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NET Framework 4.5.2 이하의 버전에서 HttpWebRequest로 https 호출 시 "System.Net.WebException" 예외 발생

아래의 코드를 .NET 4.5.2 이하의 버전에서 실행하면,

using System;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target = "https://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ntdll.pdb/09f4753312350aebf684ab6e5dff76a61/ntdll.pdb";

        System.Net.HttpWebRequest req = System.Net.WebRequest.Create(target) as System.Net.HttpWebRequest;
        req.Method = "HEAD";

        using (System.Net.HttpWebResponse resp = req.GetResponse() as System.Net.HttpWebResponse)
        {
            Console.WriteLine(resp.ResponseUri);
        }
    }
}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Net.WebException: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An unexpected error occurred on a send. ---> System.IO.IOException: Unable to read data from the transport connection: An existing connection was forcibly closed by the remote host. --->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n existing connection was forcibly closed by the remote host
   at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Read(Byte[] buffer, Int32 offset, Int32 size)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at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Read(Byte[] buffer, Int32 offset, Int32 size)
   at System.Net.FixedSizeReader.ReadPacket(Byte[] buffer, Int32 offset, Int32 count)
   at System.Net.Security.SslState.StartReceiveBlob(Byte[] buffer, AsyncProtocolRequest asyncRequest)
   at System.Net.Security.SslState.CheckCompletionBeforeNextReceive(ProtocolToken message, AsyncProtocolRequest asyncRequest)
   at System.Net.Security.SslState.ForceAuthentication(Boolean receiveFirst, Byte[] buffer, AsyncProtocolRequest asyncRequest, Boolean renegotiation)
   at System.Net.Security.SslState.ProcessAuthentication(LazyAsyncResult lazyResult)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at System.Net.TlsStream.ProcessAuthentication(LazyAsyncResult result)
   at System.Net.TlsStream.Write(Byte[] buffer, Int32 offset, Int32 size)
   at System.Net.PooledStream.Write(Byte[] buffer, Int32 offset, Int32 size)
   at System.Net.ConnectStream.WriteHeaders(Boolean async)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at System.Net.HttpWebRequest.GetResponse()
   at Program.Main(String[] args)

가장 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NET Framework 4.6+ 또는 .NET Core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입니다.




문제의 원인은 아래의 글에 설명한 내용과 완전히 같습니다.

C# - WebClient로 https 호출 시 "The request was aborted: Could not create SSL/TLS secure channel" 예외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3233

따라서 도입부에 이런 코드를 추가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using System;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ervicePointManager.SecurityProtocol |= (SecurityProtocolType)3072;
        // 또는, 
        // ServicePointManager.SecurityProtocol |= SecurityProtocolType.Tls12;

        string target = "https://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ntdll.pdb/09f4753312350aebf684ab6e5dff76a61/ntdll.pdb";

        System.Net.HttpWebRequest req = System.Net.WebRequest.Create(target) as System.Net.HttpWebRequest;
        req.Method = "HEAD";

        using (System.Net.HttpWebResponse resp = req.GetResponse() as System.Net.HttpWebResponse)
        {
            Console.WriteLine(resp.ResponseUri);
        }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5/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72정성태11/25/201729297사물인터넷: 13.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4]
11371정성태11/25/201723159오류 유형: 432. Hyper-V 가상 스위치 생성 시 Failed to connect Ethernet switch port 0x80070002 오류 발생
11370정성태11/25/201723770오류 유형: 431. Hyper-V의 Virtual Switch 생성 시 "External network" 목록에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이 없는 경우
11369정성태11/25/201725107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1]
11368정성태11/25/201730058.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30972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11366정성태11/25/201723178오류 유형: 430. 이벤트 로그 - Cryptographic Services failed while processing the OnIdentity() call in the System Writer Object.
11365정성태11/25/201723524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11364정성태11/24/201727528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2]
11363정성태11/23/201727803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11362정성태11/22/201722324오류 유형: 428.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2]
11361정성태11/22/201725409오류 유형: 427. 이벤트 로그 - Filter Manager failed to attach to volume '\Device\HarddiskVolume??' 0xC03A001C
11360정성태11/22/201726577오류 유형: 426. 이벤트 로그 - The kernel power manager has initiated a shutdown transition.
11359정성태11/16/201725412오류 유형: 425.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11358정성태11/15/201731055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31460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33209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7044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32910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9417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6339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8452.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4995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5856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21387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5616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