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934. Azure - rm: cannot remove '...': Directory not empty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9754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zure - rm: cannot remove '...': Directory not empty

Azure Web App 환경의 경우, 예를 들어 Python 앱이라면,

파이썬 웹 앱을 Azure App Service에 배포하기
; https://www.sysnet.pe.kr/2/0/13830

리눅스 환경에서 호스팅하게 되는데요, 여기서 임의의 데이터를 지속하고 싶다면 반드시 /home 디렉터리 하위에 위치시켜야 합니다.

예를 들어, 파이썬 앱에서 사용하는 패키지를 다음과 같이 설치하면,

$ pip install test-app

Scale-out이 된 경우, 저 SSH로 들어간 환경에서만 test-app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는 데다, 만약 해당 Web App 인스턴스가 재시작하면 저 test-app을 설치한 디렉터리는 다시 초기화되므로 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 반드시 /home 디렉터리 하위에 설치해야 합니다.

$ pip install test-app -t /home/test_pacakge

/home 디렉터리 외에도, Azure는 이를 우회할 수 있는 자동화 스크립트 방법을 제공하는데요,

Customize build automa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azure/app-service/configure-language-python#customize-build-automation

정리하면 SCM_DO_BUILD_DURING_DEPLOYMENT 환경변수를 1로 설정하고, 원하는 스크립트를 PRE_BUILD_COMMAND / POST_BUILD_COMMAND 환경변수에 설정하거나, 보유하고 있는 requirements.txt에 해당 패키지를 추가하는 식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home 디렉터리 하위에 직접 사용자가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 pip install test-app -t /home/test_pacakge

이런 상태에서 Python Web App이 실행 중일 때, /home/test_pacakge 디렉터리 하위에 있는 "실행 파일"을 함께 구동했다고 가정하면, 그 실행 파일은 Web App이 Scale-out하면 그 인스턴스 수만큼 실행이 될 것입니다.

재미있는 건, 그 상태에서 해당 패키지가 업그레이드돼 다시 설치하게 되면,

# pip install test-app -U -t /home/test_pacakge
Collecting test-app
...[생략]...

ERROR: Exception: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tmp/8dd0d13008cfbf9/antenv/lib/python3.12/site-packages/pip/_internal/cli/base_command.py", line 105, in _run_wrapper
    status = _inner_run()
             ^^^^^^^^^^^^
  File "/tmp/8dd0d13008cfbf9/antenv/lib/python3.12/site-packages/pip/_internal/cli/base_command.py", line 96, in _inner_run
    return self.run(options, args)
           ^^^^^^^^^^^^^^^^^^^^^^^
  File "/tmp/8dd0d13008cfbf9/antenv/lib/python3.12/site-packages/pip/_internal/cli/req_command.py", line 67, in wrapper
    return func(self, options, args)
           ^^^^^^^^^^^^^^^^^^^^^^^^^
  File "/tmp/8dd0d13008cfbf9/antenv/lib/python3.12/site-packages/pip/_internal/commands/install.py", line 519, in run
    self._handle_target_dir(
  File "/tmp/8dd0d13008cfbf9/antenv/lib/python3.12/site-packages/pip/_internal/commands/install.py", line 574, in _handle_target_dir
    shutil.rmtree(target_item_dir)
  File "/opt/python/3.12.2/lib/python3.12/shutil.py", line 785, in rmtree
    _rmtree_safe_fd(fd, path, onexc)
  File "/opt/python/3.12.2/lib/python3.12/shutil.py", line 686, in _rmtree_safe_fd
    _rmtree_safe_fd(dirfd, fullname, onexc)
  File "/opt/python/3.12.2/lib/python3.12/shutil.py", line 686, in _rmtree_safe_fd
    _rmtree_safe_fd(dirfd, fullname, onexc)
  File "/opt/python/3.12.2/lib/python3.12/shutil.py", line 697, in _rmtree_safe_fd
    onexc(os.rmdir, fullname, err)
  File "/opt/python/3.12.2/lib/python3.12/shutil.py", line 695, in _rmtree_safe_fd
    os.rmdir(entry.name, dir_fd=topfd)
OSError: [Errno 39] Directory not empty: 'amd64'

이런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실제로 해당 경로를 직접 삭제하려고 하면 문제가 되는 디렉터리가 밝혀지는데요,

# rm -rf /home/test_pacakge
rm: cannot remove '/home/test_pacakge/bin/linux/amd64': Directory not empty

저 amd64에는 실행 파일이 있고, 그 실행 파일이 사용 중이라 삭제가 안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저 디렉터리가 삭제될 수 있어야 하는데요, 만약 Web App 재시작으로 가능하다면 그렇게 하면 됩니다.

혹은, SSH 환경에서 직접 저 실행 파일을 kill 하면 되는데요,

# ps aux | grep test-app
root          65  0.1  0.2 714036  4920 ?        SNl  01:34   0:13 /home/test_package/bin/linux/amd64/test-app
root         139  0.0  0.0   6240   620 pts/1    SN+  04:31   0:00 grep test-app

# kill 65

# ps aux | grep test-app
root         141  0.0  0.0   6240   652 pts/1    SN+  04:31   0:00 grep test-app

Scale-out 환경이라면 저렇게 했어도 여전히 디렉터리 삭제가 안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저렇게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모든 인스턴스에서 종료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이 있는데요, Azure Web App 환경의 SSH 접속으로 설치한 파일들의 소유자를 보면,

# pip install test-app -t /home/test_pacakge

# ls /home/test_pacakge/ -l
total 0
drwxrwxrwx 2 nobody nogroup 0 Dec  2 01:19 bin
drwxrwxrwx 2 nobody nogroup 0 Dec  2 01:19 test_app
drwxrwxrwx 2 nobody nogroup 0 Dec  2 01:19 test_app-1.0.0.0.dist-info

저렇게 nobody, nogroup이 있습니다. 검색해 보면,

Debian change owner of nobody:nogroup
;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563942/debian-change-owner-of-nobodynogroup

이게 컨테이너 내에서 볼 수 없는 상위 네임스페이스에서 설정된 파일 권한이어서 그렇다고 합니다.

# ls -n 
total 3064
-rwxrwxrwx 1 65534 65534 3137536 Nov 29 01:46 test-app

이런 경우 저렇게 uid/gid도 65534로 나온다고.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3/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74정성태11/27/201728360사물인터넷: 14.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1]
11373정성태11/27/201727595오류 유형: 433.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11372정성태11/25/201729573사물인터넷: 13.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4]
11371정성태11/25/201723296오류 유형: 432. Hyper-V 가상 스위치 생성 시 Failed to connect Ethernet switch port 0x80070002 오류 발생
11370정성태11/25/201723991오류 유형: 431. Hyper-V의 Virtual Switch 생성 시 "External network" 목록에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이 없는 경우
11369정성태11/25/201725319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1]
11368정성태11/25/201730105.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31158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11366정성태11/25/201723342오류 유형: 430. 이벤트 로그 - Cryptographic Services failed while processing the OnIdentity() call in the System Writer Object.
11365정성태11/25/201723732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11364정성태11/24/201727761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2]
11363정성태11/23/201727953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11362정성태11/22/201722488오류 유형: 428.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2]
11361정성태11/22/201725492오류 유형: 427. 이벤트 로그 - Filter Manager failed to attach to volume '\Device\HarddiskVolume??' 0xC03A001C
11360정성태11/22/201726743오류 유형: 426. 이벤트 로그 - The kernel power manager has initiated a shutdown transition.
11359정성태11/16/201725501오류 유형: 425.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11358정성태11/15/201731326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31660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33434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7320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33186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9695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6598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8690.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5169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5971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