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환경에서 외부 패키지 사용하는 방법(ex: UFO² 환경 구성)

개인적으로 설치 버전보다 압축을 풀어 사용하는 Windows embeddable package를 선호합니다.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61

그런데, 좀 숨겨 놓은 기능들이 많군요. ^^; 파이썬 초짜인 티가 이런 데서 나오는 것 같은데, ^^ 어떤 시행착오를 거쳤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Windows embeddable package의 zip 파일을 다음의 경로에 압축을 푼 다음,

C:\python310

지난 글에서 다룬 UFO² 프로젝트를 clone 및 requirements.txt 구성과 yaml 설정을 다음의 디렉터리에 완료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D:\temp\UFO

이 상태에서 ufo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작업을 실행해 보면 이런 에러가 발생합니다.

D:\temp\UFO> C:\python310\python -m ufo --task my_test
C:\python310\python.exe: No module named ufo

이에 대한 문제는 이미 지난 글에 설명했듯이, 현재 UFO 패키지가 설치된 디렉터리를 _pth 파일에 추가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D:\temp\UFO> type C:\python310\python310._pth
python310.zip
.
Lib\site-packages
D:\temp\UFO

# Uncomment to run site.main() automatically
# import site

그런데, 여전히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하는데요,

D:\temp\UFO> C:\python310\python -m ufo --task my_test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runpy.py", line 196, in _run_module_as_main
  File "runpy.py", line 86, in _run_code
  File "D:\temp\UFO\ufo\__main__.py", line 3, in <module>
    from ufo import ufo
  File "D:\temp\UFO\ufo\ufo.py", line 8, in <module>
    from ufo.module.client import UFOClientManager
  File "D:\temp\UFO\ufo\module\client.py", line 7, in <module>
    from ufo.module.basic import BaseSession
  File "D:\temp\UFO\ufo\module\basic.py", line 24, in <module>
    from pywinauto.controls.uiawrapper import UIAWrapper
  File "C:\python310\Lib\site-packages\pywinauto\__init__.py", line 59, in <module>
    import win32api  # noqa: E402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win32api'

단지 이번엔 오류가 바뀌긴 했지만, 상황 자체는 더욱더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오류 메시지를 잘 보면, _pth 파일의 변경으로 인해 일단 UFO 프로젝트를 clone한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__main__.py까지는 진입도 잘 했고, 다시 "Windows embeddable package"를 기준으로 .\Lib\site-packages 디렉터리 내에 있는 pywinauto까지 로드가 잘 됐습니다.

그런데, pywinauto에서 참조한 또 다른 .\Lib\site-packages 하위에 있는 win32api 모듈은 로드하지 못한 것입니다.




바로 여기서 재미있는 점이 있는데요, 사실 win32api 모듈은 .\Lib\site-packages 하위에 있는 win32 디렉터리 내에 있는 pyd 파일입니다.

"C:\python310\Lib\site-packages\win32\win32api.pyd"

그래서 원래 설치 파일 기준의 파이썬 환경에서는 이게 import가 잘됩니다.

// 설치 파일의 파이썬 환경인 경우

D:\temp\UFO> python
Python 3.10.10 (tags/v3.10.10:aad5f6a, Feb  7 2023, 17:20:36) [MSC v.1929 64 bit (AMD64)] on win32
Type "help", "copyright", "credits" or "license" for more information.
>>> import win32api
>>> print(win32api.__file__)
%USERPROFILE%\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10\lib\site-packages\win32\win32api.pyd
>>>

반면 embeddable package로 설치한 파이썬에서는 win32api에 대한 import가 안 됩니다.

// embeddable package의 파이썬 환경인 경우,

C:\python310> python
Python 3.10.0 (tags/v3.10.0:b494f59, Oct  4 2021, 19:00:18) [MSC v.1929 64 bit (AMD64)] on win32
>>> import win32api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din>", line 1, in <module>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win32api'

// 대신 win32 모듈까지는 import가 됩니다.

>>> import win32
None
>>> 

참 희한하죠? ^^; 이에 대한 해결은, 의외로 이전에 설명했던 site 패키지에 있었습니다.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REPL 환경에서 "NameError: name 'exit' is not defined"
; https://www.sysnet.pe.kr/2/0/13929

그러니까, "Windows embeddable package"인 경우에도 site.main 함수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win32api 모듈을 로드할 수 있습니다.

>>> import site
>>> site.main()
>>> import win32api
>>> print(win32api.__file__)
C:\python310\lib\site-packages\win32\win32api.pyd
>>>

물론, 저렇게는 번거로우니까 _pth 파일의 "import site" 주석을 해제하는 걸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D:\temp\UFO> type C:\python310\python310._pth
python310.zip
.
Lib\site-packages

# Uncomment to run site.main() automatically
import site

D:\temp\UFO

이후로는 본문에서 예로 든 ufo 패키지가 아주 잘 실행됩니다. ^^

D:\temp\UFO> C:\python310\python -m ufo --task my_test

Welcome to use UFO🛸, A UI-focused Agent for Windows OS Interaction.
 _   _  _____   ___
| | | ||  ___| / _ \
| | | || |_   | | | |
| |_| ||  _|  | |_| |
 \___/ |_|     \___/


Please enter your request to be completed🛸:




참고로, _pth 파일의 본연의 임무는 모듈 검색 경로를 설정하는 것인데요, 코드의 경우 예외적으로 "import site"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른 모듈을 자동으로 import하기 위해 추가하면, (예를 들어 "import sys") python 실행 시 이런 예외가 발생합니다.

C:\python310> python
Fatal Python error: read_pth_file: only 'import site' is supported in ._pth file
Python runtime state: core initialized

Current thread 0x0000e2f4 (most recent call first):
  <no Python frame>

마지막으로, 이렇게 뭔가 숨겨진 게 많은 듯한 _pth 파일과의 연동이 귀찮다면 그냥 삭제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그런 경우, "embeddable package"는 설치 버전의 파이썬과 동일하게 실행됩니다. 즉, 본문에서 예로 든 ufo 패키지를 아무런 추가 설정 없이도 잘 실행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7/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05정성태12/27/202312957닷넷: 2189.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파일 다운로드1
13504정성태12/27/202312056닷넷: 2188. C# - ASP.NET Core SignalR로 구현하는 채팅 서비스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3정성태12/27/202310998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13502정성태12/26/202311562닷넷: 2187. C# - 다른 프로세스의 환경변수 읽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1정성태12/25/202310940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13500정성태12/24/202311494디버깅 기술: 194.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13498정성태12/23/202312900닷넷: 2186.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C# 래퍼 버전 - eFriendOpenAPI NuGet 패키지
13497정성태12/22/202311257오류 유형: 885. Visual Studiio - error : Could not connect to the remote system. Please verify your connection settings, and that your machine is on the network and reachable.
13496정성태12/21/202310936Linux: 66.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13495정성태12/20/202311235Linux: 65. clang++로 공유 라이브러리의 -static 옵션 빌드가 가능할까요?
13494정성태12/20/202311274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13493정성태12/19/202311550닷넷: 2185. C# - object를 QueryStr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
13492정성태12/19/202310902개발 환경 구성: 699. WSL에 nopCommerce 예제 구성
13491정성태12/19/20239782Linux: 63. 리눅스 - 다중 그룹 또는 사용자를 리소스에 권한 부여
13490정성태12/19/202310721개발 환경 구성: 698. Golang - GLIBC 의존을 없애는 정적 빌드 방법
13489정성태12/19/202310483개발 환경 구성: 697. GoLand에서 ldflags 지정 방법
13488정성태12/18/20239927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3487정성태12/16/202311318개발 환경 구성: 696. C# - 리눅스용 AOT 빌드를 docker에서 수행 [1]
13486정성태12/15/202310103개발 환경 구성: 695. Nuget config 파일에 값 설정/삭제 방법
13485정성태12/15/20239730오류 유형: 883. dotnet build/restore -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13484정성태12/14/202310796개발 환경 구성: 694.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13483정성태12/14/202310896닷넷: 2184. C# - 하나의 resource 파일을 여러 프로그램에서 (AOT 시에도)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82정성태12/13/202312358닷넷: 2183. C# - eFriend Expert OCX 예제를 .NET Core/5+ Console App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481정성태12/13/202311215개발 환경 구성: 693. msbuild -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resgen을 이용한 리소스 파일 생성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80정성태12/12/202313006개발 환경 구성: 692. Windows WSL 2 + Chrome 웹 브라우저 설치
13479정성태12/11/202310355개발 환경 구성: 691. WSL 2 (Ubuntu) + nginx 환경 설정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