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955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Windows: 146. PowerShell로 원격 프로세스(EXE, BAT)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50

개발 환경 구성: 738. PowerShell - 원격 호출 시 "powershell.exe"가 아닌 "pwsh.exe" 환경으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58

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892

닷넷: 2326.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897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지난 글에서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Get-Counter 명령을 알아봤는데요,

(Get-Counter "\Process(*)\Working Set - Private").CounterSamples

그러고 보니 한 번도 C#에서 PowerShell 명령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소개한 적이 없어 ^^ 이참에 글을 써봅니다.




이를 위해 우선해야 할 것은 "System.Management.Automation" 패키지를 참조 추가하면 됩니다.

System.Management.Automation 
; https://www.nuget.org/packages/System.Management.Automation/

만약 .NET Framework 프로젝트라면 다음의 경로에 있는 것을 직접 참조 추가해야 합니다.

// 버전 4.0.3.0: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MSIL\System.Management.Automation\
// 버전 1.0.0.0: C:\Windows\assembly\GAC_MSIL\System.Management.Automation

이후, 명령어 실행은 이렇게 간단하게 끝낼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Management.Automation;

namespace ConsoleApp1
{
    // System.Management.Automation

    // .NET Framework
    // 버전 4.0.3.0: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MSIL\System.Management.Automation\
    // 버전 1.0.0.0: C:\Windows\assembly\GAC_MSIL\System.Management.Automation

    // .NET Core/5+
    // Install-Package System.Management.Automation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owerShell _ps = PowerShell.Create();

            _ps.AddCommand("Get-Counter", false);
            _ps.AddArgument(@"\Process(*)\Working Set - Private");

            System.Collections.ObjectModel.Collection<PSObject> output = _ps.Invoke();

            foreach (var item in output)
            {
                object objValue = item.Properties["CounterSamples"].Value;
                
                // objValue 타입: Microsoft.PowerShell.Commands.GetCounter.PerformanceCounterSample
            }
        }
    }
}

PowerShell.Invoke 명령을 수행하면, 그 순간 해당 명령어(위의 경우 Get-Counter)와 연관된 모듈이 자동으로 로드됩니다. 하지만, 코드상으로는 object로 반환받은 objValue를 형변환해서 사용해야 할 텐데요, 따라서 이제는 저 형식을 담은 어셈블리를 참조 추가해야 합니다.

Microsoft.PowerShell.Commands.GetCounter.PerformanceCounterSample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microsoft.powershell.commands.getcounter.performancecountersample

문서에 따라 "Microsoft.PowerShell.Commands.Diagnostics.dll" 파일인데요,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 1.0: C:\Windows\assembly\GAC_MSIL\Microsoft.PowerShell.Commands.Diagnostics
버전 4.0: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MSIL\Microsoft.PowerShell.Commands.Diagnostics

[닷넷 코어/5+]

Install-Package Microsoft.PowerShell.SDK

간단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것도 귀찮으니 dynamic을 이용해 처리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foreach (var item in output)
{
    object objValue = item.Properties["CounterSamples"].Value;

    var e = (objValue as IEnumerable).GetEnumerator();
    while (e.MoveNext())
    {
        dynamic pcs = e.Current;
        Console.WriteLine($"{pcs.Path}\t{pcs.InstanceName}\t{pcs.RawValue}");
    }
}

/* 출력 결과:
\\testpc\process(idle)\working set - private     idle    8192
\\testpc\process(system)\working set - private   system  20480
\\testpc\process(secure system)\working set - private    secure system   152301568
\\testpc\process(registry)\working set - private registry        21250048
\\testpc\process(smss)\working set - private     smss    315392
\\testpc\process(csrss#1)\working set - private  csrss   1794048
\\testpc\process(wininit)\working set - private  wininit 1310720
\\testpc\process(csrss)\working set - private    csrss   1527808
\\testpc\process(services)\working set - private services        7786496
\\testpc\process(lsaiso)\working set - private   lsaiso  950272
\\testpc\process(lsass)\working set - private    lsass   18694144
...[생략]...
*/

어렵지 않죠?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NET Core/5+의 경우 nuget 패키지를 참조했다면 ps.Invoke(); 수행 시 이런 오류가 발생할 것입니다.

PowerShell ps = PowerShell.Create();
ps.AddCommand("Get-Counter", false);
var output = ps.Invoke();

/* 
Unhandled exception. System.Management.Automation.Runspaces.PSSnapInException: Cannot load PowerShell snap-in Microsoft.PowerShell.Diagnostics because of the following error: Could not find file 'C:\testapp\ConsoleApp1\ConsoleApp2\bin\Debug\net9.0\runtimes\win\lib\net9.0\Microsoft.PowerShell.Commands.Diagnostics.dll'.
   at System.Management.Automation.Runspaces.PSSnapInHelpers.LoadPSSnapInAssembly(PSSnapInInfo psSnapInInfo)
   at System.Management.Automation.Runspaces.InitialSessionState.ImportPSSnapIn(PSSnapInInfo psSnapInInfo, PSSnapInException& warning)
   at System.Management.Automation.Runspaces.InitialSessionState.CreateDefault()
   at System.Management.Automation.Runspaces.RunspaceFactory.CreateRunspace(PSHost host)
   at System.Management.Automation.Runspaces.RunspaceFactory.CreateRunspace()
   at System.Management.Automation.PowerShell.Worker.CreateRunspaceIfNeededAndDoWork(Runspace rsToUse, Boolean isSync)
   at System.Management.Automation.PowerShell.CoreInvokeHelper[TInput,TOutput](PSDataCollection`1 input, PSDataCollection`1 output, PSInvocationSettings settings)
   at System.Management.Automation.PowerShell.CoreInvoke[TInput,TOutput](PSDataCollection`1 input, PSDataCollection`1 output, PSInvocationSettings settings)
   at System.Management.Automation.PowerShell.CoreInvoke[TOutput](IEnumerable input, PSDataCollection`1 output, PSInvocationSettings settings)
   at System.Management.Automation.PowerShell.Invoke(IEnumerable input, PSInvocationSettings settings)
   at System.Management.Automation.PowerShell.Invoke()
   at ConsoleApp2.Program.Main(String[] args)
*/

오류 메시지에도 나오지만, Get-Counter를 구현한 Microsoft.PowerShell.Commands.Diagnostics.dll 파일을 현재 디렉터리에서 찾다가 없어서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NET Framework의 경우에는 형식 안정성을 위해 대상 어셈블리(Get-Counter의 경우 Microsoft.PowerShell.Commands.Diagnostics.dll)를 참조하는 것이 선택 사항에 불과하지만, .NET Core/5+의 경우에는 반드시 nuget을 통해 참조 추가를 해야만 합니다. 하지만 개별 어셈블리를 참조 추가하는 경우,

Install-Package Microsoft.PowerShell.Commands.Diagnostics

이후 계속해서 의존성에 따라 System.Diagnostics.PerformanceCounter, Microsoft.PowerShell.ConsoleHost, Microsoft.PowerShell.Commands.Utility, Microsoft.PowerShell.Commands.Management, Microsoft.WSMan.Management 등의 어셈블리를 추가해야 합니다.

이런 불편함을 Microsoft.PowerShell.SDK 단 하나의 패키지 참조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개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2개의 패키지 참조를 해야 합니다.

Install-Package System.Management.Automation
Install-Package Microsoft.PowerShell.SDK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4/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66정성태2/27/20249543오류 유형: 897. Windows 7 SDK 설치 시 ".NET Development" 옵션이 비활성으로 선택이 안 되는 경우
13565정성태2/23/20248638닷넷: 2219.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개별 System.Security.Permissions 제어
13564정성태2/22/202410152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13563정성태2/21/20249646디버깅 기술: 196. windbg - async/await 비동기인 경우 메모리 덤프 분석의 어려움
13562정성태2/21/20249346오류 유형: 896. ASP.NET - .NET Framework 기본 예제에서 System.Web에 대한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3561정성태2/20/202410146닷넷: 2218. C# - (예를 들어, Socket) 비동기 I/O에 대한 await 호출 시 CancellationToken을 이용한 취소파일 다운로드1
13560정성태2/19/202410198디버깅 기술: 195. windbg 분석 사례 - Semaphore 잠금으로 인한 Hang 현상 (닷넷)
13559정성태2/19/202411013오류 유형: 895. ASP.NET - System.Security.SecurityException: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13558정성태2/18/202410182닷넷: 2217. C# - 최댓값이 1인 SemaphoreSlim 보다 Mutex 또는 lock(obj)를 선택하는 것이 나은 이유
13557정성태2/18/20249060Windows: 258. Task Scheduler의 Author 속성 값을 변경하는 방법
13556정성태2/17/20249436Windows: 257. Windows - Symbolic (hard/soft) Link 및 Junction 차이점
13555정성태2/15/20249647닷넷: 2216. C# - SemaphoreSlim 사용 시 주의점
13554정성태2/15/20249073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13553정성태2/14/20248607닷넷: 2215. windbg - thin/fat lock 없이 동작하는 Monitor.Wait + Pulse
13552정성태2/13/20248731닷넷: 2214. windbg - Monitor.Enter의 thin lock과 fat lock
13551정성태2/12/20249823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13550정성태2/11/202410267Windows: 256. C# - Server socket이 닫히면 Accept 시켰던 자식 소켓이 닫힐까요?
13549정성태2/3/202411236개발 환경 구성: 706. C# - 컨테이너에서 실행하기 위한 (소켓) 콘솔 프로젝트 구성
13548정성태2/1/202410803개발 환경 구성: 705. "Docker Desktop for Windows" -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소켓 주소 바인딩(IPv4/IPv6 loopback, Any)
13547정성태1/31/202410454개발 환경 구성: 704. Visual Studio - .NET 8 프로젝트부터 dockerfile에 추가된 "USER app" 설정
13546정성태1/30/202410145Windows: 255. (디버거의 영향 등으로) 대상 프로세스가 멈추면 Socket KeepAlive로 연결이 끊길까요?
13545정성태1/30/20249683닷넷: 2212. ASP.NET Core - 우선순위에 따른 HTTP/HTTPS 호스트:포트 바인딩 방법
13544정성태1/30/20249342오류 유형: 894. Microsoft.Data.SqlClient -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Security.Permissions, ...'
13543정성태1/30/20249765Windows: 254. Windows - 기본 사용 중인 5357 포트 비활성화는 방법
13542정성태1/30/20248843오류 유형: 893. Visual Studio - Web Application을 실행하지 못하는 IISExpress - 두 번째 이야기
13541정성태1/29/20249607VS.NET IDE: 188. launchSettings.json의 useSSL 옵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