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Typed DataSet 생성 중 "Failed to open a connection to the database" 오류

오랜만에 typed dataset을 테스트했는데 "Data Source Configuration Wizard"의 "Choose Your Data Connection" 단계에서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군요.

xsd_failed_auth_1.png

Failed to open a connection to the database

"A connection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with the server, but then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login process. (provider: SSL Provider, error: 0 - The certificate chain was issued by an authority that is not trusted.)"

Check the connection and try again.

원인은, 위의 화면에서 선택한 "Yes, include sensitive data in the connection string." 옵션이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연결 문자열에 "Encrypt=True"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Data Source=.\SQLEXPRESS;Persist Security Info=True;User ID=sa;Password=testpw;Encrypt=True

어쩔 수 없습니다, 해당 대화창의 "Which data connection should your application use to connect to the database?" 콤보 상자에서 나열한 연결 문자열 항목을 선택하는 대신 "New Connection..." 버튼을 눌러 나오는 화면에서 "Encrypt"를 선택하더라도 "Trust Server Certificate" 옵션을 함께 켜 주시면 됩니다.

그럼 "Show the connection string that you will save in the application"에 다음과 같이 "Trust Server Certificate=True" 옵션이 함께 나오고,

Data Source=.;Initial Catalog=UnitTestDB2;Integrated Security=True;Trust Server Certificate=True

"Next" 버튼을 눌러도 잘 통과하게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3/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590정성태7/20/200829236.NET Framework: 103. WPF - ControlTemplate을 코드에서 다뤄보기 [1]
589정성태6/17/200826283.NET Framework: 102. COM 개체의 이벤트를 구독하는 코드 제작 [1]
588정성태6/13/200828478VC++: 35. COM 이벤트에서 반환값을 가진 콜백 정의
587정성태6/10/200832938VS.NET IDE: 56. C#에서 아쉬운 __DATE__, __TIME__ 매크로 [2]
586정성태6/4/200830621오류 유형: 56. WPF 디자이너 - The string was not recognized as a valid DateTime [2]
585정성태6/4/200838654.NET Framework: 101. WPF - ActiveX 컨트롤 호스팅하는 방법 [2]
582정성태5/16/200830713오류 유형: 55.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580정성태4/24/200829639VC++: 34. 64비트 윈도우즈에서의 이벤트 후킹
579정성태4/24/200829325VC++: 33. 변환 후의 RGS 파일 내용을 얻는 방법
577정성태4/16/200830363.NET Framework: 100.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5]
575정성태4/7/200827343오류 유형: 54. TFS Source Control - 명령을 사용할 수 없음 [2]
574정성태3/31/200825920오류 유형: 53. TFS 연결 오류 - The workspace [...] exists on computer [...]
573정성태3/25/200830362Windows: 31. TS Web Access와 UAC [1]
570정성태3/17/200828981오류 유형: 52. TFS 연결 오류 - TF31001 [2]
569정성태3/16/200829915Team Foundation Server: 24. TFS 2008로 마이그레이션 (2) [2]
566정성태2/28/200831289.NET Framework: 99. AppDomain.GetEntryAssembly()를 우회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564정성태2/16/200830672Windows: 30. TS Web Access + Vista SP1 [2]
563정성태2/16/200830658오류 유형: 51. Vista(UAC) + 웹 프로젝트 디버깅: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562정성태2/12/200834249Windows: 29. Windows Server 2008 설치 [4]
561정성태1/10/200827720오류 유형: 50. IE 7 + 잘못된 HTC 파일 경로 = File not found [5]
559정성태1/1/200833098Windows: 28. Vista에서 끌어다 놓기로 GAC 등록하는 방법 [2]
558정성태1/1/200850108개발 환경 구성: 33. 32bit/64bit OLE DB Provider [1]
557정성태12/22/200728443개발 환경 구성: 32. WSCF와 VS.NET 2008
556정성태12/16/200726508기타: 22.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1000 회 이상
555정성태12/16/200729643기타: 21.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500 ~ 999회 글 목록
554정성태12/16/200734032기타: 20.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250 ~ 499회 글 목록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