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812. 파이썬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
; https://www.sysnet.pe.kr/2/0/13057

스크립트: 77. 파이썬 - 'urllib.request' 모듈의 명시적/암시적 로딩 차이
; https://www.sysnet.pe.kr/2/0/13934




파이썬 - 'urllib.request' 모듈의 명시적/암시적 로딩 차이

(파이썬 2 환경은 잊기로 하고) 기본 파이썬 환경에서는 urllib.request 모듈은 로딩돼 있지 않는데요, 즉 sys.modules에 등록돼 있지 않습니다.

$ python3
Python 3.8.10 (default, Mar 18 2025, 20:04:55)
[GCC 9.4.0] on linux
Type "help", "copyright", "credits" or "license" for more information.
>>> import sys
>>> print(sys.modules['urllib.request'])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din>", line 1, in <module>
KeyError: 'urllib.request'
>>>

$ cat main.py
import sys

print(sys.modules['urllib.request'])  

$ python3 main.py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main.py", line 3, in <module>
    print(sys.modules['urllib.request'])
KeyError: 'urllib.request'

하지만, urllib.request 모듈을 로드하도록 유발하는 코드가 파이썬 내부에서 심심치 않게 실행되므로 이에 따른 부작용(side-effect)를 감안해야 합니다. 가령, 단순히 오류만 발생했어도,

$ python3
Python 3.8.10 (default, Mar 18 2025, 20:04:55)
[GCC 9.4.0] on linux
Type "help", "copyright", "credits" or "license" for more information.
>>> t   # 이 코드의 실행으로 오류 처리하는 과정에서 urllib.request 모듈이 로드됨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din>", line 1, in <module>
NameError: name 't' is not defined
>>> import sys
>>> print(sys.modules['urllib.request'])
<module 'urllib.request' from '/usr/lib/python3.8/urllib/request.py'>

저런 식으로 urllib.request 모듈이 로딩되기도 합니다.




'urllib.request' 모듈에는 또 다른 특별함이 하나 더 있는데요, __import__('...') 함수와,

import sys

lm = __import__('urllib.request')  # 여기서는 'urllib.request' 이름으로 로딩했지만,

print(lm)
print(sys.modules['urllib'])  # sys.modules에는 'urllib' 이름으로 등록되고, 그 경로는 ./urllib/__init__.py
print(sys.modules['urllib.request']) # 오히려 동일한 이름으로는 ./urllib/request.py라는 다른 모듈이 등록됨

''' 실행 결과
$ python3 main.py
<module 'urllib' from '/usr/lib/python3.8/urllib/__init__.py'>
<module 'urllib' from '/usr/lib/python3.8/urllib/__init__.py'>
<module 'urllib.request' from '/usr/lib/python3.8/urllib/request.py'>
'''

import '...'에 의한 로딩 차이가 있다는 점입니다.

import sys

print(sys.modules.get('urllib.request'))  # 'urllib.request' 이름으로 등록돼 있지 않은 것을 확인,

import urllib.request                 # import 문에 의해 로딩된 것은 'urllib.request' 이름으로 등록됨
print(sys.modules['urllib.request'])  # 따라서 'urllib.request' 이름으로 모듈이 존재하고,
                                      # 그 경로는 ./urllib/request.py
8
''' 실행 결과
$ python3 main.py
None
<module 'urllib.request' from '/usr/lib/python3.8/urllib/request.py'>
'''

__import__처럼 동적으로 로딩을 원하는데 import 구문과 유사한 동작을 원한다면 그나마 importlib.import_module가 더 나은 후보입니다.

import sys
import importlib

lm = importlib.import_module('urllib.request')

print(lm)  # 출력 결과: <module 'urllib.request' from '/usr/lib/python3.8/urllib/request.py'>
print(sys.modules['urllib.request'])  # 출력 결과: <module 'urllib.request' from '/usr/lib/python3.8/urllib/request.py'>

파이썬의 역사가 오래된 만큼,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추가됐던 유사한 기능들의 세세한 차이를 이제 와서 이해하기란 어려운 것 같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0/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919정성태8/30/201046114DDK: 1. Visual Studio 2010 - Device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918정성태8/28/201031767개발 환경 구성: 87.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3)
917정성태8/26/201026448개발 환경 구성: 86. "Routing and Remote Access"의 "Routing" 기능 활성화 방법
916정성태8/25/201025581개발 환경 구성: 85. 가상 네트워크에 LAN 어댑터 보이거나 감추는 방법
915정성태8/24/201044065개발 환경 구성: 84.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2)
913정성태8/22/201033355오류 유형: 104. Hyper-V 관리자 - VM 생성 오류 (VHD 생성 오류)
912정성태8/20/201034869.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파일 다운로드1
911정성태8/19/201032748오류 유형: 103. System.Reflection.Targe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910정성태8/19/201043579개발 환경 구성: 83.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1)
909정성태8/18/201038087오류 유형: 102.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908정성태8/17/201029192개발 환경 구성: 82.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3)
907정성태8/14/201026544개발 환경 구성: 81.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2)
906정성태8/13/201034160개발 환경 구성: 80.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1)
905정성태8/8/201038507Team Foundation Server: 39. 배치 파일로 팀 빌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904정성태8/8/201040481오류 유형: 101.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2]
903정성태8/6/201037492Team Foundation Server: 38.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4) - Branch
902정성태8/5/201030124Team Foundation Server: 37. TFS 2010의 소스 서버 수작업 구성
901정성태8/4/201029267Team Foundation Server: 36.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3) - Label
900정성태8/3/201032207Team Foundation Server: 35.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2) - Shelveset
899정성태8/2/201033651Team Foundation Server: 34.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1) - Changeset
898정성태7/31/201033721.NET Framework: 182. WCF의 InactivityTimeout [1]파일 다운로드1
897정성태7/26/201134535.NET Framework: 181. AssemblyVersion, AssemblyFileVersion, AssemblyInformationalVersion [4]
896정성태7/25/201041381.NET Framework: 180. C# Singleton 인스턴스 생성 [2]
895정성태7/25/201025375VS.NET IDE: 68. Visual Studio 2010 - .NET 1.1 원격 디버깅
894정성태7/25/201031140오류 유형: 100. Could not find the Database Engine startup handle. [1]
893정성태7/25/201031975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