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Hyper-V Manager - VM 목록의 CPU Usage 항목이 항상 0%로 나오는 문제

(미리 말씀드리지만, 이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이상하군요, 원래 VM의 CPU 값이 잘 나왔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무조건 0%로만 나옵니다.

hyperv_cpu_is_zero_1.png

정확하게 기억은 안 나지만, 아마도 Hyper-V의 "Configuration Version" 지원이 "12.0"으로 올라가는 윈도우부터 그랬던 것 같은데요, 가령 Windows 11인 경우 24H2부터, Windows Server의 경우 2025 버전에 있는 Hyper-V부터 저런 현상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 (실제로, 제가 가지고 있는 Windows 11 23H2의 Hyper-V는 CPU Usage가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물론, 실제로 0%일 수도 있지만 CPU 부하를 주는 프로그램을 띄워도 항상 0으로 나옵니다. 검색해 보면, 위의 출력은 사실상 PowerShell의 Get-VM의 결과와 같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테스트해 보면 그 명령어의 CPUUsage 항목도 0%로 나옵니다.

PS C:\Windows\System32> Get-VM -Name win2019

Name    State   CPUUsage(%) MemoryAssigned(M) Uptime             Status             Version
----    -----   ----------- ----------------- ------             ------             -------
win2019 Running 0           8192              3.17:46:11.6150000 Operating normally 12.0

PS C:\Windows\System32> Get-VM win2019 | select -ExpandProperty VMIntegrationService

VMName  Name                    Enabled PrimaryStatusDescription SecondaryStatusDescription
------  ----                    ------- ------------------------ --------------------------
win2019 Guest Service Interface True    OK
win2019 Heartbeat               True    OK
win2019 Key-Value Pair Exchange True    OK
win2019 Shutdown                True    OK
win2019 Time Synchronization    True    OK
win2019 VSS                     True    OK

그 외에도 ResourceMeteringEnabled를 켠 VM에 대한 Measure-VM 명령어도 AvgCPU(Mhz)가 0으로 나옵니다.

PS C:\Windows\System32> Get-VM -Name win2019 | Enable-VMResourceMetering

PS C:\Windows\System32> Measure-VM -Name win2019

VMName  AvgCPU(MHz) AvgRAM(M) MaxRAM(M) MinRAM(M) TotalDisk(M) NetworkInbound(M) NetworkOutbound(M)
------  ----------- --------- --------- --------- ------------ ----------------- ------------------
win2019 0           8192      8192      8192      72704        251               58

참고로, WMI의 Win32_Processor를 이용한 CPU 사용량을 확인해 보면 정상적으로 나오긴 합니다.

PS C:\Windows\System32> (Get-WMIObject -ComputerName "win2019" Win32_Processor).LoadPercentage
13




더욱 이상한 것은, 관련 정보를 찾아보려고 해도 딱히 검색이 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나마 (Hyper-V Manager가 아닌) VMM과 관련해 아래와 같은 글이 있긴 한데,

VMM 2016: 0% CPU shown for all guest VMs
; https://learn.microsoft.com/en-us/answers/questions/321785/vmm-2016-0-cpu-shown-for-all-guest-vms

Virtual Machine Manager 2012 R2 may show CPU Average of Virtual Machines [VM’s] as 0 % percent
; http://www.kuskaya.info/2015/11/20/virtual-machine-manager-2012-r2-may-show-cpu-average-of-virtual-machines-vms-as-0-percent/

혹시나 싶어 VM과 호스트 모두 성능 카운터를 다시 등록하고 재부팅을 해도,

cd c:\windows\system32
lodctr /R
cd c:\windows\sysWOW64
lodctr /R

WINMGMT.EXE /RESYNCPERF

여전히 0%로 나옵니다. 마지막으로 ^^ 이와 관련해서 질문을 남겼는데,

CPU Usage columns always show as 0% in Hyper-V Manager
; https://learn.microsoft.com/en-us/answers/questions/2200481/cpu-usage-columns-always-show-as-0-in-hyper-v-mana

아쉽게도, 다른 성능 카운터를 참조하라고만 하고 저 문제 자체에 대한 해결책이 나오진 않았습니다. 혹시 여러분의 Hyper-V Manager는 "CPU Usage" 항목의 값이 정상적으로 나오나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5/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16정성태1/7/20249648닷넷: 2196.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의 부작용
13515정성태1/6/20249627닷넷: 2195. async 메서드 내에서 C# 7의 discard 구문 활용 사례 [1]
13514정성태1/5/20249507개발 환경 구성: 702.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
13513정성태1/5/20249615닷넷: 2194. C# - WebActivatorEx / System.Web의 PreApplicationStartMethod 특성
13512정성태1/4/20249833개발 환경 구성: 701. IIS - w3wp.exe 프로세스의 ASP.NET 런타임을 항상 Warmup 모드로 유지하는 preload Enabled 설정
13511정성태1/4/20249610닷넷: 2193. C# - ASP.NET Web Application + OpenAPI(Swashbuckle) 스펙 제공
13510정성태1/3/20249345닷넷: 2192. C# - 특정 실행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Linux)
13509정성태1/3/202410533오류 유형: 887. .NET Core 2 이하의 프로젝트에서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Unsafe doesn't support netcoreapp2.0.
13508정성태1/3/202410021오류 유형: 886. ORA-28000: the account is locked
13507정성태1/2/202411110닷넷: 2191. C# - IPGlobalProperties를 이용해 netstat처럼 사용 중인 Socket 목록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06정성태12/29/202310256닷넷: 2190.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13505정성태12/27/202312081닷넷: 2189.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파일 다운로드1
13504정성태12/27/202311202닷넷: 2188. C# - ASP.NET Core SignalR로 구현하는 채팅 서비스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3정성태12/27/202310378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13502정성태12/26/202310918닷넷: 2187. C# - 다른 프로세스의 환경변수 읽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1정성태12/25/202310267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13500정성태12/24/202310781디버깅 기술: 194.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13498정성태12/23/202312442닷넷: 2186.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C# 래퍼 버전 - eFriendOpenAPI NuGet 패키지
13497정성태12/22/202310621오류 유형: 885. Visual Studiio - error : Could not connect to the remote system. Please verify your connection settings, and that your machine is on the network and reachable.
13496정성태12/21/202310539Linux: 66.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13495정성태12/20/202310778Linux: 65. clang++로 공유 라이브러리의 -static 옵션 빌드가 가능할까요?
13494정성태12/20/202310880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13493정성태12/19/202310984닷넷: 2185. C# - object를 QueryStr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
13492정성태12/19/202310361개발 환경 구성: 699. WSL에 nopCommerce 예제 구성
13491정성태12/19/20239378Linux: 63. 리눅스 - 다중 그룹 또는 사용자를 리소스에 권한 부여
13490정성태12/19/202310088개발 환경 구성: 698. Golang - GLIBC 의존을 없애는 정적 빌드 방법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