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8511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80. C# - 배치 파일 실행하고 출력 결과를 얻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10

.NET Framework: 602. Process.Start의 cmd.exe에서 stdin만 redirect 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29

.NET Framework: 817. Process.Start로 실행한 콘솔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를 얻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70

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73

닷넷: 2292. C# - 자식 프로세스의 출력이 4,096보다 많은 경우 Process.WaitForExit 호출 시 hang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3707

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
; https://www.sysnet.pe.kr/2/0/13876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

보통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인자가 공백을 포함할 때 그것이 한 개의 독립적인 인자임을 표현하는 용도로 겹따옴표를 사용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을 만들고,

// ConsoleApp2.dll / ConsoleApp2.exe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each (string arg in args)
        {
            Console.WriteLine(arg);
        }
    }
}

이것을 Linux와 윈도우에서 공백을 포함한 인자를 전달하면 이런 식으로 출력 결과가 나옵니다.

// 윈도우

c:\temp> ConsoleApp2.exe "Hello World" "My Test"
Hello World
My Test

// 리눅스

$ dotnet ConsoleApp2.dll "Hello World" "My Test"
Hello World
My Test

재미있게도, 리눅스의 경우에는 겹따옴표와 함께 홑따옴표도 사용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이런 경우에는 플랫폼 간 출력이 달라집니다.

// 윈도우 (홑따옴표를 무시하고 무조건 공백으로 인자 구분)

c:\temp> ConsoleApp2.exe 'Hello World' 'My Test'
'Hello
World'
'My
Test'

// 리눅스

$ dotnet ConsoleApp2.dll 'Hello World' 'My Test'
Hello World
My Test




그럼, 위의 프로그램을 다른 C# 프로그램에서 ProcessStartInfo를 이용해 실행하는 경우라면 어떻게 될까요?

우선, 인자 지정은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 속성으로 "문자열"로 설정할 수 있는데요, 문제는 공백을 포함한 인자의 경우 이를 표현하기 위해 대상 플랫폼에 상관없이 무조건 "겹따옴표"로 처리해야 한다는 것에 유의를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리눅스에서 실행한다고 해서 홑따옴표를 사용해 인자를 전달하면,

ProcessStartInfo psi = new ProcessStartInfo();

psi.FileName = "dotnet";
psi.Arguments = "ConsoleApp2.dll 'Hello World'";

psi.UseShellExecute = false;
psi.RedirectStandardOutput = true;
psi.RedirectStandardError = true;

Process? process = Process.Start(psi);
if (process == null)
{
    return;
}

process.WaitForExit();

string output = process.StandardOutput.ReadToEnd();
Console.WriteLine(output);

기대하던 것과는 달리 리눅스에서 이런 출력이 나옵니다.

// 리눅스에서 출력

'Hello
World'

따라서, 플랫폼이 리눅스라고 해도 언제나 "겹따옴표"를 사용해야만 대상 프로그램에 정상적으로 인자 전달이 가능합니다.

psi.Arguments = "ConsoleApp2.dll \"Hello World\"";




ProcessStartInfo에는 인자를 처리하는 또 하나의 대안으로 ArgumentList가 있는데, 공백을 포함한 인자를 위해 이것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단지, Arguments와는 배타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만 유의하시면 됩니다.

// 함께 사용할 수 없으므로 주석 처리
// psi.Arguments = "ConsoleApp2.dll \"Hello World\"";

psi.ArgumentList.Add("ConsoleApp2.dll");
psi.ArgumentList.Add("Hello World");

위의 코드에서 볼 수 있듯이, ArgumentList로 전달할 때는 인자에 공백이 있어도 별도의 인용 부호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중 환경을 고려한다면 Arguments보다는 ArgumentList를 사용하는 것이 더 깔끔한 코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2025-03-07: 보안 측면에서도 ArgumentList가 더 좋은 선택입니다.)

if (OperatingSystem.IsWindows())
{
    psi.FileName = "ConsoleApp2.exe";
}
else
{
    psi.FileName = "dotnet";
    psi.ArgumentList.Add("ConsoleApp2.dll");
}

psi.ArgumentList.Add("Hello Worl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97정성태11/4/201421155오류 유형: 255. 이벤트 로그 - The Adobe Flash Player Update Service service entered the stopped state.
1796정성태10/30/201428517개발 환경 구성: 249. Visual Studio 2013에서 Mono 컴파일하는 방법
1795정성태10/29/201430257개발 환경 구성: 248. Lync 2013 서버 설치 방법
1794정성태10/29/201425927개발 환경 구성: 247. "Microsoft Office 365 Enterprise E3" 서비스에 대한 간략 소개
1793정성태10/27/201426928.NET Framework: 474. C# - chromiumembedded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792정성태10/27/201427082.NET Framework: 473. WebClient 객체에 쿠키(Cookie)를 사용하는 방법
1791정성태10/22/201426541VC++: 83. G++ - 템플릿 클래스의 iterator 코드 사용에서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 [5]
1790정성태10/22/201421249오류 유형: 254. NETLOGON Service is paused on [... AD Server...]
1789정성태10/22/201425137오류 유형: 253. 이벤트 로그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
1788정성태10/22/201426438VC++: 82. COM 프로그래밍에서 HRESULT 타입의 S_FALSE는 실패일까요? 성공일까요? [2]
1787정성태10/22/201435216오류 유형: 252. COM 개체 등록시 0x8002801C 오류가 발생한다면?
1786정성태10/22/201436631디버깅 기술: 65.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시 "Debug Diagnostic Tool"를 이용해 덤프를 남기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85정성태10/22/201426013오류 유형: 251. 이벤트 로그 - Load control template file /_controltemplates/TaxonomyPicker.ascx failed [1]
1784정성태10/22/201432840.NET Framework: 472. C/C++과 C# 사이의 메모리 할당/해제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83정성태10/21/201426817VC++: 81. 프로그래밍에서 borrowing의 개념
1782정성태10/21/201423848오류 유형: 250. 이벤트 로그 - Application Server job failed for service instance Microsoft.Office.Server.Search.Administration.SearchServiceInstance
1781정성태10/21/201424901디버깅 기술: 64. new/delete의 짝이 맞는 경우에도 메모리 누수가 발생한다면?
1780정성태10/15/201428490오류 유형: 249. The application-specific permission settings do not grant Local Activation permission for the COM Server application with CLSID
1779정성태10/15/201423621오류 유형: 248. Active Directory에서 OU가 지워지지 않는 경우
1778정성태10/10/201422068오류 유형: 247. The Netlogon service could not create server share C:\Windows\SYSVOL\sysvol\[도메인명]\SCRIPTS.
1777정성태10/10/201425040오류 유형: 246. The processing of Group Policy failed. Windows attempted to read the file \\[도메인]\sysvol\[도메인]\Policies\{...GUID...}\gpt.ini
1776정성태10/10/201421857오류 유형: 245. 이벤트 로그 - Name resolution for the name _ldap._tcp.dc._msdcs.[도메인명]. timed out after none of the configured DNS servers responded.
1775정성태10/9/201423439오류 유형: 244. Visual Studio 디버깅 (2)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1774정성태10/9/201429896개발 환경 구성: 246. IIS 작업자 프로세스의 20분 자동 재생(Recycle)을 끄는 방법
1773정성태10/8/201433450.NET Framework: 471. 웹 브라우저로 다운로드가 되는 파일을 왜 C# 코드로 하면 안되는 걸까요? [1]
1772정성태10/3/201422309.NET Framework: 470. C# 3.0의 기본 인자(default parameter)가 .NET 1.1/2.0에서도 실행될까? [3]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