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739. Windows 10부터 바뀐 device driver 서명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275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Windows 10부터 바뀐 device driver 서명 방법

예전에만 해도,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2914

legacy device driver, 또는 non-pnp device driver라고 불리는 sys 파일에 대해서는 정식 소프트웨어 인증서로 서명했으면 SCM에 등록해 사용할 수 있었는데요, Windows 10부터는 이것도 안 되게 바뀌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만들어 두었던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드라이버 파일의 경우,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12104

당시에는 교차 인증서를 사용해 서명하면 문제가 없었는데,

Cross-Certificates for Kernel Mode Code Signing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install/cross-certificates-for-kernel-mode-code-signing

현재는 교차 인증서가 아예 없어졌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일반 소프트웨어 인증서로 서명해도 시작 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 다중 서명
c:\temp> Signtool sign /fd sha1 /v /ph /sm /n "...인증서 이름..." /t http://timestamp.digicert.com KernelMemoryIO.sys
c:\temp> Signtool sign /as /fd sha256 /ph /v /sm /n "...인증서 이름..." /tr http://timestamp.digicert.com /td sha256 KernelMemoryIO.sys

c:\temp> sc create "KernelMemoryIO" binPath= "C:\temp\KernelMemoryIO.sys" type= kernel start= demand
c:\temp> sc start "KernelMemoryIO"
[SC] StartService FAILED 577:

Windows cannot verify the digital signature for this file. A recent hardware or software change might have installed a file that is signed incorrectly or damaged, or that might be malicious software from an unknown source.




바뀐 정책에 따르면,

Driver Signing changes in Windows 10
; https://techcommunity.microsoft.com/blog/windowshardwarecertification/driver-signing-changes-in-windows-10/364859

이제 pnp/non-pnp 상관없이 모든 커널 드라이버는 마이크로소프트에 의해 서명을 받아야 합니다. 여기서 가장 큰 장애는, 그 서명을 받으려면 일반 코드 서명 인증서가 아니라, EV(Extended Validation) 코드 서명 인증서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DigiCert EV CodeSign
; https://www.certkorea.co.kr/codesign/sp.php?p=23&s_code=16

1년마다 90만 원을 지불해야 하니, 개인의 경우에는 꽤나 부담스러운 수준입니다. (일반 코드 서명 인증서도 1년에 60만 원 정도 합니다.)

위의 내용을 보고 갑자기 궁금해진 소프트웨어가 있었는데요, 바로 Process Hacker입니다. 그 제품은 Process Explorer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무료로 배포하고 있었는데,

Process Hacker (현재는 이름이 "System Informer"로 바뀜)
; https://processhacker.sourceforge.io/

구현을 위해 반드시 커널 모드의 드라이버를 필요로 한 제품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저걸 만든 개발자가 개인 비용을 들여 해마다 EV 코드 서명 인증서를 구입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정말 그럴까 싶어서 확인해 봤더니 "SystemInformer.sys" 파일의 서명이 (EV 인증서가 있어야만 통과되는) "Microsoft Windows Hardware Compatibility Publisher"로 서명된 것으로 나옵니다.

오호~~~ 진짜로 ^^; EV 인증서 구입을 감수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잘은 모르지만 아마도 sourceforge 측의 지원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리하면, 이제 커널 모드 드라이버를 개발하는 회사에 취업하지 않는 한 TESTSIGNING 모드를 벗어날 수는 없을 듯합니다.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재부팅 필요)

Bcdedit.exe -set TESTSIGNING ON

혹시나 나중에 EV 인증서가 생긴다면 "Windows Hardware Developer Center Dashboard portal"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서명 받게 되는지 설명해 보겠습니다. (지금은 없으므로 진행 자체를 할 수 없어 다룰 수가 없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6/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86정성태2/28/202216382.NET Framework: 1168. C# -IIncrementalGenerator를 적용한 Version 2 Source Generator 실습 [1]
12985정성태2/28/202215771.NET Framework: 1167. C# -Version 1 Source Generator 실습
12984정성태2/24/202214892.NET Framework: 116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12983정성태2/24/202214984.NET Framework: 1165. .NET Core/5+ 빌드 시 runtimeconfig.json에 설정을 반영하는 방법
12982정성태2/24/202214948.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12981정성태2/23/202213757VC++: 154. C/C++ 언어의 문자열 Literal에 인덱스 적용하는 구문 [1]
12980정성태2/23/202215217.NET Framework: 1163. C# - 윈도우 환경에서 usleep을 호출하는 방법 [2]
12979정성태2/22/202220734.NET Framework: 1162. C# - 인텔 CPU의 P-Core와 E-Core를 구분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2
12978정성태2/21/202215840.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12977정성태2/21/202220581.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12976정성태2/21/202214391VS.NET IDE: 174. Visual C++ - "External Dependencies" 노드 비활성화하는 방법
12975정성태2/20/202216432.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74정성태2/20/202214380.NET Framework: 1158. C# - SqlConnection의 최소 Pooling 수를 초과한 DB 연결은 언제 해제될까요?
12973정성태2/16/202217542개발 환경 구성: 639. ffmpeg.exe - Intel Quick Sync Video(qsv)를 이용한 인코딩 [3]
12972정성태2/16/202215985Windows: 200. Intel CPU의 내장 그래픽 GPU가 작업 관리자에 없다면? [4]
12971정성태2/15/202218984.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7]파일 다운로드2
12970정성태2/15/202215585.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1]파일 다운로드1
12969정성태2/14/202213777개발 환경 구성: 638.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68정성태2/14/202214385오류 유형: 79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
12967정성태2/14/202214623VC++: 153. Visual C++ - C99 표준의 Compund Literals 빌드 방법 [4]
12966정성태2/13/202214426.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파일 다운로드1
12965정성태2/13/202214462.NET Framework: 1154.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12964정성태2/11/202215075.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63정성태2/11/202215612.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962정성태2/9/202214969오류 유형: 79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 제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고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961정성태2/8/202215107.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