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111. C# - 바이너리 출력 디렉터리와 연관된 csproj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3336

VS.NET IDE: 197.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 https://www.sysnet.pe.kr/2/0/13903

VS.NET IDE: 198.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 https://www.sysnet.pe.kr/2/0/13907

VS.NET IDE: 199. Directory.Build.props에 정의한 속성에 대해 Condition 제약으로 값을 변경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917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2025-05-03 업데이트) 귀찮음이 종종 있으니, 순수하게 Console Application 프로젝트만을 생성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아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 ^^; 저도 현재는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냥 이런 방법도 있다는 정도로만 알고 넘어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지난 글에서는 C++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했는데요,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 https://www.sysnet.pe.kr/2/0/13903

C# 프로젝트라면 약간 상황이 달라집니다. 우선, 기본적인 것은 이미 다뤘었는데요,

.NET Framework: 2111. C# - 바이너리 출력 디렉터리와 연관된 csproj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3336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7.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AppendTargetFrameworkToOutputPath>false</AppendTargetFrameworkToOutputPath>

        <BaseOutputPath>c:\temp\prj\$(MSBuildProjectName)</BaseOutputPath>
        <IntermediateOutputPath>$(BaseOutputPath)\obj</IntermediateOutputPath>
        
        <PostBuildEvent>rd "$(MSBuildProjectDirectory)\obj" /s /q</PostBuildEvent>
    </PropertyGroup>

</Project>

위의 설정에서 아쉬운 점 하나는, ./obj 디렉터리가 여전히 잘 삭제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PostBuildEvent로 obj 디렉터리를 강제로 없애긴 해도, 이것 역시 dropbox 등의 응용 프로그램이 동기화하려고 파일을 열고 있는 동안 잠금이 발생해 삭제가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시 찾아보니까 ^^ 방법이 나오는군요.

How to configure the intermediate output directory in C#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311212/how-to-configure-the-intermediate-output-directory-in-c-sharp

msbuild에 IntermediateOutputPath보다 더 근본적인 BaseIntermediateOutputPath 속성이 정의돼 있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이걸 응용하면 이제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습니다.

<BaseIntermediateOutputPath>...원하는 경로...</BaseIntermediateOutputPath>
<IntermediateOutputPath>$(BaseIntermediateOutputPath)\$(Platform)\$(Configuration)\</IntermediateOutputPath>




정리해 보면, C++와 C# 프로젝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Directory.Build.props 파일을 다음과 같이 만들어 두시면 됩니다.

<Project>

    <PropertyGroup>
        <!-- 이 경로만 여러분의 상황에 맞게 변경합니다. -->
        <BaseOutputPath>c:\temp\builds\$(MSBuildProjectName)</BaseOutputPath>
    </PropertyGroup>

    <PropertyGroup>
        <AppendTargetFrameworkToOutputPath>false</AppendTargetFrameworkToOutputPath>
        <AppendRuntimeIdentifierToOutputPath>false</AppendRuntimeIdentifierToOutputPath>
        <-- UseCommonOutputDirectory>true</UseCommonOutputDirectory -->

        <OutputPath>$(BaseOutputPath)\$(Platform)\$(Configuration)\</OutputPath>
       
        <BaseIntermediateOutputPath>$(BaseOutputPath)\temp</BaseIntermediateOutputPath>
        <IntermediateOutputPath>$(BaseIntermediateOutputPath)\$(Platform)\$(Configuration)\</IntermediateOutputPath>
    </PropertyGroup>

    <PropertyGroup>
        <OutDir>$(BaseOutputPath)\$(Platform)\$(Configuration)\</OutDir>
        <IntDir>$(BaseOutputPath)\temp\$(Platform)\$(Configuration)\</IntDir>
    </PropertyGroup>

</Project>

이젠 ".vs"만 남았군요. ^^




위와 같은 설정으로 .NET Framework과 .NET Core/5+ 프로젝트를 빌드하다 보면 이런 에러를 보게 될 것입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MSBuild\Microsoft\NuGet\17.0\Microsoft.NuGet.targets(198,5): error : Your project does not reference ".NETFramework,Version=v2.0" framework. Add a reference to ".NETFramework,Version=v2.0" in the "TargetFrameworks" property of your project file and then re-run NuGet restore.


왜냐하면, 기존에 "ConsoleApp1" 프로젝트가 빌드된 "c:\temp\builds\" 디렉터리에 동일한 이름이지만 전혀 다른 성격의 프로젝트를 기존 결과물이 있는 상태에서 빌드하느라 오류가 발생한 것입니다. 따라서 Clean 과정을 한 번 거친 후 다시 빌드하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3/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정성태4/12/200516714.NET Framework: 36. 64bit 시스템 구성
142정성태4/14/200517999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2274.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1007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18217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16609.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18699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6032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16553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16384.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17510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16515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17000.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16614.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17933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17924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16631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19585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16345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5972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5280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17762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3575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4643.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17178.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17726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