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16. C# - Port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34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217. WinDbg - PCI 장치 열거
; https://www.sysnet.pe.kr/2/0/13873

닷넷: 2315. C# - PCI 장치 열거 (레지스트리, SetupAPI)
; https://www.sysnet.pe.kr/2/0/13877

닷넷: 2316. C# - Port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
; https://www.sysnet.pe.kr/2/0/13881

닷넷: 2317. C# - Memory Mapped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
; https://www.sysnet.pe.kr/2/0/13883




C# - Port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

지난 글에서,

WinDbg - PCI 장치 열거
; https://www.sysnet.pe.kr/2/0/13873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를 Port I/O와 Memory Mapped I/O를 이용해 조회할 수 있다고 했는데요, 이들 중 Port I/O를 이용한 방법을 지난번에 만들어 둔 device driver의 도움을 받아,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 https://www.sysnet.pe.kr/2/0/12104

C# 코드로 가져와 보겠습니다. ^^




Port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영역을 읽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우선 0xcf8 포트로 읽어낼 PCI 장치와 offset을 지정하고,
(port write), 0xcf8, 0x80000000 | (bus << 16) | (device << 11) | (function << 8) | offset

// 0xcfc 포트로 4바이트 데이터를 읽어옵니다.
(port read), 0xcfc

0xcf8 포트에 쓰는 데이터 형식은 지난 글에서도 이미지로 설명한 적이 있는데요,

pci_tree_3.png

// PCI Configuration Address Register에 쓸 데이트 포맷

bit 0~1: 00
bit 2~7: Register Offset
bit 8~10: Function Number
bit 11~15: Device Number
bit 16~23: Bus Number
bit 24~30: Reserved
bit 31: Enable Bit

Bus, Device, Function을 제외하고 Register Offset으로 할당된 비트가 6비트지만, 사실 0~1 비트도 Register offset 영역에 포함되므로 엄밀히는 8비트 영역의 주소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즉, Port I/O를 이용한 방식에서는 CAM(Configuration Access Mechanism)의 256 바이트까지만 읽어올 수 있고 PCIe에서 확장된 4KB 영역 전체를 읽어낼 수는 없습니다.

게다가 0~1 비트가 무조건 0이라는 점에서 Register offset 주소 지정은 최소 4바이트 단위로 지정해야 한다는 것을 유의하시면 됩니다.




그리하여, PCI 장치마다 0 ~ 256 바이트만큼을 읽어낼 수 있다는 것은 알았고, Configuration Address Register의 나머지 영역에 해당하는 Bus, Device, Function (줄여서 BDF) 값을 알아내는 것이 남았는데요, 즉, 원하는 PCI 장치의 Configuration Space를 읽어오려면, 이들 값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지난 글을 통해 PCI 장치를 열거하는 방법을 알아본 건데요,

C# - PCI 장치 열거 (레지스트리, SetupAPI)
; https://www.sysnet.pe.kr/2/0/13877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레지스트리를 이용하든 / SetupAPI를 이용하든 BDF 값을 필드별로 정확히 알아낼 수는 없고 문자열로부터 추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가령 SetupAPI의 경우 지난 글에서는 SetupDiGetDeviceProperty를 이용해 DEVPROPKEY에 해당하는 값들을 구해왔는데요,

DEVPROPKEY structu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install/devpropkey

Property Key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install/property-keys

"Unified Device Property Model Properties"로 나열되는 적절한 DEVPROPKEY 중에는 (제가 찾아본 한계로) Device, Function 값을 알 수 있는 키는 없었습니다. 대신, SetupDiGetDeviceRegistryProperty를 이용해 SPDRP_LOCATION_INFORMATION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문자열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SPDRP_LOCATION_INFORMATION으로 반환한 예 (문자열)

"PCI bus 0, device 2, function 0"

참고로, 단순히 BDF 값만 알아내는 것이라면 레지스트리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실제로 Computer\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Enum\ 하위의 PCI 장치를 살펴보면 이런 식으로 LocationInformation 값이 주어지는데요,

@System32\drivers\pci.sys,#65536;PCI bus %1, device %2, function %3;(1,0,1)

마지막의 (1,0,1) 값이 각각 (Bus, Device, Function)을 나타냅니다.




이렇게 해서 해당 머신에 장착된 PCI 장치의 BDF 값을 열거했으면 이제 Port I/O를 이용해 Configuration Space를 읽어오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using (KernelMemoryIO portIo = new KernelMemoryIO())
    {
        if (portIo.IsInitialized == false)
        {
            Console.WriteLine("Failed to open device");
            return;
        }

        foreach (BDF bdf in PciHelper.EnumeatePCI())
        {
            Console.WriteLine($"Bus: {bdf.Bus}, Device: {bdf.Device}, Function: {bdf.Function}");

            List<byte> bytes = new List<byte>();
            for (uint where = 0; where < 256; where += 4)
            {
                uint configCommand = CONFIG_CMD(bdf.Bus, bdf.Device, bdf.Function, where);
                portIo.Outportl(0xcf8, configCommand);

                uint data = portIo.Inportl(0xcfc, out int errorNo);

                if (errorNo != 0)
                {
                    Console.WriteLine($"Error: {errorNo}");
                    break;
                }
                else
                {
                    byte[] buffer = BitConverter.GetBytes(data);
                    bytes.AddRange(buffer);
                }
            }

            for (int i = 0; i < bytes.Count; i++)
            {
                Console.Write($"{bytes[i]:x2} ");
                if (i % 16 == 15)
                {
                    Console.WriteLine();
                }
            }

            Console.WriteLine();
        }
    }
}

위의 프로그램을 Hyper-V Gen1 VM에서 실행하면 대충 이런 결과가 나옵니다.

c:\ex> ConsoleApp1.exe
Bus: 0, Device: 7, Function: 1
86 80 10 71 07 00 00 02 01 00 01 06 00 00 8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생략]...
00 00 00 00 00 00 00 00 30 0f 00 00 00 00 00 00

Bus: 0, Device: 7, Function: 0
86 80 10 71 07 00 00 02 01 00 01 06 00 00 8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생략]...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Bus: 0, Device: 0, Function: 0
86 80 92 71 06 00 00 02 03 00 00 06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생략]...
00 00 00 00 00 00 00 00 20 0f 00 00 00 00 00 00

참고로, 그것의 첫 64바이트는 포맷이 고정돼 있기 때문에,

pci_config_space_struct_1.png

이에 맞춰 구조체를 정의해 출력하면 좀 더 다듬어진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byte[] configSpaces = bytes.ToArray();
fixed (byte* ptr = configSpaces)
{
    PCIConfigSpace pciInfo = Marshal.PtrToStructure<PCIConfigSpace>((IntPtr)ptr);
    Console.WriteLine($"VendorId: {pciInfo.VendorId:x4}");
    Console.WriteLine($"DeviceId: {pciInfo.DeviceId:x4}");
}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InlineArray(3)]
public struct ClassCode
{
    private byte _element0; // public 접근을 허용하지만 실용적이지 않음
                            // 필드는 단 한 개만 정의할 수 있음
}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ublic struct PCIConfigSpace
{
    public ushort VendorId;
    public ushort DeviceId;

    public ushort Command;
    public ushort Status;

    public byte RevisionId;
    public ClassCode ClassCode;

    public byte CacheLineS;
    public byte LatTimer;
    public byte HeaderType;
    public byte BIST;

    public uint BAR1;
    public uint BAR2;
    public uint BAR3;
    public uint BAR4;
    public uint BAR5;
    public uint BAR6;

    public uint CardbusCISPointer;

    public ushort SubsystemVendorId;
    public ushort SubsystemId;

    public uint ExpansionROMBaseAddress;

    public byte CapPointer;
    public byte Reserved1;
    public byte Reserved2;
    public byte Reserved3;

    public uint Reserved;

    public byte InterruptLine;
    public byte InterruptPin;
    public byte MinGnt;
    public byte MaxLat;
}

뭐, 이 정도면 (DDK 영역이 아닌) 사용자 모드의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는 차고 넘칠 정도의 정보를 가져온 것이니 굳이 ECAM 4KB 영역까지 읽어낼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검색하다 보니, PCI 장치 열거를 통해 해당 환경이 XBox인지 확인하는 코드가 있군요. ^^

PCI 버스 접근
; https://blog.naver.com/kgh2797/90063940615

/* Check for Xbox by identifying device at PCI 0:0:0, if it's
* 0x10de/0x02a5 then we're running on an Xbox */

WRITE_PORT_ULONG((ULONG*) 0xcf8, CONFIG_CMD(0, 0, 0));
PciId = READ_PORT_ULONG((ULONG*) 0xcfc);
if (0x02a510de == PciId)
{
    XboxMachInit(CmdLine);
}
else
{
    PcMachInit(CmdLine);
}

#define CONFIG_CMD(bus, dev_fn, where) \
 (0x80000000 | (((ULONG)(bus)) << 16) | (((dev_fn) & 0x1F) << 11) | (((dev_fn) & 0xE0) << 3) | ((where) & ~3))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2/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37정성태1/30/202314294.NET Framework: 2091. C# - 웹 사이트가 어떤 버전의 TLS/SSL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13236정성태1/29/202313048개발 환경 구성: 663. openssl을 이용해 인트라넷 IIS 사이트의 SSL 인증서 생성
13235정성태1/29/202312525개발 환경 구성: 662. openssl - 윈도우 환경의 명령행에서 SAN 적용하는 방법
13234정성태1/28/202314939개발 환경 구성: 661. dnSpy를 이용해 소스 코드가 없는 .NET 어셈블리의 코드를 변경하는 방법 [1]
13233정성태1/28/202316125오류 유형: 840. C# - WebClient로 https 호출 시 "The request was aborted: Could not create SSL/TLS secure channel" 예외 발생
13232정성태1/27/202312036스크립트: 43. uwsgi의 --processes와 --threads 옵션
13231정성태1/27/202311263오류 유형: 839. python - TypeError: '...' object is not callable
13230정성태1/26/202312018개발 환경 구성: 660. WSL 2 내부로부터 호스트 측의 네트워크로 UDP 데이터가 1개의 패킷으로만 제한되는 문제
13229정성태1/25/202313895.NET Framework: 2090. C# - UDP Datagram의 최대 크기
13228정성태1/24/202314449.NET Framework: 2089. C# - WMI 논리 디스크가 속한 물리 디스크의 정보를 얻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227정성태1/23/202313353개발 환경 구성: 659. Windows - IP MTU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 [1]
13226정성태1/23/202312310.NET Framework: 2088. .NET 5부터 지원하는 GetRawSocketOption 사용 시 주의할 점
13225정성태1/21/202311645개발 환경 구성: 658. Windows에서 실행 중인 소켓 서버를 다른 PC 또는 WSL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13224정성태1/21/202312148Windows: 221. Windows - Private/Public/Domain이 아닌 네트워크 어댑터 단위로 방화벽을 on/off하는 방법
13223정성태1/20/202312064오류 유형: 838. RDP 연결 오류 - The two computers couldn't connect in the amount of time allotted
13222정성태1/20/202311923개발 환경 구성: 657. WSL - DockerDesktop.vhdx 파일 위치를 옮기는 방법
13221정성태1/19/202312122Linux: 57. C# - 리눅스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파일 다운로드1
13220정성태1/19/202311784오류 유형: 837. NETSDK1045 The current .NET SDK does not support targeting .NET ...
13219정성태1/18/202311405Windows: 220.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13218정성태1/17/202311270VS.NET IDE: 178. Visual Studio 17.5 (Preview 2) - 포트 터널링을 이용한 웹 응용 프로그램의 외부 접근 허용
13217정성태1/13/202311987디버깅 기술: 185. windbg - 64비트 운영체제에서 작업 관리자로 뜬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sos로 디버깅하는 방법
13216정성태1/12/202311900디버깅 기술: 184. windbg - 32비트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인 경우 !peb 명령어로 나타나지 않는 환경 변수
13215정성태1/11/202314926Linux: 56. 리눅스 - /proc/pid/stat 정보를 이용해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 구하는 방법 [1]
13214정성태1/10/202313824.NET Framework: 2087. .NET 6부터 SourceGenerator와 통합된 System.Text.Json [1]파일 다운로드1
13213정성태1/9/202312181오류 유형: 836. docker 이미지 빌드 시 "RUN apt install ..." 명령어가 실패하는 이유
13212정성태1/8/202313558기타: 85. 단정도/배정도 부동 소수점의 정밀도(Precision)에 따른 형변환 손실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