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REPL 환경에서 "NameError: name 'exit' is not defined"

"설치 버전"이 아닌 zip 파일로 다운로드한 경우,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61

이상하게 python.exe로 실행한 환경에서 exit()를 호출할 수 없습니다. ^^;

E:\python310> python
Python 3.10.0 (tags/v3.10.0:b494f59, Oct  4 2021, 19:00:18) [MSC v.1929 64 bit (AMD64)] on win32
>>> exit()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din>", line 1, in <module>
NameError: name 'exit' is not defined

게다가, Ctrl + C 키를 눌러도 세션을 종료하지 않습니다. ^^;

>>>  # 프롬프트에서 Ctrl + C 키를 누르는 경우
KeyboardInterrupt
>>>

그렇다고 Ctrl + Break 키를 누르게 되면 세션이 종료되긴 하는데 의도치 않게 명령행 Shell 윈도우 자체도 함께 종료됩니다. ^^; 물론, 그걸 원한다면 할 수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sys.exit를 직접 호출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합니다.

>>> import sys
>>> sys.exit()

E:\python310>




그런데, 우연히 _pth 파일을 자세하게 봤는데요,

E:\python310> type python310._pth
python310.zip
.
Lib\site-packages

# Uncomment to run site.main() automatically
# import site

오호~~~ "import site"라는 주석을 해제하면 site.main() 함수가 실행된다고 합니다. 뭔가 특별한 함수로 보이는데요, 실제로 python interpreter 환경에서 실행했더니,

E:\python310> python
Python 3.10.0 (tags/v3.10.0:b494f59, Oct  4 2021, 19:00:18) [MSC v.1929 64 bit (AMD64)] on win32
>>> import site
>>> site.main()
>>> exit()

E:\python310> 

site.main() 호출 후에는 exit()가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 결국, _pth 파일의 "import site" 주석을 해제해 두면,

E:\python310> type python310._pth
python310.zip
.
Lib\site-packages

# Uncomment to run site.main() automatically
import site

이후 python interpreter 환경에서 곧바로 exit()를 호출해 프로그램을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491정성태5/21/200725632.NET Framework: 88. ManagedThreadId ? [4]
490정성태5/19/200734106오류 유형: 33. error MSB6003: SxS DLL 로딩 오류 [2]
489정성태5/14/200721933.NET Framework: 87. .NET 2.0에서 C# 3.0 기능 사용하기
488정성태5/14/200720624Windows: 25. Multiple Input Queues
487정성태4/24/200726119VC++: 32. VC++에서 bool이 가지는 의미 [3]
486정성태3/22/200725169Windows: 24. DreamScene과 DWM(Desktop Window Manager)의 관계 [1]
485정성태3/17/200720629오류 유형: 32. VS.NET 2005 - x64 환경에서의 mixed 디버깅 환경 구성
484정성태3/17/200719794오류 유형: 31. SQL Compact Edition 설치 후 오류
483정성태3/17/200741121오류 유형: 30. x64 환경: .NET + COM 프로젝트 실행 시 오류 - 80040154 [2]
482정성태3/17/200730668Team Foundation Server: 17. 팀 프로젝트 접속 및 사용
481정성태3/17/200724579Team Foundation Server: 16. 팀 프로젝트 읽기 전용 사용자 등록
480정성태3/14/200722793.NET Framework: 86. GC(Garbage Collector)의 변화
479정성태3/14/200726715개발 환경 구성: 25. D820 - ReadyBoost 구동
478정성태3/14/200726045개발 환경 구성: 24. D820 고주파음 문제
477정성태3/14/200735303개발 환경 구성: 23. 비스타 x64 버전에서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사용 [4]
476정성태3/9/200730749개발 환경 구성: 22. D820 노트북 - 설치 및 BitLocker 구성 [1]
475정성태3/6/200725171.NET Framework: 85. 공용 프로퍼티 자동 생성
474정성태3/5/200723456.NET Framework: 84. Lambda 표현식 응용 사례 [1]
473정성태3/4/200730494디버깅 기술: 14. TFS 오류 추적(TF53010, TF14105)
472정성태3/3/200729615디버깅 기술: 13. 예외 발생 시 Minidump 생성 - WinDBG [3]파일 다운로드1
471정성태3/1/200718827디버깅 기술: 12. Managed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469정성태2/28/200730342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3]파일 다운로드1
470정성태3/1/200721761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468정성태2/25/200731597COM 개체 관련: 20. 탭 브라우저의 윈도우 핸들 구하기 [3]
466정성태2/22/200723377Windows: 23. 롱혼 서버 코어 버전 [2]
465정성태2/21/200722342오류 유형: 29. TFS 관련 스케줄 작업 실패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