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bg -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이 가능한 NIC 카드 지원 확대

예를 들어, 설치된 네트워크 어댑터가 WinDbg의 커널 네트워크 디버깅을 지원하는 종류라면 kdnet.exe의 출력 결과가 대충 이렇게 나옵니다.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 kdnet

Network debugging is supported on the following NICs:
busparams=7.0.0, Realtek PCIe 2.5GbE Family Controller #2, Cable status unknown.

Network debugging is supported on the following USB controllers:
busparams=2.0.0, AMD USB 3.10 eXtensible Host Controller - 1.10 (Microsoft)
busparams=8.0.4, AMD USB 3.10 eXtensible Host Controller - 1.10 (Microsoft)
busparams=8.0.3, AMD USB 3.10 eXtensible Host Controller - 1.10 (Microsoft)

This Microsoft hypervisor supports using KDNET in guest VMs.

보는 바와 같이 "Realtek PCIe 2.5GbE Family Controller"로 인식된 NIC은 커널 디버깅을 지원합니다. 그런데, 저 지원 목록에 나오지 않았던 PC에서 오늘 우연히 kdnet을 실행했더니 메시지가 이렇게 바뀌어서 나왔습니다.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 kdnet

Network debugging is not supported on any of the NICs in this machine.

Newer versions of Windows support network debugging on the following NICs:
busparams=6.0.0, Intel(R) Ethernet Controller (3) I225-V, Min Build: 25250 (Version String Unknown).

Network debugging is supported on the following USB controllers:
busparams=0.20.0, Intel(R) USB 3.20 eXtensible Host Controller - 1.20 (Microsoft)

This Microsoft hypervisor supports using KDNET in guest VMs.

가만 보니까, 이게 NIC의 어떤 하드웨어 구성 요소가 요구되었던 것이 아니라 그냥 윈도우 측에서 능동적으로 지원을 하면 되는 식인 듯합니다.

Supported Ethernet NICs for Network Kernel Debugging in Windows 8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supported-ethernet-nics-for-network-kernel-debugging-in-windows-8

Supported Ethernet NICs for Network Kernel Debugging in Windows 8.1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supported-ethernet-nics-for-network-kernel-debugging-in-windows-8-1

Supported Ethernet NICs for Network Kernel Debugging in Windows 10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supported-ethernet-nics-for-network-kernel-debugging-in-windows-10

Supported Ethernet NICs for Network Kernel Debugging in Windows 11 23H2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supported-ethernet-nics-for-network-kernel-debugging-in-windows-11

그래서 새롭게 실행한 kdnet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Intel(R) Ethernet Controller (3) I225-V"의 경우 "PCI\VEN_8086&DEV_15F3&REV_03"으로, 즉 Vendor ID == 8086, Device ID == 15F3 카드가 22H2 시점부터 지원된다고 합니다.

New in Windows 11 22H2 build 22621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supported-ethernet-nics-for-network-kernel-debugging-in-windows-11-22h2

이 정도라면, 아마도 현재는 지원하지 않는 NIC을 찾아보기기 힘들 정도일 것 같은데요, 따라서 예전에 실습이 안 돼서 포기했던 분이 있다면 다시 한번 시도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0/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7정성태11/11/200628980    답변글 .NET Framework: 75.6. CardWriter.csproj와 함께 알아보는 인증서 식별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8정성태11/12/200627523    답변글 .NET Framework: 75.7. 카드에 암호 거는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9정성태11/12/200629601    답변글 .NET Framework: 75.8. 인증서/스마트 카드에 기반한 Managed Card - STS 구현(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5]
369정성태10/22/200625049오류 유형: 15. 자동 업데이트 실패
367정성태10/22/200641151Windows: 3. IIS 7.0 다중 바인딩 설정하는 방법 [1]
365정성태10/21/200624460Windows: 2. 서버(build 5600)에 IIS 7.0 서비스와 .NET 3.0 설치 방법
359정성태10/17/200620497오류 유형: 14. VS.NET 빌드 오류 -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
358정성태10/17/200626048오류 유형: 13. WSE 3.0 서비스 관련 WSE101 오류 / Destination Unreachable
357정성태12/1/200628108.NET Framework: 74. WCF 이야기 [4]
378정성태10/28/200632891    답변글 .NET Framework: 74.1. WCF와 WSE 3.0의 활용 [4]파일 다운로드1
379정성태11/3/200632107    답변글 .NET Framework: 74.2. WCF로 구현하는 .NET Remoting [4]파일 다운로드1
380정성태10/28/200630907    답변글 .NET Framework: 74.3. 웹 서비스와 닷넷 리모팅으로써의 WCF 구현파일 다운로드1
381정성태10/28/200633419    답변글 .NET Framework: 74.4. WCF 서비스 참조 추가 메뉴 [2]
382정성태10/28/200639235    답변글 .NET Framework: 74.5. WCF 서비스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383정성태10/28/200634089    답변글 .NET Framework: 74.6. IIS 6.0: 다중 Endpoint 제공파일 다운로드1
384정성태10/28/200631277    답변글 .NET Framework: 74.7. IIS 7.0: 다중 Endpoint 제공
389정성태11/11/200633691    답변글 .NET Framework: 74.8. WCF에 SSL 적용 (1) - Httpcfg.exe 도구를 이용한 SSL 설정
390정성태11/6/200631084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356정성태10/7/200626406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
386light10/30/200621718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
355정성태10/9/200629484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파일 다운로드2
353정성태12/31/200638000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
354정성태10/23/20063983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372정성태12/31/20064227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
373정성태10/24/20063377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74정성태10/25/20063096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