleton/

근데, 코드가 별로 마음에 안 듭니다. ^^ Interop DLL이 별도로 추가된다는 것은 관리적인 요소만 하나 더 늘리게 되는 요인이 됩니다. 그래서, 아래의 방법을 곁들이면 더 좋습니다. ^^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0

public class CrossAppDomainSingleton<T> : MarshalByRefObject where T : new()
{
	...[생략]...
    private static AppDomain GetAppDomain(string friendlyName)
    {
        IntPtr enumHandle = IntPtr.Zero;
        ICorRuntimeHost host = null;

        try
        {
            host = Utility.CoCreateInstance("{CB2F6723-AB3A-11D2-9C40-00C04FA30A3E}") as ICorRuntimeHost;

            if (host == null)
            {
                return null;
            }

            host.EnumDomains(out enumHandle);

            object domain = null;
            while (true)
            {
                host.NextDomain(enumHandle, out domain);
                if (domain == null)
                {
                    break;
                }
                AppDomain appDomain = (AppDomain)domain;
                if (appDomain.FriendlyName.Equals(friendlyName))
                {
                    return appDomain;
                }
            }
        }
        finally
        {
            host.CloseEnum(enumHandle);
            Marshal.ReleaseComObject(host);
            host = null;
        }
        return null;
    }

	...[생략]...
}

지면(?) 관계상 ICorRuntimeHost 등의 구현은 이 글의 첨부 파일로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나저나, 어쩔 수 없이 프로세스 수준의 Singleton을 사용해야 하지만 성능 손실은 과연 어느 정도일까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봤습니다.

public static class NonSingleton
{
    static bool _test = true;
    public static bool Test { get { return _test; } }
}

public class Singleton : CrossAppDomainSingleton<Singleton>
{
    bool _test = true;
    public bool Test { get { return _test; } }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eckTime(false, 1); // JIT 컴파일 시간을 배제하기 위해.
        CheckTime(true, 1000000);
    }

    private static void CheckTime(bool outputResult, int loopCount)
    {
        Stopwatch st = new Stopwatch();
        st.Start();

        int inc = 0;
        for (int i = 0; i < loopCount; i++)
        {
            if (NonSingleton.Test == true)
            {
                inc++;
            }
        }
        st.Stop();

        if (outputResult == true)
        {
            Console.WriteLine(st.ElapsedMilliseconds);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inc);

        st.Start();

        inc = 0;
        Singleton singleton = Singleton.Instance;
        for (int i = 0; i < loopCount; i++)
        {
            if (singleton.Test == true)
            {
                inc++;
            }
        }

        st.Stop();

        if (outputResult == true)
        {
            Console.WriteLine(st.ElapsedMilliseconds);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inc);
    }
}

Release 빌드 후 테스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왔습니다.

10,000 번 호출 NonSingleton: 0ms
10,000 번 호출 Singleton: 4ms

100,000 번 호출 NonSingleton: 0ms
100,000 번 호출 Singleton: 45ms

1,000,000 번 호출 NonSingleton: 1ms
1,000,000 번 호출 Singleton: 454ms

10,000,000 번 호출 NonSingleton: 19ms
10,000,000 번 호출 Singleton: 4539ms

거의 200배가 넘게 느린 결과를 볼 수 있는데요. 무척 느리다 싶지만 이런 유의 테스트가 현실로 왔을 때는 재미있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초에 10,000번 호출된다고 가정했을 때 도메인간 호출이 겨우 4ms 더 시간이 걸릴 뿐이므로 그다지 나쁜 결과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 주의할 점은, 이는 호출 간의 속도 저하일 뿐 마샬링이 복잡해지면 더욱 느려질 수 있다는 사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12-06 04시26분
[ryujh] 안녕하세요.

프로세스를 중복실행 방지하기 위해 뮤텍스를 사용하는데 이것이 Singleton 으로 봐도 될지요?

위의 예제는 해본적이 없어서 좀더 보고 질문드리겠습니다.
[guest]
2012-12-06 04시47분
개체가 하나면 싱글턴 개체라고 하는 것처럼, 프로세스가 하나라면 싱글턴 프로세스라는 말을 써도 되겠지요. 싱글턴 프로세스라면 위의 기법을 사용하기보다는 말씀하신 것처럼 뮤텍스가 올바른 선택일 수 있습니다.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39정성태2/23/201424398기타: 41. BBS 스토어 앱 개인정보 보호 정책 안내
1638정성태2/18/201447226Windows: 90. 실행 파일로부터 관리자 요구 권한을 제거하는 방법(부제: 크랙 버전을 보다 안전하게 실행하는 방법) [8]
1637정성태2/14/201428043Windows: 89.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636정성태2/14/201424184Windows: 88. Hyper-V가 설치된 컴퓨터의 윈도우 백업 설정
1635정성태2/14/201424949오류 유형: 221. SharePoint -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The farm is unavailable.
1634정성태2/14/201425284.NET Framework: 424. C# - CSharpCodeProvider로 컴파일한 메서드의 실행이 일반 메서드보다 더 빠르다? [1]파일 다운로드1
1633정성태2/13/201428229오류 유형: 220. 2014년 2월 13일 이후로 Visual Studio 2010 Macro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3]
1632정성태2/12/201446125.NET Framework: 423. C#에서 DirectShow를 이용한 미디어 재생 [2]파일 다운로드1
1631정성태2/11/201424778개발 환경 구성: 217. Realtek 사운드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를 GraphEditor로 녹음하는 방법
1630정성태2/5/201425441개발 환경 구성: 216. Hyper-V에 올려진 윈도우 XP VM에서 24bit 컬러 및 ClearType 활성화하는 방법
1629정성태2/5/201434995개발 환경 구성: 215. DOS batch - 하나의 .bat 파일에서 다중 .bat 파일을 (비동기로) 실행하는 방법 [1]
1628정성태2/4/201436568Windows: 87. 윈도우 8.1에서 .NET 3.5 설치가 안된다면? [2]
1627정성태2/4/201431606개발 환경 구성: 214. SQL Server Reporting Services를 이용해 간단한 리포트 제작하는 방법
1626정성태2/4/201423853Windows: 86. 윈도우 8.1의 Skydrive 내용이 동기화가 안된다면?
1625정성태2/2/201430614.NET Framework: 422. C++과 C#의 Event 공유파일 다운로드1
1624정성태2/2/201426323.NET Framework: 421. ASP.NET에서 Server.CreateObject와 COM Interop 클래스 생성의 차이점
1623정성태2/1/201431132개발 환경 구성: 213. x86/x64별로 나뉘어진 어셈블리를 한 프로젝트에서 참조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22정성태1/31/201431267VC++: 74. 어떤 것을 쓰면 좋을까요? wvnsprintf, _vsnwprintf_s, StringCbVPrintfW [4]
1621정성태1/31/201423093.NET Framework: 420. 베트남의 11학년(한국의 고2)이 45분만에 푼다는 알고리즘 문제파일 다운로드1
1620정성태1/30/201433483.NET Framework: 419. C# - BigDecimal파일 다운로드1
1619정성태1/30/201430001VS.NET IDE: 85. T4를 이용한 INotifyPropertyChanged 코드 자동 생성파일 다운로드1
1618정성태1/29/201445494Linux: 2. 우분투에서 Active Directory 계정을 이용한 파일 공유
1617정성태1/29/201427003.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1]
1616정성태1/29/201427685디버깅 기술: 63.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1615정성태1/29/201429229.NET Framework: 417. WPF WebBrowser 컨트롤에서 SHDocVw.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방법 및 순수 WPF 웹 브라우저 컨트롤 소개
1614정성태1/29/201426421.NET Framework: 416.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이 Thread-safe할까?파일 다운로드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