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System32 폴더의 64비트 DLL을 32비트 Depends.exe에서 보는 방법

64비트 윈도우 운영체제가 32비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가능한 투명하게 호환될 수 있는 층을 제공하는 것은 좋지만, 가끔 그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당황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가령 "Dependency Walker" 프로그램 같은 경우가 그 좋은 예입니다.

JNI DLL 컴파일 시 x86과 x64의 Export된 함수의 이름이 왜 다를까요?
; https://www.sysnet.pe.kr/2/0/1199

수동으로 구성해 본 VC++ 프로젝트 설정: ReleaseMinDependency
; https://www.sysnet.pe.kr/2/0/800

DLL 'xxxxx.dll'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 https://www.sysnet.pe.kr/2/0/713

예전에 x86 프로세스에서 NtCurrentTeb Win32 API를 P/Invoke로 사용하는 글이 있었는데요.

windbg - .NET Framework 스레드 개체의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1

그 예제를 x64로 바꾸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EntryPointNotFoundException was unhandled by user code
  HResult=-2146233053
  Message=Unable to find an entry point named 'NtCurrentTeb' in DLL 'ntdll.dll'.
  Source=WebApplication1
  TypeName=""
  StackTrace:
       at WebApplication1.WebForm1.NtCurrentTeb()
       at WebApplication1.WebForm1.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in d:\...\Default.aspx.cs:line 20
       at System.Web.UI.Control.LoadRecursive()
       at System.Web.UI.Page.ProcessRequestMain(Boolean includeStagesBeforeAsyncPoint, Boolean includeStagesAfterAsyncPoint)
  InnerException: 

즉, ntdll.dll 안에 NtCurrentTeb가 없다는 것인데요. 실제로 그런지 확인하기 위해 depends.exe를 실행하고 탐색기에서 "C:\Windows\System32\ntdll.dll"을 끌어다 놓거나, "File" / "Open" 메뉴를 통해 그 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이 32비트 ntdll.dll 파일이 로드됩니다.

ntdll_depends_1.png

왜냐하면, 64비트 윈도우는 32비트 프로세스에게 "C:\Windows\System32" 폴더를 실제로는 "C:\Windows\SysWOW64" 경로로 투명하게 우회시키기 떄문입니다.

물론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 32비트 프로세스에서 64비트 System32 폴더를 명시적으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Sysnative" 폴더를 대신 사용하면 됩니다. 따라서 ntdll.dll의 경우에는 depends.exe에서 "File" / "Open" 메뉴를 통해 강제로 "C:\Windows\sysnative\ntdll.dll" 위치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x64 ntdll.dll 파일을 열 수 있고, 실제로 NtCurrentTeb API가 export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ntdll_depends_2.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77정성태2/28/201521609.NET Framework: 502. 연산자 재정의(operator overloading)와 메서드 재정의(method overriding)의 다른 점 - 가상 함수 호출 여부 [3]파일 다운로드1
2876정성태2/27/201524068VS.NET IDE: 98. IntegraStudio - Visual Studio에서 Java 프로그램 개발
2875정성태2/26/201522665디버깅 기술: 72.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2874정성태2/26/201519420디버깅 기술: 71. windbg + 닷넷 디버깅 (2) - null 체크 패턴
2873정성태2/25/201536963.NET Framework: 501. FtpWebRequest 타입을 이용해 FTP 파일 업로드 [4]파일 다운로드1
2872정성태2/25/201521070디버깅 기술: 70. windbg + 닷넷 디버깅 (1) - 배열 인덱스 사용 패턴
2871정성태2/24/201525062개발 환경 구성: 258.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하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 [1]
2870정성태2/24/201526139개발 환경 구성: 257.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방법
2869정성태2/23/201520137.NET Framework: 500. struct로 정의한 값 형식(Value Type)의 경우 Equals 재정의를 권장합니다.파일 다운로드1
2868정성태2/23/201524681VS.NET IDE: 97. Visual C++ 프로젝트 디버깅 시에 Step-Into(F11) 동작이 원치 않는 함수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방법 [2]
2867정성태2/23/201518325오류 유형: 273. File History - Failed to initiate user data backup (error 80070005)
2866정성태2/23/201520168오류 유형: 272. WAT080 : Failed to locate the Windows Azure SDK. Please make sure the Windows Azure SDK v2.1 is installed.
1868정성태2/20/201517494오류 유형: 271. The type '...' cannot be used as type parameter 'TContext' in the generic type or method 'System.ServiceModel.DomainServices.EntityFramework.LinqToEntitiesDomainService<T>
1866정성태2/20/201518383오류 유형: 270. "aspnet_regiis -i" 실행 시 0x00000006 오류 해결 방법
1865정성태2/20/201519766.NET Framework: 499. 특정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 이후부터 제공되는 타입을 사용해야 한다면?
1864정성태2/18/201524695.NET Framework: 498. C#으로 간단하게 만들어 본 ASCII Art 프로그램 [2]파일 다운로드1
1862정성태2/18/201528545.NET Framework: 497. .NET Garbage Collection에 대한 정리 [6]
1861정성태2/18/201523879.NET Framework: 496. 마우스 커서가 놓인 지점의 문자열 얻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860정성태2/18/201523697.NET Framework: 495. CorElementType의 요소 값 설명파일 다운로드1
1859정성태2/17/201524127Windows: 106.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절전(Power Saver) 전원 모드로 돌아가는 경우
1858정성태2/16/201534120Windows: 105. 자동으로 로그아웃/잠김 화면 상태로 전환된다면? [2]
1857정성태2/16/201522106.NET Framework: 494. 값(struct) 형식의 제네릭(Generic) 타입이 박싱되는 경우의 메타데이터 토큰 값파일 다운로드1
1856정성태2/15/201521096.NET Framework: 493. TypeRef 메타테이블에 등록되는 타입의 조건파일 다운로드1
1855정성태2/10/201520641개발 환경 구성: 256. WebDAV Redirector - Sysinternals 폴더 연결 시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오류 해결 방법
1854정성태2/10/201521649Windows: 104. 폴더는 삭제할 수 없지만, 그 하위 폴더/파일은 생성/삭제/변경하는 보안 설정
1853정성태2/6/201551916웹: 29. 여신금융협회 웹 사이트의 "Netscape 6.0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메시지 [5]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