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331.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9)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369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닷넷: 2329.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Framework 4.8)
; https://www.sysnet.pe.kr/2/0/13909

닷넷: 2330.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5 ~ .NET 8)
; https://www.sysnet.pe.kr/2/0/13912

닷넷: 2331.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9)
; https://www.sysnet.pe.kr/2/0/13915

닷넷: 2332. C# - (JetBrains Omea Reader 대상으로) 런타임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https://www.sysnet.pe.kr/2/0/13924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9)

지난 글에서 .NET Framework, .NET 5 ~ 8 환경에 대해 글을 썼는데요,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Framework 4.8)
; https://www.sysnet.pe.kr/2/0/13909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5 ~ .NET 8)
; https://www.sysnet.pe.kr/2/0/13912

언급했듯이 기존 소스 코드로는 .NET 9 환경에서 가로채기가 안 됩니다. 일단, 어떻게 되는지 현상만을 먼저 살펴볼까요? ^^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Reflection;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MethodInfo? instanceMethod = typeof(MyClass).GetMethod("MyMethod");
            MethodInfo? newInstanceMethod = typeof(Program).GetMethod("MyMethod");

            ReplaceMethod.Replace(instanceMethod, newInstanceMethod);
        }

        MyClass cl = new MyClass();
        cl.MyMethod();
    }

    public void MyMethod()
    {
        Console.WriteLine("Program.MyMethod");
    }
}

public class MyClass
{
    public void MyMethod()
    {
        Console.WriteLine("MyClass.MyMethod");
    }
}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메서드 가로채기가 안 된) 이런 출력을 얻게 되는데요,

MyClass.MyMethod

심지어, 메서드 호출을 미뤄 JIT 컴파일을 하지 않은 상태로 바꾸게 되면,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생략]....
    ReplaceMethod.Replace(instanceMethod, newInstanceMethod);

    CallMethod(); // Main 메서드 호출 시에 MethodDesc를 이용한 JIT 컴파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메서드로 분리
}

private static void CallMethod()
{
    MyClass cl = new MyClass();
    cl.MyMethod();
}

이제는 실행 시점에 예외가 발생하고,

Fatal error. Internal CLR error. (0x80131506)
   at Program.Main(System.String[])

Visual Studio로 디버깅하면 아예 CallMethod의 내부로 진입조차 하지 못하고 이런 예외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ystem.ExecutionEngineException
  HResult=0x80131506
  Message=Exception of type 'System.ExecutionEngineException' was thrown.

뭔가 많이 바뀌었다는 것이겠죠? ^^;




뭐가 어떻게 변했는지 한번 볼까요? ^^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예제를 만들고,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IntPtr.Size);
        {
            var mi = typeof(MyClass).GetMethod("MyMethod");
            ReplaceMethod.PrintMethodDescInfo(mi); // MethodDesc 포인터가 가리키는 내용을 총 24바이트 출력
        }
        Console.WriteLine();

        Console.ReadLine(); // WinDbg 연결을 위한 대기

        MyClass cl = new MyClass();
        cl.MyMethod();
    }
}

public class  MyClass
{
    public void MyMethod()
    {
        Console.WriteLine("MyClass.MyMethod");
    }
}

실행하면 이런 출력을 볼 수 있습니다.

MethodDesc: 0x7ffa99896338
        7033004 280005 7ffa99896e90 7ffa99882250
        FuncPtr: 0x7ffa99882250

.NET 8과는 달리 3번째 QWORD 위치에 GetFunctionPointer()가 반환하는 그 주솟값(7ffa99882250)이 들어가 있습니다. 한 가지 더 재미있는 건, 두 번째 QWORD가 가리키는 내용에도,

0:007> dq 00007ffa`99896e90 L2
00007ffa`aa5eb448  00000000`00000000 00007ffa`99882250

마찬가지로 GetFunctionPointer()의 주솟값을 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둘 다 바꿔줘야 하는 걸까요? 까짓 거 어려운 일도 아닌데 금방 해보면 될 일입니다. ^^




그 결과, MethodDesc의 3번째 QWORD 값만 바꿔주면 정상적으로 가로채기가 됐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정도만 기존의 Replace 메서드에 추가하면 되고,

public unsafe static void Replace(MethodBase oldMethod, MethodInfo newMethod)
{
    RuntimeHelpers.PrepareMethod(newMethod.MethodHandle);

    IntPtr oldMethodPos = IntPtr.Zero;

#if !NET5_0_OR_GREATER
    if (oldMethod.IsConstructor && oldMethod.GetParameters().Length == 0)
    {
        oldMethodPos = FromMethodTable(oldMethod);
    }
    else
#endif
    {
        oldMethodPos = FromMethodDesc(oldMethod);
    }

#if NET9_0_OR_GREATER
    {
        ulong* ptr = (ulong*)oldMethodPos;
        ptr += 1; // move to 3rd QWORD of MethodDesc
        oldMethodPos = new IntPtr(ptr);
    }
#endif

    if (oldMethodPos == IntPtr.Zero)
    {
        throw new InvalidOperationException("Failed to get method position.");
    }

    IntPtr newFuncAddr = newMethod.MethodHandle.GetFunctionPointer();

    if (IntPtr.Size == 8)
    {
        ulong* ptr = (ulong*)oldMethodPos;
        *ptr = (ulong)newFuncAddr.ToInt64();
    }
    else
    {
        uint* ptr = (uint*)oldMethodPos;
        *ptr = (uint)newFuncAddr.ToInt32();
    }
}

테스트는 .NET 8에서와 동일하게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Reflection;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MyClass cl = new MyClass(); // 이 코드를 주석 해제하면 가로채기가 안 됨
        // cl.MyMethod();

        {
            var instanceMethod = typeof(MyClass).GetConstructor(new Type[] { });
            var newInstanceMethod = typeof(Program).GetMethod("MyCtor");

            ReplaceMethod.Replace(instanceMethod, newInstanceMethod);
        }

        {
            var instanceMethod = typeof(MyClass).GetMethod("MyMethod");
            var newInstanceMethod = typeof(Program).GetMethod("MyMethod");

            ReplaceMethod.Replace(instanceMethod, newInstanceMethod);
        }

        MyClass cl2 = new MyClass();
        cl2.MyMethod();
    }

    public void MyCtor()
    {
        Console.WriteLine("MyCtor called! (replaced)");
    }

    public void MyMethod()
    {
        Console.WriteLine("Program.MyMethod (replaced)");
    }
}

public class MyClass
{
    public MyClass()
    {
        Console.WriteLine("MyClass ctor");
    }

    public void MyMethod()
    {
        Console.WriteLine("MyClass.MyMethod");
    }
}

/* 실행 결과:
MyCtor called! (replaced)
Program.MyMethod (replaced)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지금까지 .NET 4.8부터 시작해 .NET 5 ~ 8, 그리고 .NET 9까지 메서드 가로채기 방법을 살펴봤는데요, 이 정도면 눈치채셨겠지만 이런 식의 가로채기 기법은 언제든 변할 수 있으므로 현업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그냥 이해 정도의 차원에서만 알아두시길 권장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4/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351정성태5/11/202314908VS.NET IDE: 185. Visual Studio - 원격 Docker container 내에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1]
13350정성태5/11/202314712오류 유형: 859. Windows Date and Time - Unable to continue.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perform this task
13349정성태5/11/202314204.NET Framework: 2120. C# - Semantic Kernel의 Skill과 Function 사용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3348정성태5/10/202315898.NET Framework: 2119. C# - Semantic Kernel의 "Basic Loading of the Kernel" 예제
13347정성태5/10/202316134.NET Framework: 2118. C# - Semantic Kernel의 Prompt chaining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346정성태5/10/202315646오류 유형: 858. RDP 원격 환경과 로컬 PC 간의 Ctrl+C, Ctrl+V 복사가 안 되는 문제
13345정성태5/9/202317756.NET Framework: 2117. C# - (OpenAI 기반의) Microsoft Semantic Kernel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1]파일 다운로드1
13344정성태5/9/202318702.NET Framework: 2116. C# - OpenAI API 사용 - 지원 모델 목록 [1]파일 다운로드1
13343정성태5/9/202316440디버깅 기술: 192. Windbg - Hyper-V VM으로 이더넷 원격 디버깅 연결하는 방법
13342정성태5/8/202313573.NET Framework: 2115. System.Text.Json의 역직렬화 시 필드/속성 주의
13341정성태5/8/202313783닷넷: 2114. C# 12 - 모든 형식의 별칭(Using aliases for any type)
13340정성태5/8/202313942오류 유형: 857. Microsoft.Data.SqlClient.SqlException - 0x80131904
13339정성태5/6/202315947닷넷: 2113. C# 12 - 기본 생성자(Primary Constructors)
13338정성태5/6/202313562닷넷: 2112. C# 12 - 기본 람다 매개 변수파일 다운로드1
13337정성태5/5/202315572Linux: 59. dockerfile - docker exec로 container에 접속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코드 적용
13336정성태5/4/202314985.NET Framework: 2111. C# - 바이너리 출력 디렉터리와 연관된 csproj 설정
13335정성태4/30/202316795.NET Framework: 2110. C# - FFmpeg.AutoGen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기본 프로젝트 구성 - Windows Forms파일 다운로드1
13334정성태4/29/202315483Windows: 250. Win32 C/C++ - Modal 메시지 루프 내에서 SetWindowsHookEx를 이용한 Thread 메시지 처리 방법
13333정성태4/28/202312252Windows: 249. Win32 C/C++ - 대화창 템플릿을 런타임에 코딩해서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332정성태4/27/202313272Windows: 248.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파일 다운로드1
13331정성태4/27/202312330오류 유형: 856. dockerfile - 구 버전의 .NET Core 이미지 사용 시 apt update 오류
13330정성태4/26/202314291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13329정성태4/24/202314220Windows: 246.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328정성태4/19/202313822VS.NET IDE: 184. Visual Studio - Fine Code Coverage에서 동작하지 않는 Fake/Shim 테스트
13327정성태4/19/202314348VS.NET IDE: 183. C# - .NET Core/5+ 환경에서 Fakes를 이용한 단위 테스트 방법
13326정성태4/18/202317718.NET Framework: 2109.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System.Data.SQLite) [1]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