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Hyper-V - Windows 11 VM의 Enhanced Session 모드로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

희한하군요, Windows 11 VM을 vmconnect.exe를 이용해 접속한 화면에서 Enhanced Session 모드로 돌리면 화면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설치한 윈도우 11의 특징이라면, 처음 로그인 화면이 계정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아닌, PIN으로 로그인하라는 화면이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그러고 보니, 윈도우 11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Microsoft account 로그인 정보만 입력했으니 해당 컴퓨터에는 Windows User (로컬) 계정이 없어야 하는데 Computer Management에 가보면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서 입력했던 정보를 바탕으로 로컬 계정이 하나 생성돼 있습니다.

그리고, 그 로컬 계정의 비밀번호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비밀번호와 동일하게 설정됩니다. 재미있는 것은, 로컬 계정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연동된다는 특징으로 인해 윈도우의 "Computer Management" MMC 화면에서 해당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려고 시도하면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Local Users and Groups



The following error occurred while attemting to set the password for user [User Name]:



The system is not authoritative for the specified account and therefore cannot complete the operation. Please retry the operation using the provider associated with this account. If this is an online provider please use the provider's online site.


또는, 제어판의 "User Accounts" / "Manage Accounts" 화면에 들어가면 해당 계정이 "Password protected"로 설정돼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in11_enhanced_session_connect_0.png

따라서, 로컬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싶다면 Microsoft Account의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로컬 계정으로 반영되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립니다.)




이런 식으로 윈도우 운영체제가 Microsoft 계정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경우, Hyper-V를 통한 Enhanced Session 모드의 접속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Windows 11 Pro Virtual Hyper-V VM Will not Work as an Enhanced Session
; https://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client/forum/all/windows-11-pro-virtual-hyper-v-vm-will-not-work-as/2c59c771-3944-4e42-a3e1-96d1ea7a4653

현재는 위와 같은 해결책에서 약간 달라졌지만 그래도 이를 힌트 삼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Settings" / "Accounts"로 들어가 "Sign-in options"에서 "Additional settings" 영역에 있는 "For improved security, only allow Windows Hello sign-in for Microsoft accounts on this device (Recommended)" 옵션을 해제하면 됩니다.

win11_enhanced_session_connect_1.png

이후 "View" / "Enhanced session" 메뉴를 선택하면 예전과 같은 로그인 화면이 나타납니다. 그럼, 그곳에서 Microsoft 계정에 해당하는 암호를 입력해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453정성태11/23/202311229오류 유형: 879. docker desktop 설치 시 "Invalid JSON string. (Exception from HRESULT: 0x83750007)"
13452정성태11/22/202312387닷넷: 2166. C# - Azure OpenAI API를 이용해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대상으로 검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51정성태11/21/202312440닷넷: 2165. C# - Azure OpenAI API를 이용해 ChatGPT처럼 동작하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 제작파일 다운로드1
13450정성태11/21/202312499닷넷: 2164. C# - Octokit을 이용한 GitHub Issue 검색파일 다운로드1
13449정성태11/21/202312935개발 환경 구성: 688. Azure OpenAI 서비스 신청 방법
13448정성태11/20/202311824닷넷: 2163. .NET 8 - Dynamic PGO를 결합한 성능 향상파일 다운로드1
13447정성태11/16/202312884닷넷: 2162. ASP.NET Core 웹 사이트의 SSL 설정을 코드로 하는 방법
13446정성태11/16/202313698닷넷: 2161. .NET Conf 2023 - Day 1 Blazor 개요 정리
13445정성태11/15/202314870Linux: 62. 리눅스/WSL에서 CA 인증서를 저장하는 방법
13444정성태11/15/202313895닷넷: 2160. C# 12 - Experimental 특성 지원
13443정성태11/14/202312538개발 환경 구성: 687. OpenSSL로 생성한 사용자 인증서를 ASP.NET Core 웹 사이트에 적용하는 방법
13442정성태11/13/202311908개발 환경 구성: 686. 비주얼 스튜디오로 실행한 ASP.NET Core 사이트를 WSL 2 인스턴스에서 https로 접속하는 방법
13441정성태11/12/202312954닷넷: 2159. C# - ASP.NET Core 프로젝트에서 서버 Socket을 직접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40정성태11/11/202311291Windows: 253. 소켓 Listen 시 방화벽의 Public/Private 제어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13439정성태11/10/202313383닷넷: 2158. C# - 소켓 포트를 미리 시스템에 등록/예약해 사용하는 방법(Port Exclusion Ranges)파일 다운로드1
13438정성태11/9/202314133닷넷: 2157. C# - WinRT 기능을 이용해 윈도우에서 실행 중인 Media App 제어
13437정성태11/8/202314092닷넷: 2156. .NET 7 이상의 콘솔 프로그램을 (dockerfile 없이) 로컬 docker에 배포하는 방법
13436정성태11/7/202314213닷넷: 2155. C# - .NET 8 런타임부터 (Reflection 없이) 특성을 이용해 public이 아닌 멤버 호출 가능
13435정성태11/6/202312271닷넷: 2154. C# - 네이티브 자원을 포함한 관리 개체(예: 스레드)의 GC 정리
13434정성태11/1/202313443스크립트: 62. 파이썬 - class의 정적 함수를 동적으로 교체
13433정성태11/1/202311521스크립트: 61. 파이썬 - 함수 오버로딩 미지원
13432정성태10/31/202312973오류 유형: 878. 탐색기의 WSL 디렉터리 접근 시 "Attempt to access invalid address." 오류 발생
13431정성태10/31/202313124스크립트: 60. 파이썬 - 비동기 FastAPI 앱을 gunicorn으로 호스팅
13430정성태10/30/202313848닷넷: 2153. C# - 사용자가 빌드한 ICU dll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
13429정성태10/27/202313740닷넷: 2152. Win32 Interop - C/C++ DLL로부터 이중 포인터 버퍼를 C#으로 받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428정성태10/25/202314241닷넷: 2151. C# 12 - ref readonly 매개변수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