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dotnetfeed.blob.core.windows.net

이상하군요, A PC에서 잘 열리던 프로젝트가 B PC에 설치한 Visual Studio에서 열려고 했더니 아래와 같은 대화창이 뜹니다.

cred_dotnetfeed_1.png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Connecting to dotnetfeed.blob.core.windows.net

계정이 없으므로 그냥 닫을 수밖에 없는데, 그러면 아래의 경로에 해당하는 exe 콘솔 창이 뜨더니,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Common7\IDE\CommonExtensions\Microsoft\NuGet\Plugins\CredentialProvider.Microsoft\CredentialProvider.Microsoft.exe

또다시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대화창이 뜹니다.




해당 프로젝트의 특징이라면 System.Management.Automation 패키지가 등록돼 있다는 점입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9.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Property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System.Management.Automation" Version="7.5.0" />
  </ItemGroup>
</Project>

직접적인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이런 현상은 Nuget에 인증을 요구하는 패키지 소스가 등록돼 있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Tools" / "NuGet Package Manager" / "Package Manager Settings" 메뉴로 이동해 "Package Sources" 범주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dotnetfeed.blob.core.windows.net" 측의 패키지 소스가 보일 것입니다.

cred_dotnetfeed_2.png

https://dotnetfeed.blob.core.windows.net/dotnet-core/index.json

결국, 위와 같은 경우 "dotnet-core" 소스를 체크 해제하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5/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7정성태9/21/200521744기타: 10. SQL2000 설치 시, Invalid Product Key 오류
156정성태9/16/200523607.NET Framework: 43. Wisptis.exe 프로세스
155정성태5/31/200519965.NET Framework: 42. .NET Installer Class에서 Install 메서드 - 설정 사항들 알아내는 코드
154정성태5/13/200518774VS.NET IDE: 30. Windows 2003 for x64에 추가된 레지스트리 Run 노드
152정성태5/5/200522133VC++: 18. VC++ 7.0에서부터 ? : 연산자 처리가 바뀌었습니다.
153정성태5/12/200522525    답변글 VC++: 18.1. VC++ 8.0에서부터 바뀐 CRT 소개
151정성태5/5/200525526VC++: 17. DLL에 export 된 C++ 클래스 멤버 함수 파라미터형 정보 알아내는 방법
150정성태5/5/200526502.NET Framework: 41. 태그 사이의 값을 추출하는 정규식
149정성태5/5/200522840.NET Framework: 40. 데이터그리드에서 콤보박스 쓸 수 있는 방법
148정성태5/5/200523455.NET Framework: 39. DataSet 방식을 RecordSet으로 구현하는 방법.
147정성태5/7/200620821VC++: 16. 클래스 멤버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받는 표현.
146정성태4/29/200520143VS.NET IDE: 29. 네트워크 공유를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을 원하는 경우.
144정성태4/14/200520349VS.NET IDE: 28. Windows 2003 SP1을 설치하고.
143정성태5/5/200521975.NET Framework: 38. DSL (Domain Specific Language)
141정성태4/14/200522564VS.NET IDE: 27. 64bit 컴퓨터 사용 평가 [3]
140정성태4/14/200519581.NET Framework: 37. String.GetHashCode의 리턴값. 그때그때 다릅니다.
138정성태4/12/200520402.NET Framework: 36. 64bit 시스템 구성
142정성태4/14/200521765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6124.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4965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22008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20639.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22877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9731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20375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20083.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