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Azure - 압축 파일을 이용한 web app 배포 시 디렉터리 구분이 안 되는 문제

지난 글에 설명한 Compress-Archive를 이용해 python 앱 디렉터리를 압축하고 그 결과물을 Azure Web App에 배포하게 되면,

c:\temp> powershell Compress-Archive c:\temp\deploy\* test.zip

c:\temp> az webapp deploy --resource-group pywebapp_group --name pywebapp --src-path test.zip

웬일인지 Python Web App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원인을 찾기 위해 Azure Portal을 통해 해당 App Service로 SSH 연결을 통해 들어가 봤더니 디렉터리 구성이 이런 식으로 황당하게 되어 있었습니다.

# ls
 antenv                                                  'static\bootstrap\css\bootstrap.rtl.css'
 CHANGELOG.md                                            'static\bootstrap\css\bootstrap.rtl.css.map'
 CONTRIBUTING.md                                         'static\bootstrap\css\bootstrap.rtl.min.css'
 LICENSE.md                                              'static\bootstrap\css\bootstrap.rtl.min.css.map'
 main.py                                                 'static\bootstrap\css\bootstrap-utilities.css'
 README.md                                               'static\bootstrap\css\bootstrap-utilities.css.map'
 requirements.txt                                        'static\bootstrap\css\bootstrap-utilities.min.css'
 startup.sh                                              'static\bootstrap\css\bootstrap-utilities.min.css.map'
'static\bootstrap\'                                      'static\bootstrap\css\bootstrap-utilities.rtl.css'
'static\bootstrap\css\bootstrap.css'                     'static\bootstrap\css\bootstrap-utilities.rtl.css.map'
'static\bootstrap\css\bootstrap.css.map'                 'static\bootstrap\css\bootstrap-utilities.rtl.min.css'
'static\bootstrap\css\bootstrap-grid.css'                'static\bootstrap\css\bootstrap-utilities.rtl.min.css.map'
'static\bootstrap\css\bootstrap-grid.css.map'            'static\bootstrap\js\bootstrap.bundle.js'
'static\bootstrap\css\bootstrap-grid.min.css'            'static\bootstrap\js\bootstrap.bundle.js.map'
'static\bootstrap\css\bootstrap-grid.min.css.map'        'static\bootstrap\js\bootstrap.bundle.min.js'
'static\bootstrap\css\bootstrap-grid.rtl.css'            'static\bootstrap\js\bootstrap.bundle.min.js.map'
'static\bootstrap\css\bootstrap-grid.rtl.css.map'        'static\bootstrap\js\bootstrap.esm.js'
'static\bootstrap\css\bootstrap-grid.rtl.min.css'        'static\bootstrap\js\bootstrap.esm.js.map'
'static\bootstrap\css\bootstrap-grid.rtl.min.css.map'    'static\bootstrap\js\bootstrap.esm.min.js'
'static\bootstrap\css\bootstrap.min.css'                 'static\bootstrap\js\bootstrap.esm.min.js.map'
'static\bootstrap\css\bootstrap.min.css.map'             'static\bootstrap\js\bootstrap.js'
'static\bootstrap\css\bootstrap-reboot.css'              'static\bootstrap\js\bootstrap.js.map'
'static\bootstrap\css\bootstrap-reboot.css.map'          'static\bootstrap\js\bootstrap.min.js'
'static\bootstrap\css\bootstrap-reboot.min.css'          'static\bootstrap\js\bootstrap.min.js.map'
'static\bootstrap\css\bootstrap-reboot.min.css.map'      'static\favicon.ico'
'static\bootstrap\css\bootstrap-reboot.rtl.css'          'static\images\azure-icon.svg'
'static\bootstrap\css\bootstrap-reboot.rtl.css.map'      'templates\hello.html'
'static\bootstrap\css\bootstrap-reboot.rtl.min.css'      'templates\index.html'
'static\bootstrap\css\bootstrap-reboot.rtl.min.css.map'

위의 예에서 "'static\bootstrap\'" 파일은 원래 "static" 디렉터리 하위에 "bootstrap" 디렉터리가 있어야 하는데, Compress-Archive가 압축 파일의 경로를 '\'로 구분한 것을 그대로 (디렉터리가 아닌) 파일명으로 인식해 압축을 해제한 것입니다.

이 문제를 없애려면, 압축 파일을 만들 때 경로 구분자를 '/'로 바꾸어야 합니다. 단지 Compress-Archive는 이를 위한 옵션이 없으므로, tar를 대신 쓸 수 있습니다.

// 파이썬 웹 앱의 디렉터리가 c:\temp\deploy에 있다고 가정

c:\temp> cd c:\temp\deploy

c:\temp\deploy> tar.exe -a -c -f test.zip *

하지만 저 명령어는 1) 가끔씩 0KB 크기의 test.zip 자체를 포함하거나 2) 필요 없는 오류 메시지("Can't add archive to itself")를 출력하는 이상한 동작을 하는데요, 그래도 뭐 다른 파일들은 모두 정상적으로 압축이 됐으므로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그래도 만약, 저런 동작이 눈에 거슬린다면 tar 대신 C#을 이용해 직접 만들어도 됩니다. 사실 ZipArchiveEntry의 이름에서 디렉터리 구분자를 ('\'가 아닌) '/'로 바꾸어야 하는 정도의 간단한 작업만 필요하므로 그리 어렵지 않게 코딩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IO.Compression;

namespace uCompressArchive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 (args.Length == 0)
            {
                Console.WriteLine($"Usage: {nameof(uCompressArchive)} directory");
                Console.WriteLine($"Usage: {nameof(uCompressArchive)} zipfilename directory");
                return;
            }

            string targetDir;
            string zipFileName;
            string zipFilePath;

            if (args.Length == 1)
            {
                targetDir = args[0];
                zipFilePath = Path.GetFileName(Environment.CurrentDirectory) + ".zip";
            }
            else
            {
                zipFilePath = args[0];
                targetDir = args[1];
            }

            if (targetDir == ".")
            {
                zipFileName = Path.GetFileName(zipFilePath) ?? "temp";
            }
            else
            {
                zipFileName = Path.GetFileName(zipFilePath);
            }

            using (FileStream fs = File.OpenWrite(zipFilePath))
            using (ZipArchive destArchive = new ZipArchive(fs, ZipArchiveMode.Create, true))
            {
                Directory.EnumerateFiles(targetDir, "*", SearchOption.AllDirectories)
                    .ToList()
                    .ForEach(file =>
                    {
                        string entryName = file.Substring(targetDir.Length + 1);
                        entryName = entryName.Replace('\\', '/');

                        if (targetDir == "." && entryName.Equals(zipFileName, StringComparison.OrdinalIgnoreCase))
                        {
                            // "ucompressarchive test.zip ." 실행 시 오류 방지
                            return;
                        }

                        ZipArchiveEntry entry = destArchive.CreateEntry(entryName);
                        using (Stream src = File.OpenRead(file))
                        using (Stream dest = entry.Open())
                        {
                            src.CopyTo(dest);
                        }
                    });
            }
        }
    }
}

따라서, 위의 프로그램으로 압축한 것을 올리면 아래와 같이 깔끔하게 디렉터리 구분이 반영된 배포 결과물이 나옵니다.

# ls -l
total 40
drwxr-xr-x 5 root root 4096 Nov 25 02:33 antenv
-rwxr-xr-x 1 root root  148 Nov 25 02:33 CHANGELOG.md
-rwxr-xr-x 1 root root 4017 Nov 25 02:33 CONTRIBUTING.md
-rwxr-xr-x 1 root root 1160 Nov 25 02:33 LICENSE.md
-rwxr-xr-x 1 root root 1368 Nov 25 02:33 main.py
-rwxr-xr-x 1 root root 1446 Nov 25 02:33 README.md
-rwxr-xr-x 1 root root   54 Nov 25 02:33 requirements.txt
-rwxr-xr-x 1 root root   43 Nov 25 02:33 startup.sh
drwxr-xr-x 4 root root 4096 Nov 25 02:33 static
drwxr-xr-x 2 root root 4096 Nov 25 02:33 templates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3/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964정성태12/21/2010147937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963정성태12/13/201032403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2]파일 다운로드1
962정성태12/10/201026995오류 유형: 110. GAC 등록 - Failure adding assembly to the cache: Invalid file or assembly name.
961정성태12/10/2010104855개발 환경 구성: 90.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PostgreSQL DB [5]
960정성태12/8/201049577.NET Framework: 195. .NET에서 코어(Core) 관련 CPU 정보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959정성태12/8/201035921.NET Framework: 194. Facebook 연동 - API Error Description: Invalid OAuth 2.0 Access Token
958정성태12/7/201033353개발 환경 구성: 89. 배치(batch) 파일에서 또 다른 배치 파일을 동기 방식으로 실행 및 반환값 얻기 [2]
957정성태12/6/201036088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3]
953정성태11/28/201041026.NET Framework: 193. 페이스북(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5]
952정성태11/25/201029748.NET Framework: 192. GC의 부하는 상대적인 것! [4]
950정성태11/18/201082264.NET Framework: 191. ClickOnce - 관리자 권한 상승하는 방법 [17]파일 다운로드2
954정성태11/29/201052917    답변글 .NET Framework: 191.1. [답변] 클릭원스 -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권한 상승이 필요합니다.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2E4) [2]
949정성태11/16/201031560오류 유형: 109. System.ServiceModel.Security.SecurityNegotiationException
948정성태11/16/201041102.NET Framework: 190. 트위터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7]파일 다운로드1
947정성태11/14/201044633.NET Framework: 189. Mono Cecil로 만들어 보는 .NET Decompiler [1]파일 다운로드1
946정성태11/11/201045364.NET Framework: 188. .NET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에서 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1]파일 다운로드1
945정성태11/11/201028746VC++: 44.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944정성태11/11/201035857VC++: 43.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2872: 'IServiceProvider' : ambiguous symbol could be ...
943정성태11/8/201034921디버깅 기술: 30. windbg ".loadby sos" 명령어 [2]
942정성태11/7/201047701.NET Framework: 18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7]파일 다운로드3
941정성태11/6/201029173.NET Framework: 186. windbg로 확인하는 .NET CLR LCG 메서드(DynamicMethod) [1]파일 다운로드1
940정성태11/6/201030361.NET Framework: 185. windbg로 확인하는 .NET CLR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939정성태10/24/201036735Windows: 51. RDP로 접속한 Windows Server 2008 R2 환경에서 Aero Glass 활성화 [1]
938정성태10/23/201029584디버깅 기술: 29. Windbg - Hyper-V 윈도우 7 원격 디버깅 구성 [1]
937정성태10/22/201035097DDK: 5. NT Legacy 드라이버: 프로세스(EXE) 생성/제거 모니터링 [3]파일 다운로드1
936정성태10/21/201034027DDK: 4. Device Driver 응용 프로그램의 빌드 스크립트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